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Big Ben + DA-16X 어이없는 사실 발견

페이지 정보

본문



Clock 이 춤을 춥니다. 두 기기가 가까이 있으면?!

멀어지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너무 어이가 없어서 핸드폰으로 찍어놓았습니다.

관련자료

패트릭제인님의 댓글

흠ㅡㅡ신기한현상이군요..

기기문제가 아니라면 케이블쪽아니면 전원코드관련일수도..

뻔한얘기라 죄송해요ㅋ

dk님의 댓글의 댓글

케이블 전혀 문제 없고 (타 기기들 동작 정상, Mutec iClock 동작 정상)
전원은 동영상에 살짝 보이다시피 오디오가이 공제 케이블입니다.

dk님의 댓글의 댓글

전자파나 그런 계통의 문제인건가요?
아무리 환경적인 변수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건 좀 이해가 안가는 상황이네요.

줄리님의 댓글의 댓글

빅벤+로제타200을 쌓아놓고 쓰는 회원님 댁에는 아무 이상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DA-16X가 전자기내성이 약한가봅니다. 빅벤의 방사노이즈가 좀 많기도 하겠고요.

알루미늄 쿠킹포일로 둘둘 말고 접지에 신경쓰는 식으로 간이 차폐를 하면 어느 정도 해결 될 것 같습니다만

볼상사납겠네요.

(동박 테입이 더 좋습니다만 그정도 넓이로 구하려면 근처 상점 다녀오는 정도로는 안되니 패스)

dk님의 댓글의 댓글

당장은 Big Ben --> DA-16X --> Big Ben 으로 케이블 연결을 해놓는 것으로 사용은 가능합니다.

이게 또 신호와는 상관없이 돌아가는게 -_-a
혹시나 해서 Big Ben --> DA-16X --> iClock --> Big Ben 연결해봤더니 이건 또 안되더라고요.

그러니 접지와 전자기내성, 딱 이게 이유라고 밖에 볼 수가 없네요.
사무실의 전기 자체는 접지가 되어 있어서... 기기간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물론 접지했다고 만사 OK 는 아니라는걸 여러번 경험했었습니다만.

JesusReigns님의 댓글

참.. 재미있는 현상이네요..
두 대다 랙에서 빼서 쌓아도 같은 결과일지 궁금..
물론 두 대 사이에 신문지나.. 뭐가 되었던 절연을 하시고.
너무 두껍게 하면 상황이 달라보이니까.. 비교를 못할테고
얇게 절연을 하시고 한번 랙에서 빼서 스택을 해보세요..

또 한가지 가능성은.. WC 연결한 케이블의 이상이나 아니면 플러그가 좀 빠져있다거나..

musicman님의 댓글

굉장히 재미있는(dk님께는 죄송합니다만..)상황이군요..
위로부터 AD16X- BIG BEN-DA-16X 이렇게 놓고 쓰는 친구를 봤는데
그친구는 아무 이상없었는데요..(가끔 AD16X는 외부로 출장을 가곤합니다만..)
기이한 일이군요 dk님의 DA-16X가 조금 이상한듯한데요...
JesusReigns님의 말씀대로 랙에서 빼보심이 어떨지요..

dk님의 댓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동일한 멀티탭에 나란히 전원을 연결해주는 것으로 증상은 해결이 되었습니다.

같은 사무실 콘센트에, 접지도 동일하게 되어있고, 동일한 제품의 멀티탭으로 했는데도 문제였는데
같은 멀티탭의 바로 옆자리에 꽂아주니 증상은 해소가 되네요.

타사 제품인 iClock 은 전혀 이런 문제가 없는데
ITSFRED 님 말씀대로 apogee 제품 설계가 뭔가 부족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의 댓글

역시.. 전원 문제였군요.. 랙에서 빼보시란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는데...
그라운드 루프가 형성되어서 클럭이 불안정해진 경우입니다. 랙에서 빼 보시란 이유는
랙을 통해 그라운드 루프가 형성될 가능성도 있기에.. 그랬던 것이구요. 그것 말구도
다른 경로로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옆으로 놓으면 괜찮단 얘기는 그라운드 루프는
여전히 있지만 아주 작은 양의 잡음이 껴서 이길만하다.. 이런 뜻일 가능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아주 아주 간헐적으로 클럭을 놓칠만한 가능성도 약간은 있습니다.
꼭 apogee의 문제라고 볼 수는 없고요.. 오히려 apogee가 제대로 설계를 했고 다른 기기에
문제가 있을 때 증상은 apogee에서 나타나는 이런 경우도 흔합니다.

진범을 찾기는 쉽지 않은데..

지금 아포지 웹사이트에 가서 X의 뒷면 페널을 보니 UL의 인증 딱지가 없네요..
그렇단 얘긴.. 아포지 기기 자체가 그라운드 설계를.. 잘못했을 가능성도 어느정도 있단 얘기가 됩니다..

때규님의 댓글

흠..빅벤은 안써봤지만 차후 구입하려고 합니다

pc 에서 로제타 200 1394 옵션으로 쓰다가

현재 맥에서 쓰고 있는데

심포니 옵션으로 바꾸려 합니다

현재도 별 문제는 없지만

pc 에서는 가끔 문제가 있었죠

1394 옵션으로는 빅벤 연결이 약간 문제가 있나요 ?

만약 심포니 연결로 빅벤 연결해서 아무 문제 없으면

1394 연결에 문제가 있는걸까요 ?

dk님의 댓글의 댓글

혹시 현재 사용하고 계시는 로제타 200 을 1394 로 맥에서

External Sync 로 변경이 되는지 테스트해봐주실 수 있을까요?

저는 현재 그게 문제인데 그것만 해결하면 모든 문제가 잡힐 것 같습니다.

nightvoyage님의 댓글

빅벤을 마스타클럭으로 놓고 쓰는데 이걸 컴퓨터에서 클럭컨트롤이 가능한가요?
전 그냥 컴에선 워드클럭으로만 설정해줬는데 이렇게하면 도큐먼트 파일의 샘플레이트에
맞춰 수동으로 빅벤에서 클럭을 잡아줘야하는데 다른방법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

nightvoyage님의 댓글의 댓글

컴퓨터의 샘플레이트를 쫓아가게하면서 빅벤을 마스터 클럭으로 사용이 가능한지요?
마스터클럭이 아닌 그냥 클럭 분배기만 되지 않을까해서 번거롭더라도 수동으로 쓰고 있는중이거든요.

때규님의 댓글

로제타에서도 external 로 설정해주고

컴터 내부에서도 오디오 카드 콘솔에서 또 external 로 설정해줘야 할거 같네요

심포니 때문에 아포지 홈페이지에서 심포니 옵션과 빅벤 연결하는거 동영상 나오던데 그거 보니..^^;

집에 가서 한번 해보죠

근데 저는 외장 마스터클럭이 없어서

아무 연결도 안하고 그냥 로제타에서 버튼 눌러서  외장싱크로 옮겨지는지 확인 하는거죠 ?

dk님의 댓글의 댓글

넵, 그렇습니다.  맥에서 INT 로 연결된 상태에서

FireMix 에서 External 로 체크하시고,

WC 로 바뀌는지 확인해주세용~

때규님의 댓글

네 firemix 에서 external 체크 가능하구요

wc 로 바뀌는 부분은

외장클럭을 연결 안해서 인지

샘플레이트 옆에 버튼  external sync 버튼으로는

샘플레이트에 불이 들어오면서 wc 로 바뀌진 않네요

근데 샘플레이트 버튼을 여러번 눌러서 external 로 바꿀순 있는데

external 로 넘어가버리면 샘플레이트 부분에 불이  꺼지네요.
전체 7건 / 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77 명
  • 오늘 방문자 2,899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6,18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84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