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안녕하세요. 가입인사겸 입문과 관련된 질문 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조금 늦은 나이지만, 이제 제가 하고싶던 것을 할 수 있게 된 늦깎이 입문자입니다.

여러군데에서 정보를 알아보고 현재 큐베이스 5를 이용해서 나름대로 뭔가를 만들어보고 있습니다만, 조금 더 욕심이 생겨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 마음에 여러 커뮤니티를 기웃 거리다가 이곳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실제적으로 제가 관심있어 하는 장비들을 사용해 보신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염치없지만 가입과 함께 질문드려 봅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피아노를 다룰 줄 모릅니다. 이미 배우기에도 늦었다고 생각하고, 또 생각처럼 잘 되지도 않을 것 같습니다. 때문에 처음에는 마스터 키보드가 없는 상태로 뭔가를 해보려고 했는데, 일정 기간 사용해본 결과,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미국 쪽에 오래 알고지낸 친구가 있어서, 큐베이스는 미국쪽에 출시 되자마자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레이턴시라는 것을 알게 되어,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해 이것저것 알아보던 도중, 벽에 부딪혔습니다.

일단 제 입장에서는, 컴퓨터에 입문하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습니다. 가령 중고 부품으로 시작한다던가, 낮은 사양으로 입문한다던가 하는 이야기 때문에, 실제로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저처럼 의욕적으로 뭔가를 하려는 사람은, 생각보다 빨리 하려는 것에 적응합니다. 때문에 근 1년을 컴퓨터 부품만 교체하면서 보낸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런 오디오 (?) 시스템은 컴퓨터와 달리 실제 제품을 활용할 줄 아는 것이 몇 십년이 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 또한 욕심이 있고, 또 일전의 경험도 있기에 처음부터 나름대로 인지도 있고 성능이 괜찮은 기기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이리저리 알아본 결과로는, 잔고에서 없어졌을 경우에 크게 티가 나는 금액은 생활에 문제(?)도 좀 생기고, 다룰만한 자신도 없고 해서 중급 정도의 기기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처음에는 E-mu 사의 1616m 을 목표로 하고 있었는데요, PCI Express 버젼이 발매된다는 소식을 구글에서 검색으로 알았습니다. 그래서 조금 기다려 볼 까 하고 기다리다가, RME 라는 곳을 알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검색으로는 큐베이스와 연동했을 때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고 하기에 PCI 버젼 보다는 Express 버젼이 좋을 것이라 판단하여 RAY DAT 모델을 물망에 두게 되었습니다.

헌데, 이리저리 알아본 결과, 이 모델은 아날로그 인풋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 나름대로는 헤드폰도 사용하고 싶고, 주변 지인들을 데려다 기타와 베이스 등도 녹음하고 싶은 마음이 큰데 만약에 이 카드를 구입하게 된다면 이런 것들을 할 수 없고 오롯이 레이턴시가 빠른 것만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서 걱정이 됩니다.

아직까지 컴퓨터로 음악을 하는 것에 대해 정확한 개념을 모르겠고, 특히나 케이블의 연결이나 디지털과 아날로그 인풋과 아웃풋에 대해서는 무지한 것이 사실입니다. 부디 이곳의 유저분들께서 이런 것들에 대해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셨으면 합니다.

제 궁금증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 RME의 HDSPE RayDat 를 구입할 경우, 아날로그 악기의 입력이나 스피커로의 출력은 어떤 식으로 하는 것인지, 또한 XLR 브레이크아웃 이라는 것을 사용하면 별 다른 문제 없이 아날로그 인풋, 아웃풋 및 헤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 브레이크 아웃의 이미지를 보면 단자가 하나씩 밖에 없는 것 같은데, 인풋과 아웃풋이 한개의 단자에서 동작하는 것인지요?

2. 만약 1번이 카드와 브레이크아웃 만으로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 ADI-8DS 등과 같은 오디오 컨버터 라는 것을 구입해야 하는 것인지, 또한 이것은 Emu-1616m과 어떤 형태로 다른 것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나름대로 추측한 개념은, 디지털로 된 소리와 아날로그로 된 소리를 서로 호환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칩같은 것이 필요한데, 이것이 양질일수록 원래의 소스와 유사하게 변환이 되는 것 같은데 맞는지요? 그렇다면 1616m의 카드가 아닌 외부기기에 있는 단자들이 하는 역할을 ADI-8DS등에 있는 컨버터가 하는 것이 맞습니까?)

3.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PC안에 설치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하던 차에 fireface 800 과 fireface 400 모델을 알게 되었습니다. 설명을 읽어보니 1616m이 제공하는 것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또 아날로그 인풋과 아웃풋도 가능한 것 같던데 맞는지요?

4. 만약에 fireface 800 과 fireface 400 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라면 Ray DAT와 어떤 부분이 다른지 속 시원하게 설명해 주실 분 혹시 계시는지요? 단지 아날로그 인풋과 아웃풋이 되지 않는 점이 차이점인지요?
또한 판매처의 설명에 따르면 fireface 400 은 800보다 낮은 버젼이 아닌 새롭게 출시되고 디자인 된 것이라고 하는데, 제 현재의 상황으로 둘 중에 어느 것이 맞을런지요? 두 개의 "접속 가능성" 부분을 보니, 차이는 firewire 800 의 지원과 헤드폰 단자의 유무/ 단자 개수의 차이/채널의 차이 같습니다. 헌데 이미지를 보면 헤드폰 아웃단자는 양쪽에 모두 있는 것 같은데, 정확히 어떤 부분이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



너무 궁금한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만, 위에서 제가 적은 것들은 검색으로 도저히 알아낼 수 없는 것들이었습니다. 판매처에 문의를 해봐도, 제 전반적인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음성으로는 이해를 할 수가 없었고요. 다만 확실히 각인된 것은 아날로그의 지원과 미지원이라는 부분이었습니다.


이리저리 질문만 드린 것 같아 죄송하네요.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세계에 대해 알아가고 싶습니다.
부디 제게 조금만 도움을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9-03-12 15:30:43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관련자료

EasternSound님의 댓글

RME 의 HDSPE RayDat 인터페이스는 컨버터를 이용해서 PC 와 연동시 안정적인 성능 보장과
적은 레이턴시로 좀더 효과적인 작업을 위한 기초적인 부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컨버터라는건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해 주는 장치 -> AD 컨버터라고 하죵
혹은 디지털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장치 -> DA 컨버터라 불르죵.    로 이해 하시면 되는데
여기서 헷갈려 하실만한 부분이 바로 오디오 인터페이스라 불리는 애들은 전부 AD/ DA 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별도의 컨버터는 왜 판매되는 것인가에 대해서 그만큼 원래 기기에 붙어 있는 성능보다 월등히 좋은 음질로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PC 내부에 설치하는 방식은 카드 방식일 것이고
PC 에 1394 연결포트나 USB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은 외장 박스 형태로 나오는 제품들이 주류를 이룹니다.
물론 PC 내부에 카드를 설치후 브레이크 케이블로 외장 박스와 연결하는 형태도 많이 있습니다.

그럼 어떤 방식의 제품을 사는 것이 좋은가?.... 답은 없습니다.
PCI 슬롯 혹은 PCI-Express 슬롯에 카드를 붙여서 외장 박스와 연결하는 방식이 현재까지는
가장 안정적인 방식이다로 알려져 있지만 이역시 보드와 궁합이 제대로 맞지 않으면 1394 포트를 이용한
연결방식의 인터페이스보다 불안정하게 작동되거나 OS 에서 말을 안듣거나...다양한 변수가 존재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은 선호하시는 방식의 제품으로 구입을 하시면 될 것이고
4번질문에 등장한 RME 파페 800 이나 파페400경우는 다른 제품으로 구분하시는게 맞습니다.
우선 인아웃풋의 갯수도 틀리거니와 가격대도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동일 부품에 동일 회로로 만들어진
제품이다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제 생각에는 설치 하기 쉽고 인아웃 적당히 있는 제품으로 구매 하시는게 가장 좋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가령 요즘 국내에서 중고가로는 저렴한 편인 에코오디오의 레일라 경우가 대표적인 예가 될것 같네요.
아니면 프리앰프가 8개 채널 정도 붙어 있는 제품으로 알아 보셔도 될것이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디까지나 HDSPE RayDat 같은 인터페이스에 외장 컨버터 물려서 녹음은 각각의 마이크 프리앰프와
컴프레서를 통해서 AD 로 보내주고 모니터링은 역시나 컨버터의 DA 를 통해서 하는것이 가장 이상적이겠죠.^^
전체 9,431건 / 20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298 명
  • 오늘 방문자 3,004 명
  • 어제 방문자 5,61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39,541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6 명
  • 전체 게시물 284,868 개
  • 전체 댓글수 193,396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