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Daw 내부믹서 믹스시에 컴프의 사용갯수

페이지 정보

본문

Daw의 내부믹서를 할때 컴프의 갯수는 몇개가 적당할까요?
우선 저는 약 20개의 트렉을 믹스한다고 했을 때의 컴프는 일단 3가지는 기본으로 해둡니다 (샌드용으로)
1. 어택이 빠르고 릴리즈가 느린것
2. 어택이 들빠르고 릴리즈가 들느린것
3. 어택이 느리고 릴리즈가 빠른것
그리고 보컬이나 중요하다 싶은 것들만 컴프를 따로 걸어주고 있는데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나 싶어서요
주 사용툴은 누앤도입니다만
어떤 다우던 컴프 20개 물리면 힘들지 않나요?
제가 옳지 않아 보이시다면 충고 부탁드리고요
다른 사용방법들이 있으면 소개 부탁합니다!

참고로 제 노트북 사양은 T4200 듀얼코어2.0 300GB
스펙이 좀 딸리죠? ^^;

관련자료

thenote님의 댓글

Comp 를 Send 에 걸어서 사용하신다구요? ^^:::

Parallel Comp ( New York Comp ) Style 을 하시겠다면야 지금의 사용 방법으로도
사용하실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Comp 는 오디오 시그널 자체에 수정을 가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Effect 입니다.

각 트랙마다 Insert 로 사용하시는 걸 기본으로 하시고 나중에 필요에 따라서 Send 로 빼서
따로 시그널 처리를 하시는 게 나을 듯 하네요 ^^

그리고 Send 용으로 뺀다고 치더라도 각 트랙별로 따로 Send Effect ( FX Channel ) 을 만드셔야지
그룹으로 Send 로 뺀다면 그 그룹에 들어오는 시그널 중 하나라도 Compressing 할 요건이 생기면
Comp 를 해 버릴텐데 Comp 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기 힘들 겁니다. ^^:::

Comp 는 각 트랙에 Insert 에 필요에 따라서 물리거나 빼거나 한다라고 생각하시고
이후에 Group Track 으로 악기군을 묶었을대 Group Bus Comp 를 따로 물린다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PC사양이 무척 나빠서 누앤도3조차 돌리기 힘든 컴으로 공부할때 들인 습관입니다
근래에도 특별한 악기가 아니면 그렇게 조작해왔는데 앞으로는 인서트로 비중을 높여봐야겠네요~

eachday님의 댓글

컴프에 대한 개념이 잘못 잡히신거 같네요
궁금한것이..독학을 하신건지 아니면 누군가 이렇게 알려주신건지요?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그룹컴프를 사용하면서 컴프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효과를 보는 방법으로 낸 생각이었습니다
누가 알려준게 아니니 독학이겠네요 ^^;
음향에 관한 몇권의 책자 어디에도 인서트에만 걸고 샌드에 걸지 말란 얘기는 없어서 용감하게 한것 같습니다
좀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

fevernigga님의 댓글

잘 모르지만 초보지만 그냥 지나가다가 한마디 써 봅니다.
컴프레서는 cpu한계치나 정해진 숫자를 띄워두고 사용하는게 아니고 음원 소스에 따라 필요할 때에 사용하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다이나믹을 조절하는 이펙터나보니 오디오트랙이든 그룹트랙이든 insert에 거는 것이 기본이구요.
컴프레서의 종류를 어택과 릴리즈 타임으로 구분하셨는데 그 수치들은 소스와 음악에 맞춰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종류를 나누고 싶다면 다이나믹이 변화하는 질감이나 소리가 앞으로 튀어나오는지 들어가는지에 따라서 구분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오리지날 트랙과 컴프레싱한 트랙을 섞어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목표로 하는 경우에 혹은 그밖의 필요에 따라 센드방식으로 컴프레싱을 할 수는 있겠지만 일반적인 방법 먼저 파악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여러개를 띄워두고 send를 통해 사용하는 것은 리버브나 딜레이 같은 공간계 이펙터들이 보통이고 그것도 물론 의도
에 따라 인서트에 걸 수는 있습니다.

노트북 사양은 크게 부족해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보다 부족한 사양으로도 탄생한 앨범들이 많고 부족할 때는 누엔도 오디오 메뉴 중 바운스 등을 통해 작업이 가능합니다~리버브쪽이 CPU를 좀 많이 먹긴 합니다. 누엔도에서 f12누르고 사용량을 모니터 할 수 있어요.

저는 별로 아는거 없지만 그냥 함 써봤습니다. 틀린 부분은 다른 고수분께서 지적해 주시면 저도 배울 수 있겠네요~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제 경우는 튀어나오는 색을 리미터, 멕시마이저로 하고 있습니다 컴프는 존재감정도로만 해주는게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질문에 있듯이 노래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건 따로 컴프를 겁니다
인서트를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좋은 소리를 내도록 노력해야겠네요 ^^

soundmaker님의 댓글

컴프를 걸면서 레벨이 올라간 것에 대해서 속지 마시고 컴프를 거는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안정된 다이나믹 레인지 확보와 엔벨로프의 변화를 주어서 사운드 이미지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죠~

걸면 무조건 좋다?? 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사용하지는 마세요~
자기 몸에 좋은지 나쁜지도 모를 약을 무조건 좋다고 먹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면 청심환??  ^^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막연한 기대가 역시 있었습니다 ^^;
주로 존재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이큐전의 보정작업으로 개념을 적립하려고 했습니다
적절한 예인지는 모르겠지만 믹스테크닉 99에 '컴프로 느낌을 살린 후 EQ를 걸라'는 식으로요
컴프의 의존도를 줄이는 것으로 공부해보겠습니다

MAXdb님의 댓글

컴프를 센드에 걸어쓰는 엔지니어 본적있습니다.  그룹컴프와 비슷한 개념입니다만. 그분왈!!!

음악에 따라 적정하게 압축된 소리와 아닌소리를 믹스해주면 꽤나 좋은 결과가 있다라는 점이지요.

기기사용에 정답은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쓰고싶은대로 쓰고 뽑고싶은대로 뽑고~~

하!지!만!

원리는 정확하게 알아야 하겠지용~~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컴프를 센드로도 사용하는 분들이 별로 없다는걸 깨닫는 시간이었습니다
개념 원리를 좀 더 정확하게 알도록 노력해야겠네요
문안한 소리를 얻기도 해야하니까요 ^^

칼잡이님의 댓글

이큐나 컴프레서나 주로 인서트로 사용하는 것은 무슨 원칙이 있어서가 아니라 단일 소스를 컨트롤 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각기 다른 악기소리에 같은 이큐나 컴프를 걸수는 없으니까요.

이펙터나 음향장비를 사용시에는 정확한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센드리턴으로 활용할 경우, 그룹이나 토탈 컴프의 개념이거나 특이한 이펙팅을 위한 이유가 아니라면 컴프레서를 센드 리턴으로 쓰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가령 드럼소리가 잘 안들려서 중역대를 이큐로 좀 올렸는데 그 이큐에다가 중고역성분이 아주 많이 포함된 바이올린 소스를 걸었다 칩시다. 굉장히 귀에 날카롭게 변해서 듣기가 싫어질 겁니다. 귀가 아플정도로 올리는게 목적이 아니라면 같은 이큐를 걸 이유가 없어지는 것이죠.

컴프레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각의 소스마다 적합한 컴프레서의 값이 있고, 일반적인 소리를 컨트롤 하는 방식이라면 한 소스에서 잘 작동된 컴프레서 값이 다른 소스에서는 전혀 이상한 소리로 변하거나 잘 작동이 안될 수가 있습니다.

sohny님의 댓글

softube의 Fet comp를 보면 공간계처럼  Wet/Dry 노브도 있지요....

뭐 이건 꼭 이래야 된다 ...이런건아니고 사사님의 방법이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것은 분명해 보입니다만

결과물을 들어보기전에는 뭐라고 말씀드릴수 없을것 같구요....인서트의 컴프와 별도로 FX send 트랙에

거시는 거라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기도 합니다만 단순히 cpu부담 때문에 그런방법을 취하시는 거라면

물론 잘못된 방법 맞습니다

노트북은 모르겠습니다만 최근의 데스크탑 사양으로는 컴프만 이라면  100 개를 걸어도 끄떡 없습니다

어제 작업파일을 보면  IR계열 리버브 4개 딜레이 2개  모듈레이션류 3개  컴프 50 개 정도 사용되었더군요

거기에 귀찮아서 오토튠 8트랙은 바운싱 안하고 인서트에 걸려있는 상태고 기타시뮬  3트랙에 사용 했군요...

컴프 몇개로 왔다리 갔다리 하진 않습니다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세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FX send로 걸었습니다 그 외의 컴프는 1~20개로 했는데
CPU부담때문에 그랬던게 큼니다
현대 기술에 제가 뒤쳐져있었네요

사사님의 댓글의 댓글

잘못된 소리를 내서 다칠까봐 쓴소리 해주셨다고 생각합니다
오디오가이의 활동기사님들에 비하면 너무 어리고
아직 음향에 격조가 없기에 앞으로도 좋은 의견 부탁합니다
전체 14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65(1) 명
  • 오늘 방문자 3,142 명
  • 어제 방문자 6,322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65,71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전체 회원수 37,550 명
  • 전체 게시물 289,859 개
  • 전체 댓글수 193,398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