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Q] DIGITAL TO DIGITAL에서 오차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PROTOOLS 6.1.1 HD2, 192I/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92I/O를 통해서 DAT테잎의 소스를 프로툴로 레코딩했는데
이상하게도 데크의 종류에 따라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첫번째 방법은 TASCAM의 포터블 레코더 DA-P1으로 플레이시키고
RCA라인의 S/PDIF단자를 통해서 192에 연결해서 레코딩했구요,
두번째 방법은 FOSTEX D-5 레코드 데크로 플레이시키고
옵티컬 S/PDIF로 192에 연결해서 레코딩했습니다.

결과물을 확인해 보니까 1분당 약 1/100프레임 정도의 오차가
생기게 됩니다. 이정도면 digital to digital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차범위 내의 일인가요? 아니면 플레이어에 문제가 있는 건가요?
사소한 오차이긴 하지만 궁금해서... 엔지니어 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관련자료

꼴뚜기님의 댓글

모터로 돌리는 레코더 플레이어들은

컴퓨터의 시간같이 절대적으로 똑같지 않다고 들었읍니다

같은 레코더 플레이어로 해도 차이가 나던데요.

이제한님의 댓글

답변 감사합니다...

soniq님의 말대로 전송하는 쪽을 마스터로 했더니 오차가 없어졌습니다.
또 궁금증이 생기는데  sync i/o를 워드클럭 마스터로 했을때 오차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dat레코더에 따로 워드클럭을 입력하지는 않았습니다만....
s/pdif로도 워드클락이 전송되는것은 맞는 것 같은데... 아... 다시한번 답변 부탁드립니다...

soniq님의 댓글

dat레코더나 cd플레이어들은 별도의 워드클락 설정이 없어도
플레이 하면 자동으로 마스터가 되고
받을 때는 자동으로 슬레이브가 됩니다.
대신 받는 쪽 기기에 마스터/슬레이브 설정이 달린 기기는
슬레이브로 받거나 오토매틱설정이 있을 경우 오토매틱으로으로 받아야
합니다.
둘 다 설정 옵션이 없으면 두 기기가 자동으로 설정되고
둘 다 설정 옵션이 있으면 오토매틱으로 하거나 주거나 받을 때 일일이
만져 줘야 합니다.
제아무리 비싼 스튜디오 기기라 해도 s/pdif나 aes/ebu로 신호를
받을 때는 슬레이브가 되어야죠.
 
아시다 시피,
대부분의 디지탈 기기들은 설정만 만져주면 신호의 전송 자체만으로
완전하게 동기가 됩니다.
가정용 기기나 방송용 기기의 전송은
기기의 변동과 이동이 많고,
주고 받기를 동시에 하지 않고 단방향 전송만 쓰는 경우가 많고,
급조해서 꼽고 전송하고 바꾸고 또 급하게 딴데로 전송하고..
당연히 별도의 제네레이터를 사용할 수도 없는 환경이기에,
신호 자체의 클락을 동기 클락으로 삼아,
줄 때, 받을 때 알아서 동기합니다.

장호준님의 댓글

1분당 1/100프레임이면 30FPS 포맷으로만 생각해도 1프레임이 33.34ms, 그러니까 0.34ms라는 건데.. 그건 그냥 똑같다고 이야기 하시길.. 지나가다 자세히 읽어보지는 않았습니다. 하여간 맨 마지막 숫자만 보고 한마디..
전체 9,431건 / 13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10 명
  • 오늘 방문자 3,077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6,36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908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