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AES16과 AD16X DA16X 연결

페이지 정보

본문

LYNX AES16을 보면 AD16X DA16X에 연결하는 전용케이블(DB25)이 있던데
이것을 사용하면 AES클락이 적용되더군요.
워드클락을 사용하려면 다른 전용케이블인 CBL-AES1604를 써야하는데
AES 4 I/O와 워드클락 인아웃이 달려있습니다.
이 케이블을 사용하면 AD16X 와 DA16X에 따로 D-SUB to AES인아웃이 주렁주렁 달린 케이블을 마련해서 양쪽 연결을해야하고..

그냥 AES클락을 사용하면서 양쪽다 DB25 male로 연결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워드클락사용을 위해서 db25-aes/ebu멀티케이블을 사용해야 할까요..
aes클락의 품질은 어떨지..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제가 이런저런 방법으로 사용을 해보았는데요.

국내 수입처에 재고가 없어서 미국에까지 주문해서 사용한 아포지 16X모델 전용의 1603 케이블.


본래는 AES16에 ADAT옵션카드를 달아서

DA-16X와 연결해서 사용하다가

96K 세션들때문에 1603케이블로 바꾸어보니.

외부 클럭도 받지 못하고. 그리고 ADAT옵티컬로 했을때보다 소리의 섬세함이 많이 떨어지게 들렸습니다.

어떤분에게 여쭈어보니 링스가 기기들은 좋은데 번들로 오는 케이블들이 그리 좋지 않다고 이야기 하시는분들도 계시더군요.

AD-16X/DA-16X 만약 맥킨토시라면 심포니카드를 가장 추천.

IBM이라면 외부 워드입력을 받기 불편한 링스AES16보다는

RME AES32 같은 친구들이 어떠실까 합니다.



링스 본사에서는 오로라에 외장 클럭을 붙였을때 오히려 디스토션이 증가한다고 밝힌바가 있습니다만.

AES16을 사용해보면서 느낀점은 내장 AES클럭보다는 외장 클럭이

훨씬! 더 좋은 소리를 들려주었습니다.


저도 아직 가지고 있지만 AES16에 전용케이블 사용하시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만약 꼭 사용하신다면

케이블을 만들어서 사용하시는것이 어떠실까 합니다.


전 ADAT 옵션카드로 ADAT연결(케이블은 글라스광케이블)

1603 AES케이블연결

1604 AES케이블연결 모두 다 해보았고 지금도 모두 가지고 있는데.

ADAT 연결일때의 소리가 가장 마음에 들더군요^^

Xlogic님의 댓글

아.. 그렇군요!
AES32관련 게시물중에 얼핏 기본 8IN/8OUT으로 잡힌다는 말씀을 본것같아 2BUS LT 16채널서밍용도로는 안되겠다고 생각했는데....
사용하던 HDSP9652가 96으로 12아웃밖에 지원이 안되서 이미 팔아버렸습니다.--;
AES32는 96으로 16아웃이 가능한가요?

johannes님의 댓글

질문과는 동떨어진 이야기일수 있겠습니다...
오로라나 링스AES16의 클럭을 사용하는것도 나쁘진 않습니다만...외장클럭이 제 경우에도 훨씬 좋은거 같더군요..빅벤사용하다 팔아버리고 오로라 내장클럭으로 클럭을 일렬로 연결하여 몇개의 기기를 연결했는데 일렬로 연결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소리 성향이 빅벤쓰고 있을때랑 또 다른거 같습니다. 오로라스러워지는듯도 하고..ㅎ...오로라소리가 나쁘다는건 아닙니다만...외장클럭을 사용하는게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기분때문일지도 몰겠지만요....제가 아포지소리를 좋아하기때문일수도 있겠지요..ㅎ(팔기전에 블라인드테스트라도 해봤다면 좋았을거 같습니다..^^)
전체 9,434건 / 19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878 명
  • 오늘 방문자 4,562 명
  • 어제 방문자 5,852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56,79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56 명
  • 전체 게시물 313,102 개
  • 전체 댓글수 193,416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