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Apogee Ensemble을 Standalone Converter로 사용하는 방법....

페이지 정보

본문

사용중이던 구형 Apogee Rosetta 를 처분하고 앙상블로 갈아탔습니다.
로직에서의 사용법은 알겠는데, 프로툴스와의 연결을 잘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컨버터로만 쓰려면 어떻게 사용하는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메뉴얼에도 이부분이 잘 안나와 있네요...

회원서명

SIGNATURE

전기영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저도 정말 궁금하군요.

이번에 오디오가이에 새롭게 입사한 공은주양이 맥북을 가지고 있어서. 저희도 앞으로 외부녹음은 아포지 앙상블로 진행하게 되었답니다.^^

어쿠스틱러브님의 댓글

앙상블이 스탠드얼론이 되던가요? 안되는걸로 알고있는데...

그리고, 프로툴은 전용의 인터페이스가 있어야 합니다. 앙상블은 거의 로직 전용이라고 볼 수 있죠.

누엔도, 큐베이스등과 물려봤을때 로직에 비해 4배 이상의 성능저하가 있습니다.

아포지에서 풀어야할 숙제이기도 하구...애플과의 관계가 있으니 로직전용으로 남을 가능성도 있구요.

저두 앙상블이나 심포니로 시스템 구축하려다 다른걸로 갔답니다.

운영자님의 댓글의 댓글

버젼을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앙상블은 맥 OS 버젼에 따라서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희는 맥용 누엔도와 트랙션에서도 앙상블이 매우 잘 동작하고 있답니다.


앙상블은 로직전용이 아니고 맥킨토시 전용으로. 맥 OS 모든 소프트에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Alex님의 댓글

어쿠스틱러브님~
운영자님이 글 남기셨었어요
펌웨어 업으로 된답니다!

http://www.audioguy.co.kr/board/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24536&page=2

온유한소리고파님의 댓글

펌웨어 업으로 정말 다른 아포지 컨버터들 처럼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는
아직 오디오가이 어느분도 사용해 보시지 못하신듯 합니다^^
저도 무지 기다리고 있습니다~!
만약 피씨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면 이걸 당장에 확~!!!

운영자님의 댓글의 댓글

넵. 영자가 한번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앞으로 이렇게 사용할 예정이랍니다.

어쿠스틱러브님의 댓글

아...^^스탠드얼론도 지원하게됐군요^^
정보가 느렸습니다.ㅎ...
다만 제가 써본 환경은 g5에서 로직과 누엔도 비교 테스트시 로직은 32버퍼 설정도 가능하고 무리 없이
돌아갔고요, 누엔도에서는 버퍼를 256은 해야 팝이나 클릭노이즈가 없었습니다.
g5와 앙상블은 비엘에스 측에서 제공받아 데모로 돌려봤구요.
현재는 맥프로에 큐베4, 파페800을 쓰는데 씽씽 달리네요...

전기영님의 댓글

영자님, Power Mac G5 Quad 이구요. 버전은 Tiger 10.4.8 입니다.
S/pdif 단자를 이용 앙상블을 거쳐 Digi002로 들어갔다가, 다시 Digi002의 S/pdif 아웃 단자로 나와 다시 앙상블을 거쳐 모니터로 들어가는 순서입니다. 사이트에 가보아도 달랑 그림만 있고 설명이 없네요,
메뉴얼은 2006년 3월에 만들어진걸로 되어있어서 스탠드 얼론에 대한 이야기가 없어요.
도와주세요~

박성원님의 댓글

전 PC사용을 하고 있는데 이놈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오로지 맥용이라는 거

이거땜시롱...  보류하고 있었는데  얼마전 영자님의 글을 읽다가 - 컨버터로 독립된 기능이 된다는...

기사를 읽고 아포지 본사 사이트에 가보았더니 홈페이지 첫 장에 설명이 있더군요.

대략적인 내용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후

마에스트로 소프트를 통한 라우팅및 설정값들을 세팅후 이 설정사항을

앙상블에 플레시 메모리에 다시 저장한다고 하는거 같던데요.


단점은 마에스트로 프로그램이 맥용 뿐이라는점...  -_-;;;

아포지에서 마에스트로 소프트웨어 만이라도 PC용으로 나오면 좋겠는데...



실험에 성공 하시면 대대적으로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럼 수고들 하시구요.


참!  죄송한데요.

요놈이 AD8000과 비교해서 소리가 어떤놈이 좋을까요???

소리의 밀도라던가, 색감에 있어서...

후냉이님의 댓글

죄송하지만 이번 NAMM SHOW 를 통해 한국의 소비자는 PC VERSION을 원한다고 했지만

맥용으로도 충분히 전세계에서 판매량이 만족할 만하다는 답변... 흑 !  ㅜ.ㅜ;;

판매량이 저조할 수 밖에 없는 약소국의 비애라고나 할까나...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우리나라처럼 IBM의 점유율이 그렇게 높지 않나 봅니다.

그리고 AD8000.... 참 명기져....세월이 지나도...

금액도 그렇고 AD8000 소리가 더 좋지 않을까요?

전기영님의 댓글

본사에 문의 해본결과 다음주나 늦어도 두주후에는 완전 스탠드얼론으로 쓸수 있다고 하네요.
새로운 드라이버가 나올듯.... 레지스터한 고객에 한하여 이메일 통보한다고 합니다.
구입하시고 등록 안하신분들.... 꼭 등록하세요.

오지성님의 댓글

다른 이야기인데... 미국은 생각보다 애플의 점유율이 높답니다.

우리나라는 어디가나 Windows이지만, 미국은 대학에 들어가보면(적어도 제가 갔던 2~3개 대학 시설들은...^^;;) Mac인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답니다.^^

어쿠스틱러브님의 댓글

맥의 점유율이 미국에서만큼은 작년말부터 꾸준히 상승해 현재 6%대까지 진입했습니다.

운영자님의 댓글의 댓글

태희님 오랫만에 글을 올리셨군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앙상블 사용자이신 태희님꼐서 언제 한번 사용기 부탁드릴께요^^
전체 34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96(1) 명
  • 오늘 방문자 4,744 명
  • 어제 방문자 5,950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68,702 명
  • 오늘 가입자 2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8 명
  • 전체 게시물 319,087 개
  • 전체 댓글수 193,42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