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베이스 트랩대신에 쿠션을 사용해도 될까요?

페이지 정보

본문

운영자님 스튜디오에 가서 Dangerous 2-bus LT사운드의 아름다움에 놀랐습니다.

 작업대 뒤에 설치하신 베이스트랩에 자극 받아서,

 제 스피커와 벽사이(20cm 정도)뒤에 두터운 쿠션으로 방진을 해보고 있습니다.

 Left 스피커 + LCD + Right 스피커  의 기장이 총 1미터정도 되는데요.

 40센티정도 기장의 쿠션 세개로 촘촘히 틈을 차단하여 설치하였습니다.


 옳은 방법인가요?


 스피커의 후면부와 벽사이를 두터운 쿠션이 타이트하게 막아주고 있습니다.

 
 제가 오디오인터페이스를 에코오디오파이어 12로 바꾼후에

 이전의 DELTA 1010 보다 더 시원하고 깨끗한 사운드를 듣게 되었지만,

 사운드도 균형잡인 타원형의 구가 아니라, 수직으로 너무 길고 센터로 밸런스가 너무 쏠린듯한

 소리여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좋은 소스와 나쁜 소스의 차이, 믹싱의 차이도 느끼기가 어려웠습니다. 귀도 더 아팠구요.

 예를 들어 Ableton Live의 ITB 익스포트된 사운드와 아날로그 시그널 패스를 거친 사운드의

 차이도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였으니까요.

 특히 센터부분의 소스들이 약간 불투명하다고 결론을 내었습니다.

 저음도 너무 크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방안에 부밍도 좀 심해젔었구요.


 그래서 쿠션으로 방진을 해봤는데요. 결과는 긍정적이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설치 이전의 차가운 소리에서 따뜻하고 촉촉한 소리로 바뀌었습니다.

 그동안 벽에 반사된 소리들이 사운드를 차갑게 만들었던 건가요?


 또한 사운드의 깊이와 공간감은 살아났구요. 센터부분의 소스들은 더 선명하게 들렸습니다.

 저음은 부밍이 덜해젔구요.


 제가 추측하기에는 스피커뒤 벽을 반사하는 저음들이 센터의 중고음소스들을 가렸던 현상이

 없어저서 소리가 더 깊어진거 같은데요.


 
 옳은 방법인지 여쭙니다.


 항상 현명한 길로 인도해주시는 오디오 가이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관련자료

남상욱님의 댓글

쿠션을 사용하신 것은 매우 좋은 아이디어 입니다. 쿠션속의 솜 재질의 밀도가 크면 클 수록 더욱 효과가 있구요, 몇장을 겹치시는 것도 좋은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좀더 큰 효과를 원하시면 두꺼운 겨울용 솜 이불을 원통형으로 말아서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네 지점에 세워놓으시면 됩니다. 보기가 그러시면 맘에 드시는 겉이불을 구하셔서 한번더 덮으시면 좀 낳아질 것 입니다.

임우휘님의 댓글

벽이 만나는 구석에 이불더미들을 놓았더니 정말 개선이 되더군요.
항상 느끼는 거지만, 룸 트리팅이 정말 중요하다는걸 요즘 느끼네요. 특히 방에서 누워서 들었을때의
저음 반사음들이 상당히 줄어든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좋은 의견 정말 감사드립니다.

코알라님의 댓글

어떻게 얼마나 정확히 룸의 구조를 이해하고 설치하느냐가 문제겠지만,,
저같은 경우 디퓨저 보다..
베이스트랩이 개선의 효과가 상당했습니다.

전 베이스트랩을 자작했었는데도..효과가 상당히 좋았었습니다.

johannes님의 댓글

베이스트랩...보통 간이 작업실 벽에 바르는 스펀지로 된 올록볼록한 그걸 동그랗게 말아써도 좋더군요...

남상욱님의 댓글의 댓글

효과가 없지 않겠습니다만, 밀도가 너무 낮아서 생각만큼의 효과(가격대 성능비)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저역의 컨트롤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흡음재질의 "밀도"입니다. 미네랄울이나 겨울용 이불에 들어가는 솜을 이용해서 벽과 벽이 만나는 지점에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도록 프레임을 짜고 그 속을 가득 채운후 fabric마감을 하면 아주 훌륭한 베이스 트랩이 됩니다.

최근의 경향은 특정한 주파수를 겨냥하는 베이스 트랩보다는 보다 넓은 대역을 담당하는 wideband 트랩이 더욱 효과적이며 음악적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벽에 프레임을 짤 수 없는 상황일 경우 원통형태로 말아 놓는 방법이 대안일 테구요, 저는 제 집의 리스닝룸의 경우 겨울용침낭으로 실험을 해봤는데 아주 좋은 효과를 보았습니다. 이미 둘둘 말아져 있으니 그 상태 그대로 몇개를 쌍하서 각 모서리에 놓으니 효과가 좋더군요.

johannes님의 댓글의 댓글

가격대 성능비는 좋은데 효과가 크진 않았습니다...^^ 정확하게 2만얼마 들었던기억이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좋은 답변을 주셔서..^^

남상욱님의 댓글의 댓글

아 가격이 생각보다 높지 않군요. 여러장을 최대한 부피를 줄여 말아보면 좀더 효과가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문제는 부피가 커지면 저역 뿐 아니라 중역과 고역의 불필요한 흡음이 "많이" 늘어나기 때문이거든요.

johannes님의 댓글의 댓글

아..그렇겠군요...그건 문제가 될거 같습니다. 중역과 고역의 흡음.....효과가 크지 않았기때문에 느끼지 못한거 같네요..중요한 문제라 생각합니다.
전체 5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16(1) 명
  • 오늘 방문자 5,008 명
  • 어제 방문자 5,516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86,816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61 명
  • 전체 게시물 326,205 개
  • 전체 댓글수 193,425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