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접지] 아무래도 찜찜해서, "접지"와 "멀티탭" 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현재의 상황을 설명 먼저 드리고, 질문을 드립니다.  복잡해 보이더라도
이해해 주셔요

1. 메인두꺼비집에서  하나를 따서, AVR 로 연결  ( 두꺼비집 과  AVR 은 접지 )

2. AVR 에서 컨트롤룸으로 220 콘센트 1개  (그 콘센트의 구멍은 두개 )
  ( AVR 과 컨트롤룸 콘센트 와는 접지선이 안가있는 상태로 시공되어 있네요  ㅡ.ㅡ;;)

  - 그 콘센트 의 구멍1 : 멀티탭 으로 각종 음향기기들과 PC 등 연결
                                - 기기는 이펙터 4개, 마이크프리2개, PC 2개, 스피커 3조, LCD 모니터 2개,
                                  PDP TV 42인치 , 잡다한 CD 플레이어, 인터넷 허브 등
  - 그 콘센트 의 구멍2 : 믹서가 110 이라  다운트랜스 연결  트랜스와 믹서파워 연결

위의 상황에서 질문 드립니다.

<질문1> 추가적으로 AVR 과 그 콘센트 사이에 접지선을 넣어서, 연결해주는 것이 좋은가요?
    그리고, 그렇게 해야 한다면, 어떤 전선을 어디서 사서  등..  시공시 유의사항 부탁드려요  ㅡ.ㅡ;;

<질문2> 지금 위의 2번 글처럼 믹서만 하나의 구멍으로 따로 믹서쪽으로 주었는데
    이게 지금 효율이 옳은 것인지요?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배분하실지..

<질문3> 멀티탭을 싼걸 쓰구 있는데, 멀티탭 업그레이를 할까 합니다.
    정말 비싼 멀티탭이 확 차이가 나는 효과가 있나요?
    어느 회사 제품을 어디서 구입하는 게 좋을까요?
    그리고, 멀티탭을 쓰더라도  구멍에서 나와서 또 분배해야 할텐데..
    음 필요한 전원 구멍이 얼추 35개는 될터이니데..
    좋은 멀티탭이 많이 비싸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꾸벅~~~

----  번거로우시겠지만.. 질문 1,2,3 중 아시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하나라도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jky님의 댓글

질문1의 답변
-어스(접지)공사 하심이 좋습니다.
이유는 접지가 안되어 있으면면 우선 전기잘통하는 몇몇 특수한 분의경우 스파크를 동반한
기기 무리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한 기기 자체에도 좋은 컨디션을 유지해주기 힘듭니다.
가장 편한 접지 테스트는 콘센트에 PC를 전원선만 연결 후 전원 켜지마시고 모니터등을 연결한 후
뒷판넬에 손을 대어보시면 됩니다.(모니터는 전원 켜시길..) 혹은 저가 장비나 믹서 같은 녀석들도요.
찌릿~ 하면 정말 위험한 수준이므로 무조건 접지하셔야합니다.

문제는 그 콘트롤룸의 2구 콘센트 자체에 접지단자의 유무입니다만..
확인 방법은 1구를 자세히 보심 돼지코인 2개 접점단자 외 아래 위로 쇠로된 핀이 보이면 접지단이 있는 콘센트고
없으면 접지단이 없는 콘센트입니다.

** 콘트롤룸의 콘센트에 접지단자가 있는경우.
일반적인 구리단선 3~5mm짜리 정도 넉넉한 길이로 구입하셔서 피복을 살짝 1cm정도 벗기신 후에
콘센트를 뜯어보면 돼지코 부분이랑 연결된 2개의 금속판과는 별도로 접지부분과 연결된 1개의 금속판이 있습니다.
거길 연결 후 다른 한쪽은 수도꼭지 같은데다 적당히 피복벗겨서 감아놓으심 됩니다. AVR의 접지단에 같이
접속해도 되겠지요.

** 콘트롤룸의 콘센트에 접지단자가 없는경우.
접지콘센트가 아닌 일반 콘센트라면 접지콘센트로 갈아준 후에 위의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어차피 규격은 같으니
콘센트부분을 뜯어서 접지단이 있는 콘센트 앞부분만 하나 구입하셔서 연결하시면 됩니다.

질문2
-저라면 차폐트랜스로 광명을 찾겠습니다만.. 저리 배분하셔도 특별하게 문제는 없습니다.
어차피 총 사용전력에서 AVR에 과부하만 안걸리는 수준이라면 어케 배분하셔도 문제없어요.

질문3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확~ 차이가 납니다. 질문2에 이어서 차폐트랜스달면 훨씬 좋습니다.
(이거 차폐트랜스 업자가 되어버린느낌이.. 쿨럭..)
저 또한 AVR철수 시키고 차폐트랜스 3개로 쇼부 쳤으니까요.^^; 이거면 2,3번 질문 한방에 해결이 되며
차폐트랜스 자체의 그라운드 단자를 이용해서 다이렉트 어스공사하면 1번도 해결해버리죠..
다만.. 가격이 좀... 저야 오됴가이 공구를 통해 싸게 구입해서 나름 대만족중입니다.^^;
최정훈(운영자)님에게 한번 의뢰해보시길...^^;

제 경험상 그나마 전원에 비중을 둔다면...
차폐트랜스>파워케이블>멀티텝이 아닐까 생각이 드는군요.
비싼 멀티텝 몇개를 사느니 차폐트랜스에 적당한 고급 멀티텝을 물리는게 효과가 더 좋았습니다.^^;
(뭐 그래봤자 결국은 전부 고가형으로 다 교체하게 되겠지만요..^^;)

whitemocha님의 댓글

jky 님 ..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현재 AVR 쪽은 넉넉합니다.  10 K 입니다.
차폐 트랜스 여러개로 쇼부 치시라는 말씀이 어떤 방식으로 하라는 말씀이신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차폐 트랜스의 어떤 면이 더효과가 있는지요?

말씀하신 대로 차폐 트랜스를 여러대 쓰는 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배선상.. ^^

제가 설명을 충분히 하지 못했는데요..

저희 스튜디오의 1층의 메인두꺼비 집이 있구요.
컨트롤룸은 2층에 있고, 2층의 작은 방에  AVR 이 있습니다.

즉. 1층 메인두꺼비 집에서    하나의 독립 차단기가  2층의  두꺼비 집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1층과 2층 두꺼비 집 사이는 접지가 되어 있습니다.)

2층 두꺼비집에서 2층작은방에 있는 AVR 로 연결되어 있구요.  ( 역시 여기도 접지 되어 있음 )
2층 작은방 AVR 에서  2층 컨트롤룸의 메인콘센트  ( 여기가 접지가 안되어 있습니다. )

즉, 2층 작은방에서 2층 컨트롤룸의 메인콘센트로는 한쌍의 전기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고로 차폐 트랜스를 여러개 2층 작은 방에 둔다면,  2층 컨트롤룸으로 가는 선을
그 차폐 트랜스 갯수 만큼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의미이신건지요.. 

상세한 설명 한번더 부탁드리겠습니다.  꾸벅  감사합니다

jky님의 댓글

흠.. 이제 봤습니다.
제가 본게 제대로 본것 맞고요.
차폐트랜스는 AVR기능은 기본이고 거기에 여러가지 부가기능이 있습니다.
자체 멀티텝기능까지도 있고요.
(220v~230v:6구, 100v~117v:4구 중 원하는 v로 선택 주문가능. 즉 총 10구의 콘센트가 내장되어있습니다.)

즉 이건 일종의 멀티텝+트랜스 쓰듯이 그냥 쓰면 되는것입니다.
단, 어스공사가 안되어있기때문에 2층 콘트롤룸 메인콘센트에서 차폐트랜스를 멀티텝 물리듯이 다이렉트 물린다음
차폐트랜스 자체 GND(그라운드,접지)단자에 선을 물려서(차폐트랜스가 여러개면 그냥 선하나 죽 따서 브릿지 시키면 됩니다.) AVR의 GND단자에 접지 공사하면 되는것이죠.
(따라서 기존 전기단자를 바꿀 필요가 없습니다. 콘트롤룸의 콘센트도 뜯을 필요가 없구요.
그냥 접지선만 차페트랜스에 병렬로 브릿지하신담에 선하나만 따서 AVR의 GND단에 브릿지 하시면 됩니다.)

그냥 차폐트랜스 한번 검색해보셔도 이런질문은 안나왔을 겁니다만.^^;
(제품소개 사이트 링크걸어드립니다.
http://www.iega.co.kr/product/nature_sell.asp
일루가셔서 직접보시는게빠르겠죠...)

차폐트랜스를 사용치 않을때에는 먼저 알려 드린것처럼 컨트롤룸의 메인콘센트에 접지단확인하시고 있다면
선하나 따서 AVR의 접지단에 브릿지 시키면 해결됩니다.
(없다면 접지단 있는 콘센트를 사서 메인콘센트를 교체하시면 되구요.)
전체 9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306 명
  • 오늘 방문자 1,764 명
  • 어제 방문자 5,625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32,690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6 명
  • 전체 게시물 283,559 개
  • 전체 댓글수 193,392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