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워드 클락 과 spdif

페이지 정보

본문

저는 현재 아포지 로제타 200 과 002 랙을 spdif 로 물려서 사용중인데요.

002 에 워드클락 bnc input 이 없는 관계로  spdif 를 이용해 a/d/a 를 사용중인데요.

얼마전 해외 사이트 를 돌아다니다 spdif 를 통해서 오디오 와 워드클락샘플을 사용시 음질 이나 전체적인 소리의 ㅁ퀄리티를 다운 그레이드 시킬수 있다는 말을 듣고 여러 고수 엔지니어 분들께 여쭤 봅니다,

이것이 사실 이라면 현재 가지고 있는 로제타 200 을 팔고 002 랙을 Black Lion audio Signature series (클락, 컨버터,파워 서플라이, 프리 개조및 통 바꿈) 로 튜닝 해서 사용할 생각 도 있거든요.

제가 오디오 레코딩 엔지니어링 쪽에는 문외한이라 이렇게 여쭙니다.

고수분들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디지002를 클락하나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서 튜닝하는것보다는 차라리 상급의 제품으로 바꾸시면 어떠실까 합니다.

프로툴스의 편리함때문에 디지002를 사용하시는것이 아니시라면 단순하게 로제타200에 파이어와이어 옵션을 달아서 컴퓨터와 사용하시는것도 좋고요

엠박스 2 프로만 되어도 워드클럭 입출력이 있으니 그것으로 바꾸셔도 될것 같습니다.

로제타200과 사용하시면 어짜피 ada의 퀄리티는 아포지를 통하는것인데.

디지002를 튜닝하다고 하는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로제타200이 없이 디지002 단독으로 사용하는것이라면 모르겠습니다만..)


질문하신내용에 관해서

SPDIF나 AES. ADAT를 통해서 디지털 정보와 워드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경우.

아직 여러 의견차이가 분분합니다만.

저는 별도의 클락제네레이터를 사용하는것이 가장 좋고

그렇지 않으면 BNC로 서로 동기를 시켜주는것이 조금이나마 더 좋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김용희님의 댓글

프로툴은 편리함때문에 사용중이구요...(입문을 프로툴로 해서여)

002 를 튜닝 시킬시에는 로제타를 판돈으로 튜닝을 생각 중입니다..

두가지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겟죠. 로직을 사용할 계획은 없으니까요.

블랙라이온 오디오 가 하는 튜닝도 풀튜닝이라. 껍데기 뻬고 배선, 파워, 클락, 프리, 컨버터까지 싹 다 바꾸는건데..

뭐 여러 고수님들의 의견을 수렴후, 튜닝으로 갈지,  당분간 현재 상태 유지 할지, 영자님 말씀처럼 엠박 2 프로 로 바꾸면서 클락을 장만할지 고민 좀 해야겠습니다.

오늘도 음악외적...기술적인 부분으로 인해 고민이 깊네요...이럴 시간에 감성을 채워야 하는데.

운영자님의 댓글의 댓글

그렇군요.

아포지를 없애고 튜닝해서 사용하는것에 대해서는 제가 직접 들어보지 못해서 의견을 말씀드리기가 어려울 것 같네요

그리고 더 좋은 소리를 위해서 고민을 하는것도

기술이라는 그릇안에 담는 감성에 대한 고민이아닐까 합니다.^^.

엠박스 2 프로로 바꾸시면 바로 클럭을 장만하시지 마시고 로제타의 워드클럭 아웃을 받아서 우선 사용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현재로써는 이것을 가장 추천드리고 싶네요

김용희님의 댓글

감사드립니다,

영자님 생각에 로제타 내장 클럭 과 빅벤 이나 그이상 되는 퀄리티의 클락의 차이는 없는 건가요?

운영자님의 댓글의 댓글

클락의 차이는 양은 적더라도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빅벤과 함께 뮤텍 스마트클럭. I클럭. 안텔로프 OCX. 브레인스톰 DCD-8등을 테스트해보았는데 각기 상상보다 많은 소리차이를 들려주었습니다.

저는 최종적으로 DCD-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oundmaker님의 댓글

003에 클락 물려서 사용하고 있는데 차이가 있네요~
흠...002는 써 봤는데 기억이 가물거리기는 한데 컨버터의 퀄리티 기억이.....MBOX와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왜 MBIX2계열보다 MBIX가 더 좋다고 느껴지는지 모르겠지만요~  ^^

JesusReigns님의 댓글

그냥.. 참고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즉 로제타가 클럭 마스터로 내장 클럭으로 A/D, D/A를 하고
다른 A/D나 D/A가 없는 경우엔 002에 설령 bnc 클럭 입력단자가 있다고 해도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물론.. 002에 sample rate converter가 있는
상황이라면 그것을 사용할 때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 002에서
프로세싱만 하는 상황이면 bnc가 있다고 해도 S/PDIF를 사용하는 상황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A/D D/A가 클럭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002에 SRC가 있는
상황이라면, 문제는 다르죠.. 그런 경우엔 BNC와 S/PDIF가 다릅니다..

그리고 외장 클럭을 추가하게 되면 특성이 달라질 수 있죠.. 그런 상황에서도
200과 002의 연결이 SPDIF인 것은 장애가 되지 않습니다.. 외장 클럭과
200의 연결에 더 주의를 해야겠죠..
전체 9,433건 / 136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45 명
  • 오늘 방문자 4,716 명
  • 어제 방문자 4,95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05,481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0,018 개
  • 전체 댓글수 193,40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