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컴프레서 설치에 관한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에 처음으로 컴프레서를 사용해보는 초보입니다.

첫 번째 질문입니다. 컴프레서 설치할 때,
마이크, 컴프레서, 믹서(프리앰프 내장), 오디오카드가 있다면
어떤 순서로 설치해야 하나요?

둘째,
지금 저같은 경우에는, 마이크를 믹서에 내장되어 있는 프리앰프에 끼우고,
믹서의 메인아웃을 컴프레서의 인풋으로 보내고,
컴프레서의 아웃풋을 사운드카드(사블 오디지2 ZS)의 라인 인 단자에 끼웠습니다.
컴프레서는 믹서의 인서트 단자를 활용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제가 사용중인 베링거 UB802는 인서트 단자가 없네요.
지금 제가 설치한 것이 문제가 있는건가요? 녹음을 해보니 작동은 잘하는 것 같습니다.

셋째,
믹서의 FX send 와 aux return 을 이용해서 컴프레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문제점 지적 및 컴프레서의 정석 설치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ㅡ'/

관련자료

soniq님의 댓글

잘 하셨네요.
인서트 단자도 활용하시려 하고 센드리턴도 이용하시려 했다면
질문 안하셔도 될 듯 한데요~
믹서의 메인 출력을 이용하면 믹서를 오로지 콤프레서용으로 원채널로밖에 활용할 수 없기에
센드 단으로 내 보내는 것이 좋은 선택입니다.
마이크 자체 채널은 뮤트 시키고 센드 단으로만 출력을 내서(센드프리페이더) 콤프레서 거친 다음,
리턴으로 오는 것 보다는 여분의 다른 채널의 라인인풋으로 받으세요.
(아예 콤프레서출력에서 바로 인터페이스로 가도 되구요)
센드/센드마스터레벨과 그 여분 채널의 받는 레벨을 유니티레벨로 맞추시고 볼륨 조정은
콤프레서의 게인으로 하시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콤프레서의 일반적인 위치는 (마이크-프리-콤프레서-etc)인데
믹서에서는 인서트에 와이케이블의(와이케이블- 하나를 꽂으면 두개로 갈라지는데 하나는 입력 하나는 출력)
한쪽으로 연결하고 나머지 둘을 콤프레서의 입출력에 연결하면 일반적인 위치인 프리앰프 다음에 자리잡게 됩니다.

2ndBSK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데로 셋팅을 해봤는데요.
(FX send 를 컴프로 보내고, 컴프의 아웃을 다시 다른 채널 또는 aux return)
마이크 채널을 뮤트시키라고 하셔서, 그렇게 했더니 아예 소스가 안들어가네요.
믹서가 포스트페이더 방식이라서 그런건가요?(맞나요'ㅡ';;)
그래서 그냥 마이크 채널 레벨을 0db로 해놓고 녹음을 해봤습니다.
컴프의 레벨미터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걸보니 제대로 소스가 들어가고 있는것 같은데
결과물을 보면 들쭉날쭉한게 컴프가 안먹힌 것 같은 결과가 나오네요. (right 채널의 소리가 더 크게 녹음됩니다.)
원래 소스랑, 컴프 거쳐서 돌아온 소스랑 섞여서 이런건가요?

알케미스트님의 댓글

덧붙이면요~~

Fx 나 aux send로 보내서 return을 받을 경우와 insert를 사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dry signal(원래 소리)과 wet signal(프로세스된 소리)을 구분하셔야 합니다.

aux send로 보내서 return을 받는 경우는 원래의 dry 소스는 원 채널에 남아있구, 이펙터 등등 프로세스된 wet signal소이 리턴 채널로 들어와 두채널의 량을 조절하며 두가지 소리를 섞게 됩니다. (dry와 wet 이 다른 채널)

insert의 경우엔 dry 소스는  컴프 등에 들어간 후 wet signal만 같은 채널로 돌아오게 됩니다. (dry는 단절되구 wet만 같은 채널)

이러한 이유로 대게의 경우 aux는 공간계열(리버브 등), 타임계열(딜레이 등) 이펙터 종류를 사용하게 되고 insert에는 다이나믹계열 (컴프, 게이트 등등)을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해되시죠?!! ^^*,, 질문에 대한 답은

첫번째 질문 - 인서트 없이 마이크 한곳에만 컴프 할 경우 마이크 - 컴프 - 컨솔 라인인 - 오됴카드
                  인서트가 있다면 마이크 - 컨솔 - 인서트 - 컴프 - 오됴카드

두번째 질문 -  흔히 말하는 '토탈컴프' 방법입니다. 컨솔의 메인 아웃에 나오는 소리를 컴프할 경우엔 이케 합니다.
                    이 경우 컨솔서 나오는 모든 소리가 컴프되겠죠~

세번째 질문 - 소닉님 답변 굿! 굿! 베리 구~~ㅅ

추가 질문 - 마이크 채널을 뮤트시키라고 하신 것도 인서트가 없을 경우 억스를 인서트 처럼 사용하기 위해 드라이 시그널을 컷한 것이구요. (아예 소스가 안들어간건 말씀하신대로 억스가 뮤트를 기준으로 뒤에(post) 위치하기 때문이겠죠)

결과물이 들쭉날쭉하게 들리는 건 소스(dry)채널이랑 aux를 통해 컴프된 리턴 채널 소리(wet)가 섞여서 그렇게 들리는 것입니다.
전체 9,433건 / 13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03 명
  • 오늘 방문자 4,935 명
  • 어제 방문자 7,159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81,13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51 명
  • 전체 게시물 293,591 개
  • 전체 댓글수 193,40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