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cubase,nuendo, wavelab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여기 운영자님께서 다른 사이트에서 큐베이스하고 누엔도하고 wavelab 이 음질이 각각 틀리다고
한 게시물을 봤습니다..
큐베이스보다 누엔도가 좋고, 중저음위주라고 하신것 같았으며, wavelab 은 고음이 좀 강하다고
하신것 같았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것은 큐베이스나 누엔도에서 미디작업 한후 wave로 뽑아서 wavelab으로 가져가는 도중에
큐베이스나, 누엔도에서 뽑으면 중저음이 강한데, 중저음 wav 이것을 다시  wavelab 으로 가져가면 다시 고음이 살아가는건가요?

제가 잠시 생각을 해보면, 큐베이스나, 누엔도에서 wav를 작업 할때 중저음 위주면, vst 이퀄라이저로
고음을 좀 넣어주는것과는 틀린것인가요?....

관련자료

quaizeria님의 댓글

순수하게 들어온 소리의 음질이 아닌 성격차이라면 어차피 믹싱 마스터링 과정에서
여러 플러그인들을 거치면서 해소되리라 생각됩니다.

믹싱 마스터링을 거친 이후에 음원이 이건 큐베이스를 사용했구나 혹은 웨이브랩을 사용했구나 라고 알수는
없겠죠

어떤 프로그램을 쓰던간에 결국 자기가 원하는 사운드로 나올껍니다.

차이가 있더라도 느끼기 힘든 미묘한 차이라고 생각되네요.

장인석님의 댓글

언제가 이러한 질문이 오디오 가이에 나오길 기대했는데. 드디어 나왔군요...^^  과연 큐베이스, 누엔드, 로직이 어

떤 이유로 음색이 다르게 들리는 걸까요? 이것에 관해 많이 궁금해 할 것 같아. 다음의 글을 올립니다. 이 내용은 최

근 외국의 어느 엔지니어가 그 차이점에 관한 본인의 입장을 오디오 저널을 통해 밝힌 것입니다.  참조하세요...

원문을 그대로 번역한 것 입니다.



** 질문:  "미치겠군! LA와 PT의 DAE 엔진이 동일한데, 시스템마다 다르게 들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나는 정말 그

소리가 듣기 싫다. 나는 차이를 찾으려고 하지는 않았지만, 분명 차이가 있다. 그렇다면 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편집자: 다음은 Logic, vs Cubase/Nuendo에 따라 믹스가 다른 소리를 낼 수 있는 이유에 대한 Charlie steinberg

의 의견으로, 그는 그 이유를 패닝 체계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나는 그의 의견을 100% 수용하지 않지만 읽

어 볼 가치 가 있다고 생각한다.



** 답변
“로직 사운드가 더욱 좋다”라는 사실은 새로울 것이 없으며 Logic은 Nuendo의 -3dB, Cubase의 -6dB와는 달리 0dB

팬 법규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Nuendo가 Cubase보다 더욱 좋은 소리를 낸다는 이유이기도 한데 왜냐

하면 높은 패닝 법규(high panning law)는 중앙의 신호(베이스, 킥드럼)를 더욱 크고 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우리

는 어느 방법이 좋은지 끊임없이 논의할 수 있지만, 나는 Nuendo의 -3dB가 좋은 절충안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

는 대다수의 콘솔이 이 법규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하여간 어떤 패닝 법규를 선택하든 믹스 사운드는 전적으로 여

러분에게 달려있다. 그리고 만일 여러분의 믹스 사운드가 다른 패닝 법규로 스위칭 할 때 더욱 좋아진다면 여러분의

믹스 방법에 대해 두 번은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적어도 Nuendo과 Cubase에서는 본인의 미각에 맞게 패닝 법규를 조

정할 수 있는데, -6dB 패닝에 감추어진 아이디어는 여러분이 두 개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하나의 박스에 넣을 때의 그

것으로, 여러분이 팬을 어디로 정하든 볼륨(라우드니스)에 어떤 차이도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여러분이 모노

로 믹스를 들을 때 더욱 명백해 지는데, 왜냐하면 한 채널을 패닝할 때 왼쪽과 오른쪽의 합은 항상 같기 때문이다. 이

와는 달리 0dB 법규를 사용할 때 모든 것을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하면 합은 0이 되겠지만 중앙으로 패닝하면 이것

은 +6dB가 될 것이다. 개인적인 이것은 나에게 명백하게 나쁜 것으로 느낀다(수학적으로 어떠하든 단지 듣는 것 만

으로) 그리고 이것은 내가 어느 정도의 패닝을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불안감을 심어준다. 그러나 이것은 진정으로

기호의 문제이고(여러분이 사용하는 것; 만일 여러분이 로직을 사용하다면 여러분은 아미도 0dB를 선택할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3dB는 좋은 타협안으로 나타나지만 여러분이 선택하는 것이 무엇이든. 여러분의 귀는 하나이고

여러분이 원하는 믹스가 펀치 있는 것을 판단하는 최종 출구이다.

multimoog님의 댓글

위의 이유도 어느정도 기여하겠지만 주로 레이턴시 차이 때문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녹음된 소리는 차이가 없지 않을 까요? 

일반적으로는 동일 파일인 경우 소리의 차이는 없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만약 재생시에 음색에 차이가 있으면 playback 엔진에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직접 느껴 보실려면

http://www.3daudioinc.com/catalog/product_info.php/products_id/32?osCsid=3e424122677710596533e865581f6f62 이라는 것도 나와 있네요.

박카스두병님의 댓글

위에서 언급하신 프로그램 성질 자체가 다르네요...
규베나 누엔도는 같은엔진을 사용했지만..
개발자의 의도는 큐베는 미디를 중심으로 맹글었다고 하는데..(들리는 이야기로는)
누엔도는 녹음을 위한 가격도 큐베보다 누엔도가 훨 비싸요...
그리고 웨이브랩은 마스타링 프로그램이구요..
사용하기 나름이겠지만...
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참고 하세요...^^

버드랜드님의 댓글

이런 질문은 하시기 전에 누엔도가 중저음이 강하고, 웨이브랩은 하이가 강한지 먼저 경험해보시고,
직접 그렇게 해봄으로 영자님과 같은 생각을 가지시게 되었다면
생각하시는 방식대로 간단히 작업도 해보시면서 소나무님의 '귀'로 '소리'를 직접 들어보시길 권합니다

whflqhrh님의 댓글

큐베이스 SX 2.0 하고 누엔도 2.0나올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큐베이스하고 누엔도의 차이는 없다고,,, 단지 누엔도에는 5.1 등등등 지원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큐베이스보다 누엔도가 3배정도가 비싸다고하네요 ㅡ.ㅡ
전체 9,435건 / 12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379 명
  • 오늘 방문자 1,906 명
  • 어제 방문자 5,88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78,19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60 명
  • 전체 게시물 322,572 개
  • 전체 댓글수 193,422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