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음계거리(Critical distance)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음계거리는 무엇이고 ...
이 개념을 알게되면 음향적으로 어떤 이득을 볼 수 있는지요...

책으로만 봐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따뜻한 의견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셀모님의 댓글

'임계거리'입니다. 검색해본 내용을 옮깁니다.

직접음과 주변음

직접음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직접음은 음원으로부터 멀어져 갈수록 약화 된다는 것이다. 변화의 크기는 역제곱법칙이 성립한다. 변화의 수준은 거리 변화의 역제곱의 비율을 갖는다.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두배일 때 소리의 레벨은 6dB씩 감소한다. 이것은 감지 가능한 감소이다. 예를 들어 만약 기타 앰프로부터 소리가 1피트에100dB SPL 이라면 2피트는 94dB, 4피트에는 88Db.. 의 변화를 보일 것이다. 바꿔 말하면 거리가 반으로 줄 때 소리레벨은 6dB씩 증가 한다.

반면에 공간 내 주변음이 공간 전체에 거의 같은 수준이다. 이는 주변음이 공간 내에서 무지향성을 띨 때까지 수 없이 반사되어지기 때문이다. 잔향은 무지향 음원의 사례이다.

이런 이유로 마이크가 직접음과 멀리 떨어져 있을 때 공간 내 주변음은 분명히 증가 한다. 모든 공간에서 음원으로부터 측정되는 직접음과 반사된 음이 밀도에서 같은 거리가 있다. 음향학적으로 이것을 임계거리라고 한다. 마이크가 임계거리 혹은 더 멀리 배치 된다면 수음 되는 소리의 질은 매우 빈약할 것이다. 이런 소리는 종종 에코가 들어간, 잔향 혹은, 드럼통 바닥에서 나는 소리로 설명 될 수 있다. 반사음은 직접음과 겹치고 감싸고 돈다.
임계거리는 매우 짧은 거리에서 음원을 듣는 것과 소리레벨이 더 이상 감소 되지 않으며 지속적인 것처럼 보일 때까지의 움직임으로 측정 할 수 있고, 그 거리를 임계 거리라고 한다.
전지향성 마이크는 만드시 임계거리의 50%이상을 벗어나 위치해서는 안 된다. 만일 임계거리가 10피트라면 전지향성 마이는 음원으로부터 5피트상에 놓여져야 한다. 높은 잔향이 생기는 공간은 매우 근접한 마이크의 위치를 요구한다. 주변음에 비교해서 직접음의 양은 음원간의 마이크 거리 그리고 마이크의 지향성에 의해 조절된다.
전체 9,431건 / 153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06 명
  • 오늘 방문자 734 명
  • 어제 방문자 5,679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6,035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616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