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스피커 잡음 질문이요...

페이지 정보

본문

저는 지금 ns10에 dc300a2를 물려쓰는데요

오른쪽스피커 부분에서
댄스나 락음악들으면 잘 모르는데

자꾸 피아노치면....
코드같은거...

표현을 진동판 떨림?,,,이런 표현을 해야될것 같네요..

트위터부분 잡음이 살짝나는데...as 받아야 하나요? 뭐가 문제죠?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스피커의 트위터부분이 과출력에 약한증상을 보이는 것인데 주로 수리한 트위터의 경우 그러한 증상이 나기도 합니다.

혹시나 앰프의 문제일수도 있으니 앰프와 스피커 연결의 좌우도 한번 바꾸어 보시지요.

운영자님의 댓글

저는 ns10에 dc300a2를 물려쓰는데요...

댄스나 락, 발라드를 들으면 잘모르는데..

건반을 치면 살짝 잡음이 한쪽에서만 나오는데.....이게 트위터가 나간건가요?

트위터가 나가면 아예 소리가 안나오지 안나요?

예를들면,,,,이어폰조금 크게 틀면 나중에 들을때 진동판 떨림? ..이런거 느껴지는 기분이요..
알려주세요
 
 

 박 상욱 (218.37.127.108)      07-05-06 12:25
 
트위터가 살짝~ 나갔을때 그런 현상이 납니다.
완전히 나가면 소리가 안나오구요.

혹시 signal generator 같은게 있으시면 주파수 별로 한번 쏴보세요.
트위터라면 1k 나 그 이상 주파수 에서 잡음이 심하게 나는걸 확인하실수 있을겁니다.
우퍼가 나갔을때도 역시 같구요~

이정준님의 댓글

이런 증상이 지나치게 두드러진 경우에는 트위터를 감고있는 코일이 파손(풀려있어서)되어 정상적인 구동이 되지 않을때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신품에서도 이런 증상이 생길때는  태생적으로 특정주파수에서 취약점이 있는 것인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단, 그렇게 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1, 운이 없어서(정격으로 비교적 안정적으로 사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내구성이 부족한 관계로)
내구성에 관련된 사항이라 OX가 없는 진단이 예상됩니다. 코일이 살포시 풀려서 일반적으로 운영을 하는데에 전혀 지장이 없으나 순간적인 특정 고주파에서의 피크에는 대응을 하기 버거운 경우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기재들은 일정기간이 지났을 경우에 감안할 수 있는 경련변화가 어쩔 수 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순히 운용상의 잘못이나 운이 업다가 보다는 필연적으로 망가지는 수순을 밟게 됩니다.

2. 정격이상으로 과도한 출력으로 구동을 하여 망가지는 경우--- 순간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에서 과도한 피크가 걸려서 정상적으로 액션을 하던 다이아 프래임의 액션이 허용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다이아 프레임을 감싸는 보이스 코일이 절대로 접촉해야 하지 않는 마그넷과 마찰이 생기게 됩니다. 접촉을 하지 않더라도 특정 주파수와는 관계가 없더라도 무지막지한 출력이 유입되면 이때는, 코일이 쫙 풀리게됩니다. 심한 경우에 피복이 벗겨지고 단락이 됩니다... 살짝 풀려있는 경우에 약간의 수리를 통해서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종양이 남아서 항시 재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일단, 이런 증상도 경련변화에서 오는 마그넷트-공간-코일-다이아프레임의 관계에서 공간이 깨어지고 마찰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면 해결이 불가능하게됩니다. 그래서, 코일안에 특수한 윤활유를 안전장치로 발라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소리는 난다고 생각하지만 데미지를 입은 것 같다고 여겨지는 것은 속히 수리를 하시는 것이 좋을 듯 생각됩니다. (상욱님의 말씀대로 시그널 제네레이터로 쏴주면서 검진을 해보는게 필요합니다.-이걸 고쳐되나 말아야 되나?)
경련변화와 관련해서는 녹음실의 온도습도를 최적으로 항상 유지해줘야 하는 필요성을 다시금 생각해봐야 하겠습니다.


3. 네트워크 케페시터의 불량---이경우에는 전반적으로 고음의 음색이 다소 이상한 경우에 있을 수 있는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주 드물게 발생하겠습니다. 태생적으로 불량이 아닌 경우에는 드물게 나타나겠습니다. 나의 NS-10의 소리가 너의 NS-10의 소리와 뭐가 다르다 할때, 혹시나 의심해볼 문제로...네트워크 케페시터, 트위터의 버젼 차이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드물게 충분히 발생할 수 있겠지만, 케페시터의 용량이 의도한 설계와 틀려서 크로스오버 포인트 아래까지 은연중에 소리가 나게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트위터에 좋지 않은 데미지가 처음부터 있었을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제조당시에는 나름대로 모니터 제품이기때문에 열심히 검사해서 만들었을수 있다고 생각도 되지만 제품의 가격을 생각해본다면 꼭 그렇게 했을 것 같지는 않다고 생각도 됩니다.


일단은 해법--- 수리를 해서 쓴다. 여분의 것을 오리저널 버젼으로 미리 준비해둔다...

락커님의 댓글

죄송한데 여분의 것을 오리지널 버젼으로 준비해둔다는게 무슨 뜻이죠??^^

그리고...지금 상태면...스피커가 너무 신경쓰이는데......야마하 코리아에 as 맡기면 되나요?

목소리같은건 감이 안오는데 피아노 부분에서 너무 거슬려서요...

이정준님의 댓글의 댓글

수입원이나 판매점에 교체용으로 트위터가 있었다고 합니다. 행여나 고장이 났을때, 수리하는 것보다는 교환해서 쓰는 방법도 권유해드리고자 하는 바입니다.
전체 9,431건 / 14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03 명
  • 오늘 방문자 5,358 명
  • 어제 방문자 4,894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2,599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252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