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포커스라잇의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관한 질문

페이지 정보

본문

가입하자 마자 쓰는글이 질문이 되어버린것 같아 참 ^^;;;

항상 눈팅으로 정보만 얻고 가다가 막상 실질적인 질문을 가입후 하려니 부끄럽습니다.

최근 집에서 쓸 오디오 인터페이스 교체를 준비하고 있는시점에서..

요놈의 B급 정신이 발휘되어 포커스 라잇의 Saffire Pro가 레이더에 걸렸습니다.

헌데 26 IO와 10 IO 두가지 버전이 있더군요

겉보기엔 상당히 비슷해보였지만 내부 스펙을 따져보니 차이가 많았던것 같습니다.

과연 이것이 인/아풋의 감소 또는 부가적인 옵션을 제거한 가격 절감형태인지

아니면 제품자체의 성능을 낮춘 다운그레이드인지 궁금합니다.

컨버터단의 차이는 또 어느정도일지...

관련자료

워십님의 댓글

스펙을 자세히 보시면~~ 기본 아날로그 컨버터, 마이크프리는 똑같고..
 26 io 가 adat 과 워드클락 단자가 있고 없고의 차이인걸로 알고 있어요..^^ 
 모양은 뒷면에 단자 있고 없고의 차이밖에 없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옵션빼고는 거의 같은기기인데  26io 는 컨버터와 마이크프리는 조금 좋게
 만들고 10io 는 그것보다 조금 떨어지게 만드는것이 포커스라이트 회사에서도 더 힘들것 같다는 생각이...
 그럼.. 이만..

미니미님의 댓글

워십님 의견인즉 아예 새제품을 내놓지 않고서야
비슷한 라인업일 경우 힘들게 옵션도 다르고 컨버터의 차이까지 두는 제품을 만들지는 않았을꺼란 얘기인거죠?
제 생각도 역시 그렇긴 합니다만 ^^;;
혹시 두모델 모두 경험해보신분 계시면 좋은 정보 부탁드리겠습니다 ^^

아시아전설의보컬님의 댓글

앗..저도이제품진짜궁금했었는데..저역시도..다르진않을꺼라고생각합니다..그냥디지털옵션만다를꺼같아요..
이제품..다이나믹레인지가좀좁은감이있어도..랙타입이라깔끔하고..마감도훌륭하고..마이크프리가8개라는게..
오닉스400f로넘어가기전에저도한번들렸다갈려구요..10io로갈생각입니다..ㅋ

미니미님의 댓글

아시아전설님도 눈독 들이고 계시는군요 ^^ 덧붙여 의문점이 하나 생겼는데 바로 인서트의 유무입니다.
10 Io는 인서트단이 없기 때문에 다이나믹 컴프레싱이 불가능 할것 같은데요
'독립된 믹서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라는 설명도 있는걸 보면
혹시 인풋으로 들어온 신호가 AD를 거치지 않고 바로 모니터 아웃으로 나가는 그런 시스템이 되지는 않을까요?
물론 희망사항입니다만.... 아무튼 인서트를 빼버린 이유에 대해선 이해가 안가네요
그토록 포커스라이트의 프리라는것을 강조하면서 인서트가 없다는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결국 외장 프리를 사용하던지 플러그인을 사용하라 라는 얘기같은데....

김 요셉님의 댓글

제가 10io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저 또한 26io를 구매하여서 병렬연결로 사용할까 고민중인데..
아시다시피 인풋이 10개 아웃풋이 10개죠 .. 1,2번 아웃풋으로 보낸 소리를 3,4번에서 받으면 되지 않을까요?
그사이에 컴프레서를 연결하시면 될 듯 한데.. 그리고 차이점이 꽤나 있습니다..
10io에는 팬텀 스위치가 하드웨어적으로 있고, 26io는 소프트웨어적으로만 가능합니다..
스탠드얼론으로 사용하실수 있구요, 다만 사용하시려면 패널에서 선택을 미리 해두서야합니다.
아참, 하이패스나 로우패스 필터가 10io엔 없습니다. 디지털 아웃단에 있어서도, 26io의 레인지가 훨씬 좋구요.
10io는 96KHz까지만 됩니다.. 26io=192KHz까지..음질은 사용하면서 만족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있는 코엑시얼 인풋 단자의 음질도 맘에 듭니다. 꼭 필요하신 제품을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

김 요셉님의 댓글

아.. 아쉬운점은.. 처음 전원부에 전원을 넣을 때 바로 스타트해서 쓸 수 있는게 아니라,
부팅시간이 조금 있습니다..(전원이 제대로 들어오고 나서, 한2~3초간은 노이즈가 있다가 사라지고요)
좋은 하루 되세요

미니미님의 댓글의 댓글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아시아님과 같이 주된 기능에는 큰 차이가 없을것 같다는 의견인것 같습니다
헌데 1.2번 아웃으로 내보내에서 컴프레서를 연결후 다시 3,4번 인풋으로 받는다는 얘기를 하셨는데
그렇다면 1,2번 아웃으로 나가면서 AD/DA 를 거치지 않은 소스가 출력되어야 할텐데요.
이 궁금증만 해결되면 .. 덜덜덜 구매입니다/

아시아전설의보컬님의 댓글

그린 시리즈에서 업그레이드 됐다고 합니다.. 1,2번 아웃으로 나가면 서는 당연 d/a컨버터로 나가서 또 a/d컨버터로
들어오겠죠.. 결론은 내장 프리는 드럼 녹음같은거 할때나 쓰고 모노 녹음은 외장프리+컴프로해야겠죠...싼맛에
합주실에서드럼녹음하고이럴거면사파이어프로말고는대안이없는듯해요..

미니미님의 댓글

역시 그렇군요 왜 오디오 인터페이스 업체들은 저가형에서 인서트단을 생략하는지 아쉽기만 합니다.
생각해보면 프로페셔널한 스튜디오에서는 어차피 고급 프리를 사용하겠지만
사파이어 등급의 기종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대부분 홈스튜디오에서의 올인원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을텐데요.
참 아쉽습니다. 
최근 구매 대상에 올랐던 대부분의 제품이 인서트단자가 없었습니다.
컴프레서만 놔두고 저가형의 프리를 처분하려던 제 계획은 품거품이 될것만 같기도 합니다.

김 요셉님의 댓글

예를 들어서..26io와 10io의 가격차이도 대충 30만원 정도는 나는걸 봐선..

어느정도 차이를 염두해 둔거겠죠.. 즉, 진짜 홈레코딩 유저(그래도 약간은 컨슈머 적인)들을 위해 10io,

이정도는 써야겠다하는 사람들 위해서 나온 모델이 26io아닐까요?

여담이지만, 인서트 단이 들어가기 위해선 내부 회로에 변화를 좀 더 복잡하게 만드니..

가격에 대한 부담도 있겠죠.. 제조업체 또한 마진을 남겨야하니까요 ^^

송사장님의 댓글

큐오넷 리뷰 semetex 님의 글에서 가져온 부분입니다. 

  전략.....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포함되어있었는데 굉장히 획기적인? 내용도 업데이트에 포함되어 저를 더욱 기쁘게 만들었습니다.

'하드웨어 모니터링'이 바로 그것인데요

제 해석과 방금 해본 테스트의 결과가 맞다면 Saffire의 인풋으로 A/D 변환된 소스는 그대로 DAW로 보내고

아웃풋으로는 A/D 컨버팅 되지 않는 소리를 뽑아주는것 같습니다. 그로인해 DAW환경에서의 모니터링은 불가능해지지만

S/pdif단자를 통해서는 디지털 신호로 모니터를 할수 있다... 라는 이런 얘기인듯 한데

이렇게 되면 굳이 인서트 단자 없이도 여타 아웃보드와 연결이 가능하여며

DAW상에서의 바이패싱을 가능케 하여 DAW + 외부레코더의 동시 녹음도 가능할듯 합니다.

이문제는 나중에 테스트를 꼭 해봐야겠습니다. 

후략...


다시한번  말씀드리면 ^^ 큐오넷 리뷰 semetex 님의 글에서 가져온 부분입니다.
전체 9,435건 / 164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32 명
  • 오늘 방문자 2,276 명
  • 어제 방문자 6,45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72,685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3 명
  • 전체 회원수 37,559 명
  • 전체 게시물 320,411 개
  • 전체 댓글수 193,42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