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고민에 고민하다 결국 다시 질문 드립니다. 토탈컴프 관련입니다. ^^

페이지 정보

본문

저번에 믹싱시 토탈 컴프에 대해 질문글을 올렸었는데 답변이 하나도 달리지 않아서
눈물을 머금고 인터넷이며 잡지 뒤적뒤적거리다가 다시 질문 드립니다 ㅜㅜ

믹스시 토탈컴프의 설정에 관한건 공부하면서 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만
정말 궁금한게 있습니다. (경험과 지식이 부족해서 바보 같은 질문일수도 있습니다만..)

믹스시 토탈컴프를 걸어주게 된다면
믹스 결과물로 나온 스테레오트랙을 일단 듣기 좋은 볼륨을 얻기 위해
대략적인 마스터링을 할경우
다시 컴프레서와 리미터를 걸어주어도 괜찮은겁니까?

예를 든다면 믹싱시 SSl G컴프를 토탈로 걸어주고
마스터링시 다시 SSl G컴프 혹은 멀티밴드 컴프레서와 함께 리미터를 걸어주는건 어떨지
고수님들의 소중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관련자료

강효민님의 댓글

컴프레서는 몇번을 걸어도 됩니다. 위에서 기술하신 믹싱시 토탈 컴프 -> 마스터링에서 컴프 혹은 리미터는 많이들 쓰는 방식입니다.

근데...토탈 컴프가 또 반드시 필요한것은 아닙니다. 음악과 연주의 특성에 따라 토탈 컴프를 걸지 않는것이 더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이지만 본인의 귀로 들어서 판단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절대로"라는 개념은 음향에서 많이 통용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칼잡이님의 댓글

제가 생각하기에 토탈 컴프를 걸어놓고 믹싱을 하게 되면 결국 토탈 컴프 사운드에 의존한 믹스밖에 안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체적인 그림에 대해 보다 더 섬세하고 디테일한 믹스를 원한다면 토탈 컴프에 의존하기 보다는 개별 트랙을 보다 더 정성껏 다듬고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개별 트랙마다 힘이 있고 밀도 있는 사운드였을때 마스터링을 해도 전체적인 음압이 쉽게 올라갑니다. 그런데 토탈 컴프를 걸고 믹스를 하게 되면 개별 트랙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이나 컨트롤, 트랙간의 밸런스의 구분이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HEADBANG!님의 댓글

듣고 좋으면 방법이야 어떻든 상관없답니다..ㅋㅋ 토탈 컴프에 토탈 이큐에 토탈 오버드라이브를 걸어도 듣고 좋으면 장땡이라는... ㅋㅋ

강정훈님의 댓글

꼭 이런 방법으로 해야겠다..고 생각했던게 제 착각이었던 것 같네요 ^^
칼잡이님 말씀처럼 각트랙에 좀 더 신경을 쓰고 들어가며 꼭 필요할때만 믹스시 토탈컴프를 걸어주어야 겠네요
의견 감사드립니다.

두부김치님의 댓글

칼잡이님 말씀에 적극 동감합니다~ 저는 뭐.~ 워낙 초보지만 요새 믹스 연습을 하면서.~ 유난히 느끼게 되는것이 사운드를 빠방하고 크게 들리는데 열을 올리다 보니.~ 각 트랙에 배런스다 악기의 특성들이 무시되는 일이 많았던것 같습니다.~  토탈 컴프나 플러긴 맥시 마이져 같은걸로 꽉꽉 채워서 사운드를 만들다 보니.~~ 갈길이 멀지만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트랙 하나 부터 정성것 책들고 테스트해가며.. 공부중이랍니다.  초딩 실력에 다양하고 좋은 장비들은 오히려 방해가 되네여...ㅠㅠ
전체 9,431건 / 149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95 명
  • 오늘 방문자 4,384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7,67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1,388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