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best setting for sax recoring?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색소폰과 여성보컬 녹음만을 주로하는 레코딩 아마츄어입니다.
보다나은 음질을 위해 avalon YT-737sp, Focusrite의 voice master,
neumann uM-57 tube, U-89i mic 등을 구입하였으나 장비운용의 미숙으로
별다른 사운드의 발전을 못하고 있습니다.

제일 궁금한점은 avalon 의 threshold,compress,attack,release 의 최적 세팅과
(시계바늘 표시로 예를들어 10시..)
eQ의 최적치를 조언받고 싶습니다.
bass(15~150hz) lowmiddle(35~450hz)highmiddle(220hz~2khz)high(10khz~32khz)
라고 되어 있으며

녹음실은 약 5평정도에 디지탈뮤직워크스테이션으로 녹음합니다.
바보같은 질문인줄 알지만 혼자서 1년이상걸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전문가 여러분들의 조언을 기디립니다.

감사합니다.

관련자료

박 상욱님의 댓글

아... 이런.. 안타깝군요.
도와드리고 싶지만... 더군다나 섹소폰 같은 경우 어떤 섹소폰 인가..(소프라노, 알토.. 등등)
어떤 회사의(?) 섹소폰 인가...
또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소리가 워낙 천차 만별 하는 악기 라서, 이렇다~! 하고 꼬집어서 말씀 드리기가 정말
어렵군요.
일단... 컴프레서와 이큐를 bypass 하고 마이크 선택과 마이크의 위치를 가지고 좋은 소리를 먼저 잡아 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연주하는 사람 옆에서 연주 하는거 들어보면서 소리가 제일 잘 들리는 곳에서 귀를 귀울여 들어 보시고
그곳에 마이크를 위치 하신 다음에 (보통들 색소폰 혼.. 나팔 이라고 하나요?? 그곳에서 30cm 정도  위에 마이크를 댑니다) 컨트롤룸으로 들어와서 한번 소리를 들어 보세요. 좋은 마이크에 좋은 위치,  좋은 악기, 그리고 좋은 연주자라면
어느정도 실제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얻으실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나서 컴프레서를 걸기 전에 "내가 컴프레서를 걸어서 어떤 사운드를 원하는가.... 를 먼저 생각 하시구요...
감이 잘 잡히지 않으시면 컴프레서나 이큐 없이 섹소폰을 녹음 하신 후에 연습을 한번 해 보세요.
깨끗한 섹소폰 소리에 컴프레서도 걸어 보고.. 세팅과 과감하게 팍팍팍 해 보시는등...
그런식으로 연습을 하시면 감이 금방 잡힐겁니다.
이큐도 그런식으로 하시면 될거구요.

그럼 행운을 빕니다~

vintage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막연히 이팩터나 컴프래셔를 걸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는데..
  말씀하신대로 전부 바이패스한다음에  한번 해 보겠습니다.

 저는 테너를 주로 하고 있으며 악기는 셀마마크식스입니다.
 레코딩이 초보일뿐 연주는 꽤 오래 했습니다.
 아....어렵다..  음반에서 듣던 그좋은 사운드는  정녕 신기루???

박 상욱님의 댓글

음반에서 듣던 그 신기루는.... 믹싱 엔지니어가 만들어 내는 마법 일겁니다:)
물론 좋은 연주에 좋은 녹음이 기반이 되야 하겠지만...
믹싱 엔지니어들이 부리는 마술은.... 대단하답니다 :)

별표2개님의 댓글

일단 연주자 앞에서  한쪽 귀로만 ( 중요합니다 ! )  소리를 열심히 들어 보시길 권합니다.
앞뒤 좌우  위아래 로  다양하게 움직여 보시고, 각 위치별로 귀에 들리는 소리에 익숙해 지시고 나면
좋다고 생각되는 위치 근처부터 마이킹을 해보시구요, 이런 식으로 얻은 몇 포인트가 정해지면 그 다음에
마이크를 바꿔가면서 녹음해보시고, 그 다음에 EQ,Comp 등을 적용해보는게 바람직한 순서라고 생각됩니다.

유명한 뮤지션들의 음반 부클릿이나 ,개인 홈페이지등을 찾아 보시면 의외로 녹음현장 사진을 많이 찾으실수 있습니다.
그런 사진을 통해 왕 대가들의 마이킹 테크닉을 따라 해 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가지고 계신 장비들은 전혀 모자람없는 너무 좋은 것들입니다만,
어떤식으로도 수치로 표시할수 있는 세팅값 이란것은 존재 하지 않습니다.

같은 식스에 같은 피스,리드를 쓴다고 하더라도, 연주자와 연주되는 공간에 따라 소리가 다 다른것과 같고,
피스를 끼우는 깊이와 리드 무는 압력등을 수치로 설명할수 없는것과 비교해도 무리가 없을거 같습니다.

변수가 너무 많습니다.-_-
전체 9,431건 / 16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92 명
  • 오늘 방문자 6,665 명
  • 어제 방문자 6,56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56,09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전체 회원수 37,548 명
  • 전체 게시물 287,989 개
  • 전체 댓글수 193,398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