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플러그인을 인서트 하는것만으로도 음색이 바뀌었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오늘 믹스가 다 완성된 프로툴 세션을 하나 열어서 공부를 하는중이었습니다..^^(다른분께서 믹스하신

세션이었습니다..^^)

프로툴HD 6.9.1 버전이구요..

그런데... wow 기타 트랙에 waves REQ가 인서트 되어있는데 EQ가 플랫하게 되어있더군요.

그렇다고 아웃레벨이 조정된것도 아니었고...

정말 딱 인서트만 되어있는 것이었는데요...

무심코 바이패스를 해봤더니 소리가 좀 달라지더군요.

얇아지는 느낌같기도 하고 선명해지는 느낌같기도 하고...^^;

귀가 이상한가 싶어서 계속 해봐도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특히 버스를 통해 그룹으로 만들어진 트랙에서 그런 느낌이 더 들었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아웃보드라면 물리적인 회로로 구성되어 있을테니 인서트 만으로 소리가 달라질 수

있겠다 생각했지만 플러그인에선 그런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디지털 플러그인에서도 플러그인을 인서트 하는것만으로 소리가 달라지는 것인지...

어떤 이유에서 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부분을 공부해 보아라 라는 식의 말씀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_;

관련자료

JesusReigns님의 댓글

제 소견입니다만, 특정 제품을 시뮬레이션하려고 일부러 플랫한 상태에도
뭔가 필터링이 일어나는 플러그 인이 아니라면 플러그 인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도
생각됩니다.  사실, DSP 프로그램을 하다보면 이런 실수가 쉽게 날 가능성을
자주 봅니다. 일부러 flat에서 뭔가 영향을 준다면 소리가 좋아질 가능성이 크지만,
DSP 프로그래밍 실수로 나타난 경우는 THD+N등이 증가해서 bypass할 때에 음이
깨끗해 지는 느낌이 날 것입니다. 이런 경우는 다른 플러그인을 사용하시는 것이
flat이 아닌 경우에도 더 좋은 결과를 줄 것입니다.

moog님의 댓글

이와 관련해 예전에 여러 실험을 해봤었는데요..
 바이패스시의 특성까지도 재현한 몇몇 플러그인은 일단 논외로 하구요

 걸어만 놨는데 소리가 바뀌게 되는 플러그인이 종종 있더군요
(여기서 소리란 제 귀로 판단한것이 아님을 미리 말씀드릴께요)
 예를들어 nomad factory의 이큐군들을 보면
 같은 파일 2개를 동시에 재생하고 한쪽은 위상반전을 했을때
 PEQ 시리즈들은 전혀 차이가 없이 나오는데
 GEQ 시리즈는 틱 잡음 같은 비 음악적인 노이즈가 약간 생깁니다
 BQ,BX 같은 경우는 음악 자체가 나와버리는 차이가 생기구요.
 sonalksis의 eq 역시 그렇더군요

 혹시나 이것이 레이턴시라던가 그런 문제로 위상의 타이밍이 어긋나
 그런것인가 봤지만 그런 약간의 밀림이나 땡겨짐 같은건 없더군요..
 파형자체에도 별다른 변형은 없어보였구요

  몇가지를 더 해봤는데 waves의 q시리즈..re시리즈,lineq 역시 차이가 없었구요
  kjaerhus의 geq는 음악이 나오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컴프의 경우는요..물론 스레스홀드가 0db인 채로 말이죠..
 노마드의 cp,fa 시리즈 그리고 소낙시스의 sv컴프 같은 경우 차이가 없었습니다만
 URS의 복각 시리즈 같은 경우 큰 화이트 노이즈가 생기더군요
 
 큐베이스 자체 컴프나 이큐,Q 필터 같은 경우도 차이가 없었습니다
 
 한가지더..2016리버브를 dry100%로 하고 해봤는데 차이는 없었구요
 
 
 이 차이가 뭘 의미하는지 제가 정확히 설명은 못드리겠네요^^;;
 아무튼간 플러그인에 따라 걸어놓기만 했을때도 작동방식이 다른걸 알수 있었습니다.

윤성님의 댓글

두분 답변을 통해 뭔가 더 공부해볼것이 생겨났다는 느낌에 기대가 됩니다^^

오늘 다시 그 세션을 열고 각 트랙의 플러그인마다 걸리는 딜레이를 봤더니 디지랙 기본 플러그인에서도 딜레이가

생기더군요.(윈도우에서 사용하는 7.0버전에서는 디지랙 플러그인의 경우 딜레이가 없었던것 같은데..^^)

일단 추측해보기론 이 플러그인 딜레이가 트랙마다 달라서(걸어놓는 플러그인이 각자 다르기 때문에) 좀 뿌옇게 되는

것이 아닌가 추측해봤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또 드럼을  버스로 모아서 걸어놓으니 나름 괜찮더군요...^^

믹싱하신 분 께서도 그런 의도로 일부러 걸어놓은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다시한번 두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moog님의 댓글

누엔도에는 딜레이 컴펜세이션기능이 있어서
각 플러그인간의 딜레이를 미리 계산해서 보정하여 재생해줍니다..
(프로툴도 당연히 그런게 있으리라 생각되네요)
그래도 혹시나 그런 레이턴시의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위상의 충돌등으로
그런 증상이 생기는게 아닌가 생각하고
파형들을 원래 버젼과 플러그인 걸은 버젼으로 익스포트한후 극대화해서 비교해봤는데요..
그런 식의 오차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더군요..
아무튼 연구해볼만한 문제인거 같습니다..

윤성님의 댓글

옙^^ 누엔도에는 있는데...
프로툴에는 6.4버전 부턴가 생긴걸로 알고 있습니다(확실친 않지만..^^)
그런데 그 ADC기능을 어디서 켜고 끄는건지 당췌 몰겠네요..^^

김근채님의 댓글

필터 제작시에 사용한 방법에 따라 저런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플러그인에 사용한 필터의 방법이 IIR, FIR이냐의 차이일것 같습니다. 요즘 디지털 필터이론을 배우고 있는데 참 어려우면서 재미있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디지털 필터에 대해 글을 쓸 수 있는 수준이 되면 좋겠습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거의 모든 플러그인이 인서트하는것만으로도 소리가 바뀝니다.(고역과 저역이 아주 살짝 줄어듭니다.)

모니터환경에 따라서 이것을 느낄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체 9,431건 / 149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66 명
  • 오늘 방문자 2,055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5,34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631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