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마스터링에 관한 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간만에 질문글 올리네요~~


음...


먼저 마스터링 192 책(제목이 맞나용? 뭐 어쨌든...)

그 책을 통해 열시미 믹싱과 마스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예전보다 훨씬 나아진 것을 느끼며 주변에서도 상업음반 같다는 얘길 듣곤 하니 기분 좋습니다요..



그런데 정작 제 자신이 만족을 못해서 다시 믹싱하고 마스터링 하고 그럽니당.


음 뭐랄까...뭔가 좀 더 하면 유레카를 외칠 거 같은 뭐 그..표현할 순 없지만 그 뭐시냐...거의 온거 같은 느낌 같은 게...성취욕이 조금 채워지지만 갈증도 생기는 듯한?



그리하야 그 책을 벗삼아 여러 시도를 해봤는데용~~궁금한 게 생겼슴돠.



-첫번째 질문-

먼저 일본 그 스튜디오에서는

믹스 다운된 것을 아날로그 컴프와 아날로그 eq를 거친 후에 파이날라이져 96를 거쳐 ad로 다시 프로툴에 입력한다고 하더군요


근데 아날로그를 통해 음질 열화가 발생한다는 것은 진리인데 이 얘기는 그 음질 열화를 감수하고도 아날로 특유의 질감을 살리는 게 더 우선이라는 의미인가요?





-두 번째 질문-


이 때 파이날라이져 96k의 세팅을 보니까 멀티 컴프의 세팅이 트래숄드가 -18이구 레벨을 -3.5로 해놨더라구요

뭐 그렇게 했을 때에도 실제 믹스 다운본에 비해 엄청나게 눌려지거나 왜곡된 정도가 덜하긴 하지만 너무 트래숄드 압박이 심한게 아닌가 싶더라구용 ㅋ

이거 원래 이렇게 과격하게 세팅해도 되는건지..

파이날라이져의 노멀라이즈, 리미터, 컴프의 사용에 대해 궁금해요

전 리미터는 그냥 odb에 맞추고 하구요 노멀라이즈는 +5나 안쓰기도 하고 컴프는 위에서처럼 셋팅해보고 있습니다만..




-세번째 질문--


보컬 컴프를 t-comp를 쓰는데요~ 마스터링을 위해서 t-comp를 아날로그 질감을 위해서든 음압을 위해서는 2채널로 연결해서 파날이나 그냥 오됴인터페이스로 보내는 건 어떨지요?

그리고 이때 세팅은 보컬과는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요? 책에서는 거의 바늘이 움직이지 않는 선으로 한다던데 게인리덕션의 반응이 없는 정도로 하면 될라나요?


넘넘 궁금합니다..흑흑 고수님들의 한말씀을 기다릴꼐요~~

관련자료

홍당무님의 댓글

1. 아마 아날로그의 자연스럼과 따뜻함을 추구한다면 충분히 그럴수 있다고 사료 됩니다

2. 이 질문에는 위와 같은 세팅이 어떤곡인지 몰라서 답변이 어려운데요

    일반적인 롹 이나 블루스, 재즈 같은 장르와 힙합, 댄스의 세팅과는 확실히 다른 레벨을 주게 됨을

    말씀드려 봅니다..고로 위와 같은 세팅은 절대적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3. 이 질문도 다분히 작업자의 주관적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음악적인 장르에 따라 달라질수 있음을 상기하게 되는데요 지나친 컴프레스는 좋다고 볼 순 없겠죠

   

여담이지만 믹싱이라는 건 추가하는게 아니고 빼나가는거 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음식에 무얼 넣을까를 생각하다보면 요리 재료 고유의

향이나 맛은 온데간데 없고 이도 저도 아닌 요리가 되더라는....장비도 욕심내서 너무 많이 걸면

과유불급이 될때가 있더라구요....*^^*
전체 9,431건 / 132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56 명
  • 오늘 방문자 2,044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5,33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628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