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전원 트랜스 질문 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아나로그 장비는 전원 트랜스가 사운드의 많은 영향을 준다고 들었는데요.
 그럼 디지털 장비 예로 리버브나 이펙터 프로세서 같은 경우는 어떠한지요?
 AC 아답터를 사용하는 장비는 정류회로나 평활회로가 다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데
 아답터 분실로 다른 규격품으로 대체하면 소리가 많이 변할까요? 같은 규격의 SMPS 아답터는 음향기기에 사용해서는 않되는지요?
  전문가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디지털 기기에서도 분명 영향이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디지털에도 아날로그 신호가 입출력이 되니까요.

순수 디지털 기기라고 하더라도 파워케이블만 바꾸어도 저의 경우는 분명한 음질차이가 난다고 생각합니다.


과거 오디오가이 스터디때 파워케이블 서너종을 테스트해서 들어본적이 있는데.

함께 듣던 사람 모두 파워케이블에서 이렇게 소리차이가 많이 나는구나..라고 생각하였답니다.

mark님의 댓글

power supply 를 잘모르시는 분들이라면 ...^^
사용전압같고 출력전압,용량 같으면 무슨 문제이겠는가 ?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어느 기기이던 그기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전원부 입니다.
그만큼 전원부의 역할이 중요 합니다.
더해서 그전원부가 smps 인 경우는 그정도가 더심각 합니다. smps 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해서 특히 디디털기기인 경우 시스템 전체를 흔들어 버릴수 있기 때문 입니다.
고급 기기의 경우 대부분의 전원부는 smps 를 사용하지 않고 트랜스(고급 트렌스) 가 들어간 리니어 타입을 채용 합니다.

전원부 중요하지만,,,,그기기의 성격에 발 맞아야 겠지요...
만원정도 하는 기기에 10만원정도의 전원부를 사용한다던가 하면 조금 웃기겠지요 ?

질문의 정도로 보면 오리지널이 외장 아답터를 사용했던 기기라면 같은급의 외장 아답터를 사용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3Dsound님의 댓글

렉시콘 리버브는 전원부가  스위칭 파워라고 사이트에 나와 있는데요. ( mpx1. pcm 시리즈)            smps도 경우에 따라 다른건지...

이정석님의 댓글

과거의 SMPS는 스위칭 노이즈의 문제 (범용 10KHz ~ 50KHz 사이) 였지만 근래의 SMPS는 100KHz~500KHz입니다
디지털에서는 낮은 클럭이고 아나로그에서는 높은 클럭이라 문제가 없습니다
디지털의 클럭은 최소 27MHz로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에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아나로그 회로에도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없는 높은 수준의 노이즈라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사용하시고자 하는 SMPS의 PWM 변화폭이 50KHz 이상에 있다면 어떤 장비라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SMPS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주파수 클럭이 낮거나 출력 전류에 따른 PWM 주파수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음향 장비 업체들이 SMPS를 채용하는 장비는 대량 생산을 하는 장비이고, 형식 인증 문제로 인해 거추장스럽게 SMPS를 채용하지 않거나 (리니어 전원부보다 인증에 필요한 기술 문서와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소량 생산일 경우 SMPS는 리니어 전원부도 2배 이상의 원가가 투입됩니다
그래서 채용하지 않는 것일뿐, 요즘의 디지털 음향 장비들의 전원부는 SMPS를 많이 채용하고 있고, 앞으로도 신규 장비들에는 SMPS를 많이 채용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SMPS는 험이 없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싸 채용하지 않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체 26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49 명
  • 오늘 방문자 2,720 명
  • 어제 방문자 5,777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60,72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6 명
  • 전체 게시물 315,273 개
  • 전체 댓글수 193,41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