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음향진로

고...고3 여학생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제목에 있듯이 저는
 인문계 문과로 다니고 있는 고3 여학생입니다.

 한 때 선생님을 목표로 두고 열심히 공부했으나
 왠걸 저한테는 좀 과분했던 것 같습니다.(제가 노력을 안한 것도 있지만요)

 집안사정으로 인해서
 고등학교를 왔는데 아르바이트를 시작하고
 제가 공부하려는 의지가 박약했던 탓인지
 아르바이트를 하다보니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공부에 손을 놓으면서 제 곁에 묵묵히 있어주던 녀석이 음악이었습니다.
 
 물론 처음엔 가수들 노래에 관심있다가 들으면 들을 수록 자세히 파보고 싶고
 한번 만들어도 보고 싶고 뭐라 써야할 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냥, 그저 음악이 좋습니다.(늦게 배운 도둑질이 더 무섭다는 말이 맞는 것 같아요)
 
 제가 여기 계신 분들처럼 자세히 안다거나
 특별히 공부하거나 이 분야에 대해 이제서야 조금씩 알아가는 상황이라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구 전문용어만 나와도 덜덜덜....
 
 잘 모르겠습니다.

 음향과 관련된 직업은 무엇무엇이 있나요?

 이제와서 공부해가지고 엔지니어 쪽으로 갈 수 있을까요?

 음악이 좋다는 것만으로도 음향으로 선택할 수 있을까요?
 
 지금은 장르건 뭐건 총망라해서 너무너무 음악이 좋습니다만
 그동안 공부해온 것도 없고 이제서 이쪽으로 진로를 잡으려는게 늦지 않았나 싶어
 여쭈어 봅니다.
 
 괜찮을까요?
 
 그리고 대학은 역시 음향관련 곳으로 가야할까요?
 혹여 아카데미 가야하면 많이 비쌀까요?

 넉넉치 않아 겁이 나네요
 
 밑엣분 글 제목처럼 저도 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입니다.

 이것저것 다 물어보고 싶은데
 너무 두서없이 글을 써버렸네요 ㅜㅜ(스크롤의 압박!!)

 솔직히 답변해주세요♡(ㅎㄷㄷㄷ)

관련자료

한신희님의 댓글

공연예술아카데미(구.무대예술아카데미) 추천해요...작년부터 2년제로 바뀌었구요...
학비도 넘 저렴하구요(제일 좋았던점)...교수님들도 좋답니당...저도 그 아카데미출신이구요...
학생은 10명 안에서 정원제랍니다...마니 안 뽑지요...
레코딩분야와 SR분야를 같이 배우기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쪽으로 더 열심히 배우시면 좋을듯 하네요.

이뽀숑님의 댓글의 댓글

공연예술아카데미면 학원인가요??
와우... 10명에 정원제면 제가 들어갈 수 있을지..

감사합니다ㅜㅜ

JesusReigns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뭐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뒤져본 결과 Berklee란 학교에서 관련 직업을
소개해서 대충 번역해 올립니다.

음향 관련 직업
Producer - 푸러두서
프로듀서는 스튜디오, 영화, 티비, 라디오 녹음 프로젝트의 창작 리더의 역할을 한다.
프로듀서는 주로 음반을 제작하기 위해 공연 팀이나 음반 회사와 일하게 된다.
또 작곡자와 함께 영화나 TV 혹은 다른 형태의 멀티미디어를 위해 필요한 녹음도
제작한다. 프로듀서는 연주자 섭외, 녹음 예산 및 자금 관리등 녹음의 전반에 걸친
일들을 감독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티스트가 녹음할 곡을 선택하도록 돕기도 한다.
이상적이라면, 프로듀서는 스스로가 많은 공연 경험과 깊은 음악적, 음향학적 그리고
스튜디오 기교와 이해를 지닌 뛰어난 음악가여야 한다.

Engineer - 언지니어
녹음 엔지니어는 녹음이 진행되는 동안 사운드보드(콘솔등의) 및 관련 전자기기들을
운영한다. 녹음 엔지니어는 프로듀서의 감독하에서 녹음 세션(한건 한건의 녹음)을
진행한다. 엔지니어는 세션을 갖기 전에 장비를 세팅하고 프로듀서나 연주단과 함께
토론하여 최종 결과물의 소리에 대한 요구를 받는다. 그 이후, 프로듀서 예술가나
밴드의 원하는 결과물을 내기까지 소리를 만들어 가는 것은 모두 엔지니어의 몫이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녹음된 트랙들을 믹스해서 필요한 제품을 만드는 일도
하게 된다.

Assistant Engineer - 어시스트 언지니어
어시스턴트 엔지니어는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일하며 레코딩 엔지니어를 도와 기기
세팅, 녹음, 믹싱등의 작업을 돕는 일을 한다. 레코딩 엔지니어의 지시대로 일을 한다.

Production Assistant - 프로덕션 어시스트
프로듀서의 오른팔에 해당되는 사람으로, 녹음 세션을 위해 음악가, 연주가등을
섭외하는 일이나 스튜디오 섭외, 스케쥴, 전화 및 이메일 연락을 취해서 관련자들이
녹음 세션이 있는 때와 장소에 반드시 참석할 수 있게 하고 세션 중 필요한 스튜디오
장비 세팅, 장비 반납등  담당 프로듀서에게 필요한 세세한 작업들을 처리한다.

Studio Manager/Owner - 스튜디오 관리자 / 오너
스튜디오 관리자는 레코딩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일을 한다. 혹은 혼자서 혹은
회사의 일부 지분을 갖고 운영을 하게 되는데 스튜디오 메니저는 스튜디오
부킹(예약), 엔지니어 섭외 혹은 스케줄, 스튜디오를 홍보하는 일, 스튜디오
전반에 걸친 예산, 경비 관리등을 하게 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 또 한가지
중요한 역할은  엔지니어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생길 수 있는 마찰을 중재하여
클라이언트가 만족을 얻도록 하며 사용료를 비롯한 클라이언트와의 모든
회계를 담당한다.

Sound Technician - 음향 기술자
음향 기술자는 라이브 공연시 좋은 음질의 소리가 나도록 하는 일을 한다. 보통
음향 기술자들은 공연팀이 도착하기 전에 먼저 공연 장소에 도착해서 장비와
악기를 내리고 설치한다. 장비의 위치지정하는 일도 맡게 되며 음악가나 연주자등과
함께 사운드 체크를 하며 가장 좋은 소리가 나오도록 한다. 적지 않은 경우 공연
중 콘솔등의 사운드 보드를 운영하게 된다.

Acoustic Consultant - 음향 컨설턴트
음향 컨설턴트는 컨서트 홀, 체육관, 경기장, 스튜디오, 클럽, 교회등의 오디오,
비디오에 관한 설계(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근데.. 번역하다보니까 무지 많네요 .. 눈 아파서 뒤엣 것은 나열만 ^ ^

Audio Engineer for Videos - 비디오를 위한 오디오 엔지니어
Digital Remastering Engineer - 디지탈 리마스터링 엔지니어
Live Sound Engineer - 라이브 사운드 엔지니어
Recording Equipment Manufacturer's Rep/Customer Service - 녹음기기 제조사에서 근무

Mastering Engineer (Post-Production Engineer) - 마스터링 엔지니어 혹은 포스트 프로덕션 엔지니어
최종 믹스를 스튜디오나 밴드나 연주자에게서 받아서 EQ, 각종 이펙트, 때에 따라선
컴프레션등을 하여 최종 터치를 하는 작업을 한다.

Multimedia Developer (Interactive Multimedia Specialist) - 멀티미디어 개발자
Record Company Staff - 레코딩 회사 근무
Recording Studio Set Up Worker - 스튜디오 설치 근로자
Studio Designer - 스튜디오 설계
Studio Technician/Maintenance - 스튜디오 관리 기술자
전체 1,059건 / 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02 명
  • 오늘 방문자 4,547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7,83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1,444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