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2BUS LT의 효율성과 MIDAS VENICE 240에 관한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에 2BUS LT에 관해 여러모로 생각을 해 봤는데요... 뭐 잘 사용중이긴합니다만 그래도 내린

결론은 소리는 좋지만 너무 기능이 없어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의문이 드는군요

이유인즉슨 일단 2BUS LT를 풀가동할려면 16채널 이상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내지는 컨버터가 거의 필

수인거 같고 그렇지 않고 저처럼 8채널짜리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되면 반만 사용하는셈이 되버

려서 8채널은 걍 노는상태가되는데 그렇다고 같은 인터페이스를 2대 연동해서 사용하거나하는건

웬지 별로 해보고 싶지 않구요 ㅎㅎ;; 물론 모투를 사랑하지만  2대가 나란히 있는건 좀 흉해보여서;;

두번째 이유로는 외장악기 사용비율이 VST보다 좀더 많은 저로서는 외부믹서(맥키)을 경유해서 2BUS

LT와 아웃보드를 통과한 소리가 다시 모투인풋으로 들어가게 됨에따라 어쩔수 없이 발생하는 노이즈와

레이턴시도 좀 신경쓰이고 2BUS LT도 게인이 풀로 돌아가면 소리는 더 좋아지는것 같은데 꽤 신경쓰

이는 잡음이 생기더군요...;; 그래서 전 12~1시사이에 놓고 사용하는데 다른분들은 어떻게 사용하시는

지 모르겠어요 물론 퀄리티 좋은 2트랙레코더가 있다면 상황은 많이 달라지겠는데 현재는 부재중이

고 그래서 잠정적으로 내린결론은!  2BUS LT를 처분하고 MIDAS VENICE 240같은 퀄리티 좋은 믹서를

구입, 10채널정도는 외장악기용, 8채널정도는 서밍용 그리고 나머지 채널은 보컬,꽹가리, 하프 ,아코디

온등 etc...로 사용하고 또 컴프는 인서트 시켜서 사용하면 여러모로 더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인데요 일

단 이런식으로 사용해서 생길 수 있는 장점을 나열해보면 VENICE의 퀄리티 좋은 마이크,라인프리와 EQ

등을 채널별로 사용할 수 있고 컴프, 필터등 인서트입력을 활용 ,다양한 라우팅이 가능하고 시그널이 2

개의 믹서를 경유하는 과정을 1개로 줄임으로 줄어드는 노이즈,레이턴시 그리고 외장악기가 맥키의 질

감이 섞이지 않아도 된다는점 대략 이런것들이 있겠구요... 단점으로는 2BUS LT의 2배의 가격...

ㅎㄷㄷ;; 그리고 2BUS LT의 질감을 잃는다는점... 이건좀 아쉽긴합니다만 ㅠ..ㅠ 이렇게 크게 2가지정도

가 있는거 같은데 현재 베니스를 이런식으로 활용하고 계신분이 있다면 꼭조언좀 부탁드리구요 굳이 베

니스가 아니더라도 괜찮습니다 제가 예측하지 못할 수 있는 외부믹서(퀄리티좋은)를 서밍용도로 사용

했을시에 생기는 단점들 이나 이런저런 이견들과 코멘트들,충고,조언좀 부탁드릴게요^^

아니면 된장남이라고 욕을해도 괜찮습니다 ㅋㅋ

베니스가 좀 비싸긴해도 2백만원을주고 반만 사용하는거보단 5백을 주고 모두 사용하는게 낳단

생각입니다만...

그럼 좋은밤들 되시구요 (__)꾸벅

관련자료

dk님의 댓글

외장악기를 많이 사용하신다면 평소 작업에 바로바로 투입이 좀 불편하시겠습니다.
좋은 믹서를 사용하신다면야 당연히 2-BUS LT 의 역할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고 보는데요.

저는 예전의 BEST 라고 생각하던 세팅이 악기들 --> 02R 96 --> AES/EBU 로 192 I/O 로 입력이었거든요.
외장 악기들이 많았던 시절이라 작업할 때 굉장히 편했고, 노이즈, 레이턴시 등에서 너무나 자유로웠죠.

그런데 제가 세팅을 변경한 이유는 가상악기를 사용하는 작업이 많아진 부분도 있지만
요 근래에 여간한 A/D, D/A 컨버터들의 품질도 상당히 좋아졌고 (모투도 상당히 좋아졌네요)
믹스 작업 시에는 항상 외장 악기들을 미리 프리만 거쳐서 트랙킹을 해놓기 때문에
결국 뭐 이것도 최소화 된 루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DAW 가 편리하니까요.

두서없이 정리가 안되는데... 요약하자면
간편하고 저렴한 시스템 필요없다 하시면 좋은 믹서를 쓰시는게 저도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콜드컷님의 댓글

dk님 안녕하세요 답글이 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조언 감사드리구요

외장악기때문에 그리 불편한 점은 없구요 다만 매키 믹서를 오래 사용해왔고 스피커도 매키라 좀 색깔이 다른

라인프리를 사용해보고싶어서 고민했었는데요... 마이다스는 수입사에 문의해보니 가격이 말도 안되게 올라서요

쫌  당황스러웠다는...;; 그리고 2개의 믹서를 경유했을때 생기는 노이즈나 레이턴시 부분은 제 모니터링 세팅에 영향

을 받았던것 같습니다 2 bus에서 컴프를 거쳐 모투로 다시받은걸 daw상에서 aes / ebu아웃으로 모니터링 버튼을 켜

고 레코딩을 확인하는 방식였는데 이럴때 좀 레이턴시, 노이즈 문제들이 생겼던거 같아요

별로 좋지 못한방법여서 2트랙 레코더로 컴프아웃을 받고 레코더아웃이 다시 모니터컨트롤러(디박스)쪽으로 가는

세팅으로 변경해보니 문제들이 말끔히 사라졌네요...추후 오디오인터페이스를 16채널로 변경할 예정여서 2BUS LT는

그냥 사용하는 방향으로 정했습니다 세팅이 다시 제대로 잡히니 2BUS LT역시 소리 너무좋아요ㅠㅠ 아무리 생각해도

가격대 성능비로는 2BUS LT만한게 존재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아 그리고 울트라라이트는 2대 나란히 세팅해놓으니 멋지네요 전 덩지가 큰 896이라 2대 세팅하면 흉해보일까봐

좀 무섭군효..;;

아메바님의 댓글

질문입니다..^^

2BUS LT 보면 메인아웃LR이 2개가 있는데요..
 이것은 각각 8채널씩 할당인가요... 아니면 16채널이 중복된것인지요?

만약 8채널씩 할당이라면... 2트랙레코더나 마스터 컴프로 들어가기 위해서
(16채널서밍시)서밍아웃 4채널을 2채널로 만들어야 할텐데..이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요즘 16채널 서밍구상 때문에 골치가 아픈데요..^^:

dk님의 댓글의 댓글

간단합니다.  16 채널, 2 버스의 출력이고, 그냥 페이더, 팬 등의 기능이 없는 믹서일 뿐이예요.
메인 아웃이 2개가 아니라 하나는 레코딩용 메인아웃, 하나는 모니터 아웃입니다.

DAC --> 2BUS LT --> 레코더 / 모니터... 끝입니다.

콜드컷님의 댓글

8채널씩이 아니구요 아웃풋 메인과 모니터 둘다 16채널 이고 동일한 시그널이 출력됩니다 그냥 이름처럼 16채널 2bus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익스팬션은 2대의 2bu lt를 연결하거나 이펙트 리턴으로 사용하실수있구요 전면부에 보시면 모노버튼과 노브형태로 된 2가지 타입의 게인컨트롤이 있는데요 모노 게인버튼은 2개의 다른채널의 패닝을 스테레오 페어로 묶어주는(센터로) 기능이 있고 우측의 미터는 마스터게인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측마스터게인의 유니티는 우측끝까지라고 되있는데 12시정도로 놓고 사용하는것이 전형적인 믹스에서는 더 좋다고 권고하고있지만 직접 들으시면서 음악적으로 발란스를 맞추시는게 더 좋을것 같습니다^^;; 서밍시스템 구성 축하드립니다~훗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14 명
  • 오늘 방문자 3,359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6,64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1,019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