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기타에서 언밸런스 -> 밸런스 -> 언밸런스 연결...

페이지 정보

본문

몇일뒤에 기타 앰프 마이킹으로 녹음할 일이 있습니다.
근데...난감하게도 부스안에서는 연주자들이...
밖에서는 기타 앰프마이킹을 해야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안에 연주자 기타에서 언밸런스 라인으로 DI 박스에 넣고
DI 박에서 밸런스 아웃으로 부스 밖에 까지 끌어낸 다음에
밸런스 아웃 마지막단에 언밸런스로 바꿔주는 변환 커넥터 (뉴트릭꺼) 연결
그리고 기타 앰프 라인 인에 연결할 생각인데.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이 분명 있을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연결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도 알려 주시면 정말 ㄳ하겠습니다.(_._)

관련자료

엔지녀님의 댓글

오히려 반대아닌가여??
연주자가 콘트롤룸에서 앰프마이킹은 부스에 설치하시고요.(아시겟지만.뭔가..이유가잇으시겟죠.)
벽에 패널은 설치가 되어잇으실테니깐..패치로써 연결하심될꺼같은데요

애프리님의 댓글

마지막에 다시 unbalanced로 바꿀때도 DI를 이용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윗분이 지적하신대로 앰프마이킹을 할거면 연주자가 부스에 있고 앰프가 다른곳(어딘진 모르겠지만요)에 있을 이유는 없지 않나 싶군요.

포커스나이트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김예식입니다. 어떤 상황인지 모르겠지만 혹시 연주자가 노래를 하면서 일렉기타를 치는 사람인가요?
그런상황 밖에는 떠오르지않는군요..
저는 설명하신 방법으로 녹음하셔도 무리없다에 한표!

강효민님의 댓글

위의 말씀대로 하셔도 전혀 무리 없습니다. 앰프와 연주자간의 거리가 멀때 가끔씩 사용하는 방법이구요.

근데 저렇게 DI를 두번이나 거치면 확실히 톤이 변합니다. 자기 톤에 민감한 기타연주자들의 경우에는 저렇게 DI 를 두번 써서 보내는 것을 싫어하더라구요. 가끔 시그널을 부스팅해 줘서 먼거리를 보낼수 있게하는 박스를 가지고 오는 기타리스트도 있습니다.(Morley에서 나온것 같은데 확실히 기억은 못하겠습니다.)

그리고 애프리님 말씀처럼 마지막단에  Balanced -> Unbalanced 변환할때 DI를 쓰시려면 반드시 패시브 DI 를 써주세요. 액티브 DI는 역변환이 안됩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EasternSound님의 댓글

답변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오늘 여러가지 테스트 끝에 장비하나 구입하면 간단하게 해결된다는걸 알고서는...ㅎㅎ;;
DI 반대되는 개념의 장비가 있긴 하더군요.
정확하게이야기하면 임피던스 매칭까지 해주는...
암튼 잘 해결되었습니다.

칼잡이님의 댓글

이런경우 제일 좋은 것은, 앰프 헤드는 연주자 옆에 두고, 스피커만 외부로 보내는 것입니다. 기타자체에서 발생된 시그널이 아주 미약한것에 비해 파워 앰프 출력은 상당히 쎄기 때문에 시그널 로스도 별로 없고, 고민할 필요가 없을텐데요.

강효민님의 댓글의 댓글

스택형이면 당연히 그렇게 할텐데..아마 이스턴사운드 님 상황에서는 앰프가 콤보식이었나 봅니다.

이정준님의 댓글

좀 답답해서 적습니다...

웬만하면 DI는 언발란스를 발란스의 용도로 바꿀 때에만 쓰시기 바라구요...

단자가 XLR이라서 힘들다면 인두 한번 들어서 간이로라도 케이블 만들어서 쓰시면 됩니다...

XLR 단자를 1번을 그라운드로 약속하고 2번은 +로 약속해서 한쪽만 XLR 단자로 하고 반대는 언발란스 쨱으로 된 악기용 케이블을 위의 약속대로 만들어서 쓰시면 아마 절대로 DI를 쓰는 것보다는 좋을 테죠...

기타에서 앰프 입력까지의 길이가 10M이상 돌아갈 것 같다 싶다면...  페달보드 상에서 버퍼드 이펙터 하나만 있으면 톤의 손실은 거의 없습니다...(OFF 시에도 버퍼를 통하는/buffer bypass 이펙터 가튼 거) 이펙터를 전혀 쓰지 않을 상황에서도 버퍼드 바이페스 이펙트가 있으면 기타의 하이임피던스 시그널을 로임피던스로 만들어서 길게 전송을 해도 로스가 생기지 않는 방법이죠...

제 솔직한 얘기지만 기타리스트에게 위와 같은 이유로 DI를 쓰라고 엔지니어가 권유한다면  그건  악기를 다루는 사람에 대한 배려 부족이라는  인상을 줄 여지가 큽니다...


대부분의 녹음실 기타쟁이들은 소리/연주감 이런 것 때문에 페치케이블 하나에 3-4만원 정도 되는 걸 같다가 쓰는 편인데, 거기에다가 DI를 걸라는 것은 이 환자들을 납득시키기가 다소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에 제 경우라면 그냥 연주를 않하겠다고 하겠죠...)

칼잡이님의 방법도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근데, 스피커 케이블이 긴게 없어서 마침 마이크 케이블이 길고 핸들링도 편해서 헤드에서 부스 케비넷을 마이크 잭으로 연결하였던 국민락커 문XX군 처럼... 우릴 슬프게 하는 이런 일들이 아직도 많이 벌어졌었습니다...
전체 9,434건 / 212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815 명
  • 오늘 방문자 3,832 명
  • 어제 방문자 5,626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45,04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5 명
  • 전체 게시물 309,839 개
  • 전체 댓글수 193,41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