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관련되어 조언구합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하려고 맘을 먹었습니다.
주로 현장에서 라이브 2트랙 녹음과 음향측정을 위한 용도입니다.
즉 노트북에서 사용할 휴대용 인터페이스를 찾아보고 있는데
대부분 맘에 드는 제품은 Firewire 방식이더군요
문제는 제 노트북이 Firewire가 기본적으로 지원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삼성 Sens R-700 입니다.)

Express Card를 사용하면 1394포트를 사용할수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리뷰에서는 노트북 사용시에는 따로 전원을 공급해줘야 한다고 되어 있더군요.
실제 현장에서 인터페이스에 따로 전원을 해주는게 번거롭기도 하고
아답타를 들고 다니는것도 번거로울듯해서 조금 맘에 걸립니다.

1394 Express Card의 경우 6 Pin 타입이던데 6 Pin이면 파워공급이 이루어지는것 아닌가요?
그리고 Express Cardbus를 통한 Firewire의 연결은 노트북에 기본 장착되어있는 Firewire와 차이가 없는건가요?

Firewire 문제만 해결된다면 Phase X24FW, Presonus Firebox, Konnekt24D
이렇게 3중 하나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USB중에서는 Presonus Audiobox란 모델이 눈에 띄더군요.
혹시 써보신분 있으시다면 Firebox와 비교해서, 혹은 일반적인 평가라도 부탁드리니다.

PS. 30-50만원대의 인터페이스에서 비교라는게 의미없을수도 있어서인지 글을 찾아봐도 잘없더군요.
      저와 비슷한 류의 고민을 하는 사람도 있을수 있으니 작은 경험이라도 나누어 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관련자료

거북님의 댓글

오디오 I/O 전원을 노트북 컴퓨터에서 끌어다 쓰는 건 권장하고 싶지 않습니다. 특히 라이브 상황에서는...

노트북이건 데스크탑이건 온보드 firewire는 내부의 PCI 버스에 물려 있습니다. 여러 온보드 장치들이 PCI 버스와 인터럽트 요청을 공유하고 있으며 순번으로 돌아가며 정해진 레이턴시만큼 CPU 자원을 사용하고 반환하는 걸 짧은 사이클 안에 반복합니다. 따라서 만약 AGP 같은 데에서 높은 우선권을 요구하고 있다면 1394는 순위에서 밀려날 수 밖에 없습니다.

한편 PCI Express 방식은 이런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액세스합니다. 오디오 작업과 같은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의 처리에는 훨씬 유리합니다.

음악처럼님의 댓글

답변 감사드립니다.

PCI Express가 유리하지만 노트북에서 주로 사용할 휴대용 장비라서 제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제가 알고있는바로는 Firewire를 데스크탑에서 사용할때는 별도의 전원연결 없이도 사용가능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전원을 따로 연결하는것이 안정적이라는 말씀은 이해합니다만 안해도 작동에는 문제가 없다는 리뷰를 봤습니다.

그렇다면 노트북에서는 어떠한가가 제가 궁금한 부분입니다.
제 노트북의 확장이 PCMCIA가 아니라 Express Card 라서 6 Pin 타입의 1394 Express Card를 사용했을때
전원공급이 가능한지와 그것이 기본장착된 1394와 속도나 안정성면에서 차이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전체 9,431건 / 16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69 명
  • 오늘 방문자 3,099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6,38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921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