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리듬파트를 힘있게, 앞으로 나오게 하려면..

페이지 정보

본문

클럽음악이나 힙합 등 리듬이 주가 되는 음악들을 들어보면 리듬파트들이 존재감도 있고, 힘있고, 앞으로 나와있는 느낌에 박력이 있는데 이렇게 믹싱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충 컴프를 사용하면 된다는건 알겠는데..

믹싱하고 리듬파트만 들어보면 앞으로 나와있고 힘있는 것 같아 괜찮은 것 같은데 전체믹싱을 들어보면 리듬파트가 뒤로 밀려있고 힘이 없는 느낌입니다..

그렇다고 리듬파트를 올리면 보컬 등 다른게 너무 묻히는 것 같고..

어떻게 해야할까요? 전체적으로 박력있게 하고싶은데..

마스터컴프가 다 죽이는건지..

관련자료

흐음님의 댓글

처음에는 마스터버스에는 아무것도 안써보도록 노력하시길..
보통 실제 씬에서도 마스터에서 컴프 안쓰는 경우도 아주 많구요..
써도 게인리덕션 -1db정도? 도 더 안씁니다.

마스터버스에 컴프도 빼시고 리미터도 빼시고 아무것도 없이
최대한 밸런스로만 해보시길..

왜냐하면 클럽음악이나 힙합 샘플 소스들은 이미 다 다이내믹이나 모든게 보통
프로세스가 되어있는 소스들입니다.

그래서 최대한 밸런스만 제대로 만지시고,
특히 킥, 스네어, 보컬 이 세개만 제대로 밸런스 잡으셔도 나머지는 얹기만 하시면..
이큐도 부스트보단 서로 겹치는 부분만, 딱 필요한 부분만 컷해주시면서 서로 공간 만들어주시구요..
공간계 계열도 음악특성상 처음에는 안써버릇 하시는게 더 밸런스 잡는데 도움이 되실겁니다.

제대로 밸런스만 잡혀도 아무것도 없이 맨마지막 리미터로 3db만 피크 깍아주셔도
충분히 상업레벨 에서 조금 낮은<?>정도는 다 나옵니다.

이제 기존에 있는 다이나믹을 덜죽이면서, 상업레벨 경쟁은.. 좀 더 이래저래 꼼수를 부려줘야 하구요..

하여간 마스터컴프 일단 안쓰는게 더 납니다, 아주 이해를 잘하고 있지 않는한..
(그리고 이해를 할수록 왜 덜써야 하는지 알게 될거구요^^)

항상 마스터에는 최대한 안쓰시고 기본 믹싱에서 밸런스에 힘쓰시길..
결국 마스터버스에 들어가는 모든게 레벨 끌어주는 거 외엔 결국 믹싱을 다시 전체적으로 만져주는거기때문에
원래 믹싱이 잘되있으면 건들일게 솔직히 없습니다.

그리고 제일 좋은 방법은 A/Bing인데요 그니까 상업 믹싱과 비교를 하면서 믹싱을 하는겁니다.
대신 레벨을 낮춰서 비슷하게 만들어주시구요 거의 -12db정도 낮추시고 그 레퍼런스와 비슷한
레벨로 하나씩 맞춰주시고 귀로 들었을때 비슷한 크기인데 뭔가 밸런스가 레퍼런스와 많이 다르다.. 하면
원인을 하나씩 찾아가시고 최대한 처음에는 비슷하게 해보시도록 노력해보시길..^^

마스터는 맨마지막 레벨만 끌어주신다고 생각하시는게 오히려 더 좋은 결과가 나올겁니다..
(디더링 이런거도 있겠지만^^; )

점점 뭐든지 도가 트실수록 LESS IS MORE라는걸 염두해두시고 제일 중요한 부분부터 하나씩
채워나가시면서 좋은 음악 만드시길 빕니다. 그럼..^^

SMaker님의 댓글

마스터단은 요즘 사용하고 있는데 컴프를 걸어도 말씀하시는 것처럼 거의 피크만 잡아주는 식으로 살짝 걸구 있습니다..

그런데 샘플소스들은 거의 안만지는게 좋나요?

대부분 컴프등의 작업이 되있어서 그대로 쓸 수 있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

거기에 추가로 컴프, 이큐질을해서 그런건지..

그리고 말씀하신것처럼 밸런스에 중심을 두고있고, EQ도 부스트보단 컷에 사용, 공간계는 개인적으로 싫어하기에 사용해도 살짝 걸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 것 같은데 어디가 문제일런지..

리퍼런스CD(A/Bing이라고 해주신거)는 자주 듣는편인데 MIX당시에는 괜찮은거 같은데 결과물은 왠지 모르게 이상하네요..;

헤드폰으로만 작업해서 그런건지..

하지만 헤드폰으로만 작업해도 잘 하시는 분들은 계시고.. 아직 스킬이 부족한건지..

흐음.. 답답하네요..

soundmaker님의 댓글

믹싱에서 그런 레벨 밸런스가 숙제이지요.. 가장 기본이면서~  ^^
 대충 컴프라.... 레벨과 상관있는데 최대한 소스를 살려가면서 컴핑하느 것이 좋고 또한
드럼 밸런스가 좋지 않은데 다른 소스를 얹게 되면 다른 소스와도 밸런스가 무너집니다.
기초공사가 안 되었는데 다른 주파수를 넣을 수가 없는 것이죠~
주파수간의 충돌여부도 확인하시고 서로 양보해서 소스를 살릴 수 있도록 하심이 좋을 것 같네요~

흐음님의 댓글

일단 이런 음악 소스들은 안만져도 되지만.. (애초에 알맞는 샘플이라면..)
특정한 경우 컴프와 이큐 특히 이큐로써 새로운 톤메이킹은 가능하겠죠-
그런 정확한 목적아래서^^
개인적으로 저는 드럼은 경험만 풍부하다면 헤드폰으로 시작해도 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보컬이나 공간계쪽은 꼭 직접 모니터 스피커로 적어도 체크는 해주는게
밸런스에 더 중립을 잘 유지할수 있다고 보구요.. 그래도 자기가 시행착오를 겪고
스피커와 다른 부분을 인지하면서 자기 모니터링에 대한 신뢰가 있다면 안될건 없다고 봅니다-

여하튼,
soundmaker님 말대로 드럼 밸런스만 제대로 맞춰도 나머지는 얹기만 하면 될정도로
제일 중요하구요, 드럼이 맞지 않으면 다른 것들을 아무리 얹어도^^...

사실 제대로 이해를 못한 컴프레션이나 이큐잉에 귀가 속기가 아주 쉽습니다.
단지 그냥 레벨 페이더만 제대로 올려도(낮춰도) 더 나은 결과가 나올때가 더 많구요..

계속 기본만 강조해서 답답하시겠지만.. 하면할수록 덜 하는 노하우가 생기는 게 진짜 기술입니다^^

실제로 저도 얼마전에 뉴욕 스털링 사운드에서 마스터링할일이 있었는데
믹스가 나쁘면 손을 많이 댄다고 하지만(스테레오 이미저 멀티컴프레션 MS프로세스 등등)
오히려 믹스가 어느정도 괜찮다 싶으면
정말 억울하다 싶을정도로 딱히 하는게 없더군요 ^^;;
로우쉘프 이큐 30hz 0.5db-말고는 그냥 레벨만 그냥 쭉 올리고(리미터 컴프 없이)
돈은 무진장 받아먹고^^;;; 뭐 당연히 좋은 모니터링과 시그널 체인, 컨버터 등등이 있겠지만요..

저도 이쪽일을 계속 할수록 완벽한 결과물을 위해 점점 덜할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게 진짜 고수라고 봅니다.
그게 더 좋은 결과이고 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자잘한거보다 정말 제일 중요한 부분을
단칼에 칠수 있다는거니까요 ^^

자꾸 다른 얘기로 빠져서 죄송합니다만,
그리고 실제로 작업물을 들어봐야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드리겠지만..

또 말씀드리자면..대부분 이런쪽 음악의 유일한 어쿠스틱은 보컬인데요..
보컬은 좀 어느정도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음악 특성상 아주 많은 컴프레션과 또 알맞는 이큐잉, 또
음향적인거 외에 음정(랩아니라면),박자 튠이 잘되야 잘 어울러지구요.. 

보컬은 알맞는 프로세싱이 안되있다면.. 드럼과 밸런스를 맞추기 힘들어지겠죠.
보컬이 제대로 들리기 위해 올리면 나머지들이 안들려지고
또 나머지를 올리면 보컬이 안들리고..

그니까 보컬에는 좋은 레코딩부터 프로세싱을 좀 하셔야 할겁니다.

굳이 그때그때 다른 많은 방법들 중에 대중적인 방법을 열거하자면

잔향이 심하지 않은 룸에서 적당한(좋을수록..당연 좋고) 마이크로 적당한 프리(이것또한..)로

알맞는 마이킹과 거리로 보컬 녹음(적당,알맞...이런것들이 다 경험이기에 죄송ㅠㅠ)

-> 에디팅, 음정 튠, 박자튠(이런것들은 고칠필요가 있다면 '딱 필요한 만큼만' 음악에 맞게)

->  컴프레션(음악특성상 좀 과감해도 된다는 개인적 의견입니다. 결국은 귀가 판단이지만)

-> 이큐잉(소스마다 당연히 다릅니다만!!!!!!!!!!!!!!!!!!!!!!!!!! -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
            로우컷, 미드로우 레인지 컷, 하이 부스트에서 시작을..) 

-> 디에싱 혹은 위의 에디팅에서 에딧.

그 후에 얹어보시고 살짝 공간계를.. ^^

무슨 이런 공식으로 좌지우지 되는것 아주 나쁘지만 혹시라도 도움이 되실까 해서..

너무 다 아시는 부분을 제가 굳이 열거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결국은 다 경험이구요, 또한 좋은 선생님이나 조언자 혹은 DVD라도 뒤져서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하나 볼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제 경험에 의하면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하여간 좋은 음악하시길..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9,431건 / 15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52(1) 명
  • 오늘 방문자 5,627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5,249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603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