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오케스트라 녹음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저번에 이 질문 한번 올렸는데 묻혀서...

이번엔 샘플을 준비했습니다.

바이올린을 들어보면 톤이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것 같습니다.
앞의 사랑의기쁨에서 들리는 찐~하고 줄 긁는 소리가 있는 '독주용 톤' 과,
뒤의 나팔수의휴일에서 들리는 부드럽고 맑은 '협주용 톤' 이 있는데요.

이 둘의 녹음상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마이크 위치나, 종류 등...

그리고 이런 오케스트라 뿐 아니라 마이킹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책이 있으면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관련자료

김정섭님의 댓글

연주법이나 편성에 의한 것이 더 큰 것이 아닐런지요.
제 생각에는 독주로서 연주할때와 앙상블의 일원으로서 연주할 때의 연주법의 차이에서 오는 차이와
독주의 음색과 여러명의 앙상블에 의한 음색의 차이가 1차적인 원인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제시해주신 두 곡이 성격이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사랑의 기쁨의 경우 유난히 말씀하시는 줄 굵는 소리 같은 것이 많이 나는 곡이기 때문에
제가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
위의 예제와 예시만을 가지고 바이올린의 톤을 규정 또는 구분짓기는 좀 어렵지 않나 생각됩니다.
작곡을 공부하는 음악학도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soundmaker님의 댓글

방금 2곡은 퀄리티 차이도 많이 나고 연주자나 같은 마이킹이라도 마이크의 종류등에도 차이가 나고 믹싱시 엔지니어가 어떻게 해석해서 하느냐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네요~
 오케스트라는 정말 찾으면 엄청 많은 책이 나와 있습니다. ^^  외국책이긴 하지만...
 아마존을 한 번 서핑해 보심이.....

Harnoncourt님의 댓글

질문의 요지는 어렴풋 알겠습니다만 준비하신 자료가 그 예로서 적절치 못한 듯 싶군요. 바이올린 콘체르토와 심포니 정도를 각각 한 부분씩 발췌해 두셨더라면 좋았을 텐데, 특히 첫 번째 음악은 오케스트라의 연주조차 아닌 실내악이네요.
아무튼 질문자 님께서 기대하신 '녹음상의 차이'는 딱히 없습니다. 물론 원 포인트로 녹음할 경우 솔리스트의 위치가 마이크로부터 가장 가까울 것이고, 멀티 레코딩의 경우에도 솔리스트가 메인 마이크로부터 가장 가깝겠지요. 후자의 경우 솔리스트를 위한 별도의 스팟 또한 사용이 되고, 믹싱 때 적절히 밸런스를 맞춰줍니다.
하지만 서양음악의 협주곡이나 교향곡 등은 레코딩 기술이 개발되기 한참 이전부터 이미 존재해 온 음악 형식인데, 무작정 이렇게 녹음상의 차이, 마이크의 위치나 종류부터 다짜고짜 물으시니.. 가까운 극장의 음악회라도 한 번 직접 찾아가 보심이.. ㅎㅎ
오케스트라 관련하여 질문하신 수준의 답을 얻을 수 있는 책이라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로도 충분할 것 같고, 마이킹에 관한 부분은 이곳 오디오가이의 칼럼들을 많이 읽어보시는 게 아주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일단 운영자 님께서 오케스트라 레코딩에 일가견이 있으시거든요.
전체 9,433건 / 13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35 명
  • 오늘 방문자 4,481 명
  • 어제 방문자 4,95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05,246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299,927 개
  • 전체 댓글수 193,40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