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DAW 상의 Fader LEVEL 에 대한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현재 로직을 사용중이구요
오디오가이 여러분들의 포럼과 소개해주신 책들을 통해
0db와 0dbfs 의 개념은 어느정도는 이해를 하였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지금 로직을 사용중인데
레벨미터는 -96db 부터 0dbfs 까지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유니티 게인이라고 부르는(입력/출력레벨이 같은..맞나요?'')
곳의 레벨미티가 아닌 페이더의 위치를 보면
페이더상에서는 0db이지만 위쪽으로 +6db 정도를 더 올릴 수 있네요.

1. 로직은 믹서에 따로 게인버튼이 없는데 그럼 이 부분이 게인이 되는건가요?
2. 게인을 올리면 노이즈 플로어도 같이 증가 하게 되는거라고 알고있는데 맞는지 궁금합니다
3.노란색이 게인부분인지 헤드룸인지.. 아고 고민이 많네요;;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P.S: 비교를 위해 클립까지 표기하기 위해서 좀 띄워봤습니다~

관련자료

직립나님의 댓글

1. 실제 믹서와 로직에서의 믹서는 다른고로 게인이 없습니다.
2. 소스에 따라 전혀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요.
3. 게인이 뭐라고 생각하시는 건지요. 암튼 노란색 부분은 헤드룸에 가깝습니다.

soundmaker님의 댓글

쉽게 생각하시면 페이더 눈금이 끝이 0인 것은 디지털쪽입니다.
0이상의 레벨은 클리핑을 유도합니다.  그래서 최고레벨을 표시하며 그것은 장비의 지원여부따라 다릅니다.

또 하나는 U가 있는 것인데 그 위에도 눈금이 있는 것은 헤드룸이라고 해서 아직 더 올릴 여유가 있는 것입니다.
보통 아날로그쪽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입니다.

1.게인은 프리앰프의 역할입니다.  페이더만 있다면 이 기능이 없는 것입니다.
페이더는 이미 증폭된 사운드를 만지는 수준입니다.
2. 게인을 올리면 증가합니다.  그래서 적절한 게인값도 중요하지만 소스의 퀄리티가 더 중요합니다.
  무조건 풀로 받고 보자식의 레코딩 시대는 지났습니다.  전에는 장비의 SN비와 장비퀄리티로 인해서 레코딩시
  꽉 차게 받았는데 요즘은 다이나믹 레인지가 좋아져서 노이즈가 심할정도로 받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3.LED미터의 노락색은 그냥 표시입니다. 사실 그 정도 레벨에서 받아 두면 좋긴 한죠~ ^^
  하지만 바로위 적색 LED미터를 조심해야 겠네요~
전체 9,431건 / 159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323 명
  • 오늘 방문자 5,152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4,77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520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