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보컬녹음에 있어서 가장 크게 좌우되는것들.

페이지 정보

본문

보컬녹음에 있어서 가장 크게 좌우되는것이 무엇일까요?

일단, 녹음 하는 사람의 믹싱기술, 그리고 노래하는 사람의 보컬능력과.... 방음부스 이것을 기본전제로 깔고...갈때


 제생각엔  마이크 > 프리앰프> 컴프> 오디오카드> 이런 순서 인것같은데요....

 어떨지요...?

그리고 마이크는 보컬의 음색에 따라서 골라야 한다고 했는데......

보컬의 음색이 두껍다. 얇다. 지르는 스타일이다. 속삭이는 스타일이다..등으로 구분해서....

 대표적인 마이크는 어떤게 있을까요?


마지막으로 가장스탠드한 U87은 어떤 목소리에 가장 잘 어울리는 마이크입니까?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저도 담비님의 의견과 같은 생각입니다.

U87은 거의 모든 사람의 목소리에 두루두루 잘 어울리는.

일정수준 이상의 소리를 들려주는 마이크랍니다.


하지만 87만큼 범용성은 없지만 M149나 MG의 UM930. 사운드디럭스의 EM251같은 아주 고가의 마이크들도.

잘 맞는 사람들에게는 U87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질감있고 훌륭한 소리를 들려주기도 하지요.


전 그래서 아주 바뻐서 마이크 테스트를 해볼 시간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87은 잘 손이가지 않더군요.


보컬녹음은 너무 쉽고 흔해서 오히려 신경을 덜 쓰는 것 같습니다만.

저는 요즘들어서는 보컬 녹음. 그리고 보컬사운드를 좀더 좋게 녹음하는데 재미가 들어서 집중을 하고 있답니다.


사람의 특성. 그리고 마이크의 특성과 가수들마다 선호하는 마이크와의 거리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거기에 맞추어 마이크의 높이나 각도를 조절하고.

또한 거기에 맞추어 마이크나 마이크프리앰프들을 바꾸어 들어봅니다.

신동철님의 댓글

취미자로써는 일년동안 엄청난 돈(???)을 쏟아 부으며...

제갸 내린 결론은...

음향기기에는 최소치의 원리가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마이크 - 마이크프리 - 컨버터(오디오카드)

이 셋중 가장 가장 낮은 수준으로 녹음이 되는 것이죠~

물론 셋 모두 평균이상이라면...질감의 차이로 나오겠지만

하나라도 평균 이하의 기기가 있다면(기기 컨디션포함)...

질적으로 저급한 소리가 녹음되겠지요~

그래서 저는 마이크 = 마이크프리 = 컨버터... 이렇게 봅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만...

gee baby님의 댓글

신동철 님 의견과 같습니다. 열거하신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각각 영향을 끼친다고 봅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그 영향의 정도에 따라 우위를 따져 나열하는 것은 딱히 의미가 없는 듯 느껴집니다.

물론 모든 기기들이 일정 수준 이상이라면, 신동철 님의 말씀대로, 질감의 차이로 구분될 것이며,
담비 님께서 말씀하신 순으로 그 영향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그냥 제 생각입니다.

Wonder님의 댓글

우위를 따져 나열하는것도 의미가 있을것 같은데요.^^;;

물론 한꺼번에 모든 장비를 다 구입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의미가 없는 주제겠지만, 대다수의 분들이 그렇듯 한정된 금액에서
단 한가지의 장비만을 구입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어떤 장비가 퀄리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가 라는 주제는
장비구입의 가이드로 아주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되는군요.

처음 음악 시작하고 장비 구입할때 그런 고민 한번씩들
다 해보잖아요. 뭐 부터 사야 가장 적은 돈으로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을까..

이러다 보면 지름신과의 친해지게되고..ㅜㅜ

gee baby님의 댓글

물론 제 입장에서도 그렇습니다만.. ㅎㅎ

아무래도 담비 님께서 언급하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만 수준이 떨어져도, 전반적인
사운드의 퀄리티가 그에 맞춰 하향 평준화 되는 것이 현실이 아닐까 싶어 드린 말씀입니다.

아아.. 지름신과의 돈독해져만 가는 친분을 말씀하셔서 하는 얘기지만..
전문 레코딩 엔지니어가 아닌 제 개인적인 입장에서는.. 요즘은 그냥 욕심을 버리고,
제 여건에서 맘 편히 가까이 두고 사용할 수 있는 소박한 장비들에 만족하며
음악적인 내용 면에서 여러모로 더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 편이 차라리 속 편하고 좋네요.

괜히, 논지를 벗어난 제 영양가 없는 사견만 두서 없이 늘어놓은 것 같아 죄송합니다.

담비님의 댓글

여러분들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어찌보면 당연하면서도 간과하기 쉬운 점이 었는데요...

 물론 장비보다는 음악적인 것에 올인하는것도 좋고, 장비에 투자를 하는것도 새로운 공부가 되는듯했습니다.

 이래저래 다 장단점이 있는거같네요......

박카스두병님의 댓글

ㅎㅎㅎ 왠만큼되는 오디오 카드와 괜찮은 마이크만 있어도 괜찮은 녹음을 할수있죵..
소스가 좋아야한다는거...
소스가 꽝이면 장비가 좋아도 꽝..ㅋㅋ

조용한나라님의 댓글

나름 좋은 장비를 활용하여 보컬녹음을 해보았지만 ....
결론은 장비  대 녹음하는 공간 인것 같습니다.
좋은 장비를 활용한다 하더라도 공간이 않좋으면...에구....ㅡㅡ;;
전체 9,431건 / 144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43 명
  • 오늘 방문자 5,853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9,14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1,78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