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믹서의 레벨세팅글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번 질문드린 청취시와 녹음시의 모니터링 소리의 현격한 차이는 아직도 그원인을
알지 못했습니다 그저 맥키의 한계라고 믿고 싶어요....ㅠ

이런저런 궁금증으로 인해 오디오가이전체를 검색하고 글을읽다 영자님께서예전에 올리셨던
'믹서의 사용 방법[1] 레벨세팅'에 관한 글을 읽었습니다.

저역시 각 채널은 유니티에 두고 마스터만 올렸다내리던 입장으로서 참 많은것을 배웠는데요.

제 경우 액티브 스피커를 쓰고있기에 스피커나 앰프에서 볼륨조절이 불가합니다.
이럴때는 믹서에 있는 각 채널의 트림을 조절하라고 보았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막상 조절하려고보니 이 각채널의 게인에도 유니티레벨이 표시되어 있지않습니까?

제 경우인 맥키1604만 그런것인지는 몰라도 이럴때는 마스터와 채널,그리고 채널트림중
어느것으로 레벨세팅을 하여야 할는지요???

관련자료

심윤송님의 댓글

채널페이더와 마스터페이더는 유닛 레벨이 있습니다. 신호의 왜곡을 주지않는 (증폭도 감쇄도 하지 않는) 지점이 있는거죠.

그러나 트림(게인)은 증폭이 목적입니다. 게중에는 라인레벨 입력을 받았을때 감쇄도 있기는 합니다만, 게인의 기본 목적이 시그널 플로워 상에서 필요한 적절한 증폭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유닛레벨이라는건 없다고 볼 수 있죠.

따라서 레벨 세팅은 게인으로 기본적으로 맞추고 들어가는 것이 바른 방법입니다.
믹서 메뉴얼의 시그널 블럭도를 보시면 최초에 왕창 증폭한 후에 각 단계에서 조금씩 조절해서 그레벨을 유지해 가는걸 볼 수 있으실 겁니다.

---------------------------------------------------------
먼저 질문하신 청취시와 녹음시의 레벨 문제랑 본문의 내용을 보니 라인레벨의 세팅이 전혀 안되어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즉, 믹서에서 적절히 증폭해야할 것을 못하고, 앰프에서 해결하고 있다는 느낌이 드네요.

최범석님의 댓글

윤송님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네 현재 제가 라인레벨의 세팅이 전혀 안되어있을것 이라는것을 느끼고 드린 질문이었습니다.

알려주신 게인이 유닛레벨이 없다라는점을 통해 많은생각이 들었는데요.
제가 만져본결과 각 채널의 트림을 모두 최하로 두어도 믹서의 페이더와 마스터페이더가 볼륨이 높으면
소리가 들리더라구요. 그것도 꽤나 큰소리루요..(녹음이 아닌 그냥 daw상에서 음악재생시에요)
답변을 자세히 읽다보니 어차피 증폭의 목적이라 그런것일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것이, 답변해주신대로 레벨 세팅은 게인으로 기본적으로 맞추고 들어가는 것이 바른 방법이라는것은
정확히 어떤 방법인지 조금 헷갈립니다.ㅠ  즉 트림(게인)으로 레벨을 맞추고 들어간다고 생각하고
채널페이더와 마스터페이더를 유닛 레벨로 두게되면 소리가 너무너무 크다는 느낌이 듭니다.ㅠ

현제 저는 액티프형 모니터스피커를 쓰고있고 스피커에서 볼륨조절은 되지 않으며 믹서는 1604입니다.

얼마전부터 지르려고 마음먹었던 기기들을 우선 근본적지식을 보충해야지하는 마음에서 보류중입니다.
부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groovy0206님의 댓글

맥키 1604를 쓰신다는것으로 이해하고
지금 사용중이신 케이블이 XLR 커넥터를 이용해서 연결이 되있는지 부터 알고 싶습니다.

1604 경우는 Line 입력과 XLR 입력두가지 다 가능한데
XLR 입력과 Line 입력 커넥터 단자의 임피던스가 틀리다 보니
각각의 커넥터 별로 입력 되는 순간 유니트 게인 값이 다릅니다.
(메뉴얼 잘 읽어 보시면 금방 이해 되실겁니다.)
따라서 현재 연결하고자 하시는 기기들이
+4dBu 표준 운영레벨의 장비라면 맥키 1604 에 연결 하는 동안 XLR 커넥터를 이용해서 연결하시면
큰 무리 없이 빠른 셋팅이 가능합니다.

최범석님의 댓글

groovy0206님 답변 감사합니다.

예 맥키 1604를 쓰고있구요 기존에 XLR을 사용했습니다만 링스2를 구입후에 메뉴얼을 보고는
중간에 TRS로 변환케이블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메뉴얼에서 그렇게 추천하더라구요 ^^
오디오카드의 세팅은 +4dBu이구요. 결론적으로 페이더를 유닛에둔채 게인으로 레벨을 조절해두고 싶은데
문제는 게인을 최하로두어도 소리가 너무 크다는점입니다. 저는 이제껏 최하로 두면 소리가 안날줄 알았거든요.
모든 문제의 원인이 맥키1604의 컨디션에 있을것 같기도 하고.. 정확한 세팅법이 궁금합니다.

Stackoverflo님의 댓글

채널 페이더와 마스터 페이더를 유니티 게인에 놓았을 때 소리가 너무 크다면,,
레밸 셋팅시 0dBu가 아닌 -3dBu 나 -7dBu로 맞추면 될 듯 합니다.
레밸 셋팅이 각 채널별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맞추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꼭 0dBu로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Mackie 1604의 경우 Trim에 Unity 표시가 있는데요. 이건.. 라인 신호를 받을때 감쇠, 증폭 없이 그대로 받는
위치를 표시한겁니다.(XLR이 아닌 TRS 잭으로 입력할 경우...)

HooN님의 댓글

혹시 스피커 연결을 컨트롤룸 에 연결 안하시고 메인아웃을 연결하신게 아닌가 생각되네요..
한번 확인해보시고 아니시라면 컨트롤룸 아웃에 연결하시면 조절이 가능합니다.

groovy0206님의 댓글

hoon 님 말씀 대로 혹시 믹서의 마스터 아웃(메인아웃)에서 스피커로 연결 하신거라면
컨트롤 룸 아웃으로 연결을 바꿔서 사용하세요
메인 아웃에 해당되는 페이더는 0 에 고정해 두시고
컨트롤 룸 아웃으로 볼륨 조정해서 모니터링 하시면됩니다.

스피커는 볼륨 조정이 안되던 되던 관계 없이
액티브 경우 50~70% 사이의 볼륨 설정만 두고 쓰시면 됩니다.
100% 끝까지 출력되게 할필요는 없습니다.
그래도 레벨이 크다고 느끼신거라면 그전에 쓰던 기기가 작았던 거리고 볼 수 도 있습니다.

가령 일반적인 오디오 인터페이스 아웃으로 딱 셋팅 끝낸 설정에
Lucid8824 나 아포지 AD8000 같은 전용 컨버터 물리면 우선 출력부터 완전 다릅니다.
결국 트림값을 최저로 놓고 쓰고 있는 상황이지만
사용중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컨버터의 레벨차를 조정하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물린 인풋 트림을 건들수 밖에 없게 되는 상황이 연출되는데
이는 제조사 마다 같은 +4dBu 라는 표준 운영레벨을 사용하더라도
출력의 힘차이가 분명 있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경우라고 생각됩니다.
.
마지막으로 지나 2496 하고 모투2408mk3 를 1604vlz2 에 물려서 쓰는 후배가 저에게 하소연 하듯
질문 했던 내용이...

형님...출력차 어떻게 잡아서 써야 되나요....이렇게 차이가 나는데...ㅡㅡ;;
지나2496 연결된 라인 트림 올려.. 답은 그거 밖에 없다...
라고 답해 줬던 때가 생각나서 몇자 더 끄적여 봤습니다.^^;;

참고로 현재 저도 Yamaha 03D 에 루씨드8824 랑 프로파이어 2626아나로그 단이랑 Adat 단 같이 다 물려서 쓰는데
Adat 하고 Lucid8824 하고는 거의 99% 일치 하는 레벨로 컨트롤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나로그 아웃단을 03D 인풋으로 연결된 채널은 대략 3~5dB 정도 차이가 나는거 같아서
03D의 인풋 트림을 1kHz Sine파 0dB 소스로 체크해가면서 조정후 사용중입니다.

8824를 같이 물려서 쓰기 전까지는 그냥 출력차 정도로만 생각했지
기기들간에 +4dBu 라고 해서 다 같은 음압으로 느껴지지 않는 다는건 몇번의 인터페이스들을 교체하면서
느껴보았던 일이지만 컨버터랑 비교하니 차이가 많은걸 저역시 늦게서야 알게 된 케이스라
전에 쓰시던 기기랑 비교해서 출력이 크다고 헛...내가 뭘 잘못 건드린건가 의심하는 것도 나쁜건 아니지만
제대로 연결된 상태에서 그런거는 전에 쓰던 기기가 레벨이 작은거라고 볼수 있다는 이야기 였습니다.

최범석님의 댓글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지금 당장 확인은 못해보지만 메인아웃으로 나가고있는게 맞는것같습니다
컨트롤아웃에 물려쓰다가 왼쪽출력이 지지직거리는 현상이 생겨서 메인으로옮겨사용하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게인의 컨트롤이 안되는거였군요 ^^

아무튼 이번기회에 정확한 레벨세팅에 대해 공부하는 계기가 되었네요.

들어오는 신호를 몇db정도까지 세팅해두어야 할지는 좀더 검색하고 공부해야겠지만요 ^^

답변해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전체 34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53 명
  • 오늘 방문자 1,493 명
  • 어제 방문자 6,067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13,74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2,321 개
  • 전체 댓글수 193,40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