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컴퓨터 파워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요즘 전원부쪽 업글을 하면서 즐거운 나날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멀티텝이나 파워 코드는 어느정도 업그레이드 했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느끼고 있는데요. 그런데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가 조립할때 케이스와 한 세트인 저가형 입니다.
파워코드만 바꾸어도 저음부와 음상이 확 넓어지던데(제가 일본쪽 장비가 많아서
 항상 사운드의 아랫도리가 아쉬웠거든요.) 컴파워 서플라이는 어떨까요?
 파워 서플라이 대한 정보와 제품 추천 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관련자료

김요셉님의 댓글

도움이되실지 모르겠으나...저같은 경우엔 전압이 극도로 불안정한 지역입니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습니다만..)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의 경우에는.....아니 어떠한 전자제품도 동일하겠지요
고출력이라면 좋겠습니다만..그것보다..

정격출력의 제품을 사용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정격이 그나마 안정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믿을만한 회사의 제품들(Ex.에너맥스 등등)을 사용하세요.

갑자기 다운 당하는 사태를 미리 예방하실 수 있습니다..

아..컴퓨터 파워의 출력은 최대 출력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그러므로..

파워를 선택하실 때에는 좀 넉넉한 상황이 좋겠습니다.. 의외로 가격 부담이 많이 가지만..

안정성에서의 차이가 심합니다..도움 되시기를..

칼잡이님의 댓글

컴퓨터 파워는 음의 변화보다는 안정적인 기기 운용을 위한데 주안점이 있습니다. 일단 용량이 500w 정도 되는 제품들 중에서 컴퓨터로의 파워공급이 안정적이라고 평가되는 제품들을 고르시면 큰 무리가 없을 듯 싶습니다.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 자체가 AVR같은 일을 하는 놈이라...

유명 제품중엔 시소닉이나 안텍등등의 제품들이 있겠지요. 이런건 컴퓨터 관련 사이트에서 더 많은 자료를 접하실수 있구요.

컴퓨터의 파워가 딸리게 되면 클럭에러같은 틱틱..거리면서 음이 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초보박사님의 댓글

에너멕스 추천합니다.
저는 하드 4개 odd3대를 쓰는지라 550w정격을 쓰고있는데
상당히 안정적이고 소음과 열도 별로 없습니다.
아주 만족합니다. 그전에 알수없는 다운과 오류들이
파워바꾸고 싹 사라졌습니다. 그제서야 컴퓨터 파워가 이리도 중요하단 걸
새삼 느꼈습니다. 어찌보면 이론상 가장 중요한 부분이고 가장 당연한 것인데...

여유가 되시면 용량은 되도록 큰 것을 사시는게 언젠가의 확장을 위해서라도
좋습니다. 정신건강에도 좋구요^^


컴터파워는 각 부품으로 갈때에
각 부품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보냅니다.
avr을 컴터에 또 따로 쓸필요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컴터는 avr을 안물리고 소형 ups에만 물려놨습니다.
제건 소형이라 ups에 avr기능이 없네요...

김요셉님의 댓글

저의 낮은 지식으로 의하여서는 칼잡이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전압 자동 조정 기능 AVR과 비슷해서

필요가 없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물론 과부하가 들어온다면 적정량 이상의 것이 말이죠..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원이 차단 됩니다.. 고로 퓨즈를 새것으로 교체 하면 되지만...

컴퓨터 파워는 특성상 파워내부에 있는 퓨즈의 교체가 만만치 않았던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고로 안정적인 전력이 들어오는 곳이 좋겠죠.. 제가 파워와 전원 때문에 많은 고생을 했었고

지금도 하고 있습니다... 혹여 UPS 추천해주실분은 없나요 ㅠ

동맥 PD님의 댓글

시소닉이 쵝오라고 봅니다

전 8년쓴 시소닉고급형있는데...  아직도 상태가 끝납니다

돈 좀 더주고 파워 좋은거 쓰면 ....  컴터가 아주 안정적입니다

10년도 문제 없을것 같습니다  다만 4개월에 한번쯤...  파워쪽에 먼지는 잘 털어주세요

역시 장비는 관리가 중요합니다

김경수님의 댓글

시소닉이 제일 좋은것 같습니다. 애너맥스 쓰다가 화재가 날뻔한 적이 있어 세븐팀으로 바꾸었다가.. 세븐팀 A/S에 실망해서 시소닉으로 갈았는데.. 수리센터 갈 일 자체가 없네요.

컴퓨터에 내부전원을 사용하는 장치가 많다면 600W 급도 가능하나.. 대략 400W 정도 이상 넘어갈 일은 별로 없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용량이 크다고 전기가 많이 먹는 것은 아닙니다만, 구입가격이 사백와트와 육백와트는 두배 가량입니다.

참고하십시요.
전체 26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15 명
  • 오늘 방문자 4,045 명
  • 어제 방문자 6,322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46,90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6 명
  • 전체 게시물 286,109 개
  • 전체 댓글수 193,396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