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오디오가이 회원님들의 오디오카드의 도움을 구합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눈팅을 유독많이 하는 레벨7!(-_-;) nOVICe 닉네임인 한재혁이라고 합니다.

급한마음에 제가 매일 들리는 큐오넷과 오디오가이의 회원님들의 조언을 구하고자  양쪽 모두 글을 씁니다.

Cubase 4 + Tascam DM-3200 + Millernia STT-1 + U-87 + 방음이 나름 잘 안되는 스튜디오(-_-;) + Tascam DM-3200용 MkII

로 즐거운 보컬 녹음을 하고 있던중

갑자기 컴퓨터가 안켜져서 이래저래 컴퓨터및 장비를 고치는데만 2주

고치고나니 Tascam DM-3200용 MK-II도 과도한 Audio Dropout으로 녹음이 불가!

원인규명할때까지 정신적+육체적 데미지가 심하더라고요-_-;

 

결과적으로 (맞는 이야기인지 모르겠지만)

컴퓨터부터 시작해서 오디오카드, Preamp인 STT-1까지

쇼.트.난.상.태.입니다.

 

전체적으로 생각해보니

"지하에+환기잘안됨+먼지많음+곰팡이는모르겠지만+담배도많이피고+습기작렬"의 조건이더군요.

해서....

"제습기를 매일돌리고+환기를하고+청소를 처음선정리부터! + 담배는나가펴!"로

어느정도 기계의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STT-1은 수리를
MK-II도 미쿡 Tascam社에 수리의뢰
컴퓨터는 고쳤는데....

 

급한데로 즐겁게 쓰고 있는 Echo Audio 의 Layla24|96 으로 녹음할려다가 보니

AD는 모르겠으나 DA로 뽑을때 Layla24가 고음을 싫어하는거 같네요.

바빠서 결정내리긴했지만 사실 Layla24|96을 쓴다거 자체가 무리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회사에서 정해진 시간이 촉박하기도 하지만

녹음하는 친구도 2주동안 흐름이 끊겨서 기운이 많이 죽어 미안해죽을지경입니다.

아는게 힘이다!라는 말을 새삼 다시 느낍니다.

 

자그마한 회사라지만 녹음을 잘 운영할수 있게 해야 할텐데

컴퓨터나 이런 장비 아는것은 저혼자밖에 없고

이번기회에 장비에 어울리는 오디오 장비를 구입하거라!라는 회의 끝에

오디오 카드를 구입할려고해도 무엇이 좋은지 조금 지식이 부족합니다.

 

큐오넷에도 같은 글을 올렸지만

이렇게 글로 올리면 다른분들도 시간되실때 조언을 해주시라 생각되어

좀더 폭넓은 조언을 구하고자 오디오가이 회원님들에게 손을 벌려봅니다.

=-=-=-=-=-=-=-=-=-=-=-=-=-=-=-=-=-=-=-=-=-=-=-=-=-=-=-=-=-=-=-=-=-

주로 발라드 녹음을 합니다.

 


㉠ 오디오가이에서 레코딩란을 검색해봤는데 RME HDSP 9652 + 먼가의 AD/DA 컨버터(아포지 PSX-100, RME의 ADI-8 DS나 큐오넷에 있는 Synthax 15주년 기념판)의 이야기가 있더군요.

이런 조합은 사용해본 경우가 없어 잘 모르긴합니다만 모른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죠 ^^
뒤져보면서 배우면 되지 않나 싶습니다. RME가 음색이 고와서 추천해주시는 분들이 계셨었습니다.


㉡ MOTU 192HD...도 추천을 해주시더라고요.

지금까지 나온 오디오카드중에 Protools에 가깝다라는 말이 지배적이네요. 하지만 음질이 Loop돌리시는 분들에게 적합한 것이라 발라드에는 어울리지 않겠다라는 말도 하시고 헛깔리네요^^.

㉢ 그리고 RME의 Fireface 800


등의 추천들이 있으셨는데 다른분들은 어찌 생각을 하시는지 생각을 나눠주셨음 감사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관련자료

LPGSTAR님의 댓글

파이어페이스보단 별도로 나온 ADI-8 DS 컨버터 성능이 더 좋습니다. 좀 더 깨끗하더군요..모투는 RME에 비해 약간은 기분좋은 열화? 정도가 섞인 느낌입니다. 호불호가 있을수있으나 발라드엔 RME가 나은거같네요.

LPGSTAR님의 댓글

아참 그리고 드라이버도 파이어페이스나 모투보단 RME 9652쪽이 더 안정적이구요. 개인적으론 9652에 컨버터를 붙이는걸 추천드리고싶네요..

nOVICe님의 댓글의 댓글

네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컨버터를 따로 하는것이 좋다고 해서 생각중에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johannes님의 댓글

말씀하신것 중에서 최고의 안정성과 음질의 조합은...
RME9652+APOGEE PSX100인듯 싶습니다.
이 조합의 소리가 싫다는 분은 한번도 뵌적은 없습니다....^^
비교해보시면 아실듯 합니다. 중고가도 괜찮은 편이고...다시 내다팔때도 제값받는 조합인듯 싶습니다.

nocturne님의 댓글

RME9652 안정적이고 좋습니다....다만 PCI타입인게 약간의 흠입니다..
추후 컴퓨터메인보드 회사들이 PCI를 언제까지 달아서 나오느ㄴㅑ가 문제겠지만, 추후를 본다면 좀 아쉽지 않을까 싶습니다..(그래서 저희는 RayDAT을 공수해 왔습니다..ㅠㅠ)
synthax 기념판 나쁘지 않습니다...외관이 구리다고들 하는데 전 RME버전보다 이뻐 보입니다....

nOVICe님의 댓글의 댓글

그게 조금 저도 걱정이네요 RME社도 생각이 있다면 PCI-X가 나오겠지요?

그런데 PCI 샀는데 갑자기 확나오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UAD-2처럼요)

그것이외에는 다들 추천하는RME9652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nocturne님의 댓글의 댓글

RME PCI-e 라인이 구축된지 좀 됐습니다..
울나라서 구하기가 힘들다는게 흠이죠...
9652의 PCI-e type 라인으로 출시된 모델이 RayDAT입니다...

네임님의 댓글

이번에 steinberg에서 (야마하가 집어 삼켰다죠? -_-) 파이어와이어 인터페이스 나옵니다.저는 그거 기다리고

있는데... 다른건 모르겠고 안정성 하나는 보장한다고 하는데 광고는 믿을수가 있어야죠...^^ 저는

거기다가 psx-100붙여보려고 하는데 사용자 평이 조금만 안좋으면 바로 9652로 갈 생각입니다....

pci라도 당분간은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adat기능 활용도가 떨어져서 그점이 좀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만...

psx-100...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써본 컨버터 중에서 최고입니다.johannes님 말씀처럼 rme붙여놓으면 안정성,음질에서

어떤 셋팅과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것 같습니다.motu와는 비교대상이 아니라고 감히 말씀드립니다.^^ 제가

motu mk3에서 옮겨탔는데 바로 비교됩니다.프로툴 hd i/o를 구입하고 비교해 봤는데 psx-100이 더 좋습니다.

motu와 비교하면 맥키에서 아담스피커로 바뀌는 느낌이라고 할까요?맥키가 나쁘다는 뜻은 물론 아니고

소리가 말그대로 '화려하게'나옵니다.바삭바삭하게...*_* 거치면서 소리가 좋아지는것 같습니다.

오디오가이 아니면 이러한 조합을 몰랐을겁니다.hd 구입하고 살짝 후회가 되기도 한다는...uad2 나오고

더욱...저는 큐베이스가 가장 좋더라구요...^^

nOVICe님의 댓글의 댓글

네임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그거에 대해 큐오넷에서 들어봤습니다.  정보를 보고있었는데 궁극적인 레이턴시 0이라고 해도 성능이 어떨런지는 알길이 없어서 망설였었습니다. 네임님 말대로 광고는 광고일뿐이라고 생각이 들어서...PCX-100을 대부분 추천해주는데는 그 이유가 있겠지 않나 싶습니다. 어디서 구입을 하는게 좋은지도 관건이겠지만요 ^^;

jky님의 댓글

링스 AES+외부컨버터(아포지나 마이텍, 오로라, 루시드등등..) 조합이 제가 써본바론 가장 속편하고 안정적입니다.
RME계통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죄송스럽지만..

우선 1394방식은 엠오디오것 제외하곤 전부 윈도우랑 안친합니다.
유니브레인 1394드라이버도 링스말곤 제대로 지원하지도 않구요.
(이건 추후 OS업글시에 상당한 문제점이 되실껍니다. 윈도 XP만 안고 죽으실려면야 말리진 않습니다만..)
제가 이거때문에 엄청난 시간과 공을 들여 삽질했다가 결국 포기했습죠...
(간단히 윈도우2003(32bit)에서 메모리 4기가 초과로 달아보시길.. 1394장치들은 99%넉다운됩니다.
비스타로 갈아탄들 32bit환경에선 별반 다를빠 없다는게 제 주변 정보구요.)

글고 RME의 경우는 DX를 아예 지원하질 않습니다.(최근은 모르겠지만 적어도 작년말까진 그랬습니다.)
이거 윈도우쓸때 은근히 사람 열받게 만듭니다.

결국 저도 엄청 삽질하다가 링스로 바꾸고 난후부터 안식을 찾은 케이스입니다.
다만 링스는 RME와는 다르게 내부 라우팅을 지원하지 않는게 최대 단점이지만요..
(아웃->아웃 라우팅은 지원합니다. 다만 아웃->인 라우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외장컨버터를 따로 쓰시는경우라면 물리적으로 물려주면 되니 크게 문제는 없지만..
RME 매트릭스 라우팅을 많이 활용하시는 분에겐 단점이 될수가 있으니.. 알아는 두시는편이 좋구요.

드라이버의 경우는 지금까지 써본녀석중에 최강이라 감히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여러종류+여러사양의 PC 총 5대에 윈 XP~윈2008까지 전부 직접 테스트 해본 결과입니다.)
더군다나 PCI-e 방식도 나오니까요.

결론은 맥계열든 IBM계열이든 드라이버+안정성+편의성은 링스AES 말곤 답이 없더군요.
(RME는 특히 1394방식 사용하시려는 분은 도시락 싸들고 말리고 싶습니다.)

P.s : 지금 현재 저의 세팅은 링스AES+오로라 입니다.^^;

nOVICe님의 댓글의 댓글

Lynx User가 참 별로 없어서 정보력이 떨어졌었는데 쓰시는 분이 이야기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Lynx가 얼마나 잘만들어졌으면 Driver Source도 그리 간단한지 모르겠다는 분들도 계셨었습니다.

오로라는 생각을 안했었는데 괜찮은가 보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jky님 감사합니다.

johannes님의 댓글

링스도 좋죠....그렇지만...클럭입력에서 문제가 생기더군요.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AES16+오로라16, AES16+아포지로제타사용해봤지만...

외장클럭을 붙였을때 오로라는 문제가 생기더군요..이상하게 마스터로는 되고 슬레이브로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생깁니다.

지금 사용하는 API A2D도 마찬가지구요...마스터로만 동작하고 슬레이브로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AES16보다 AES32 RME제품을 더욱 좋아하고 추천하는 편입니다.

1394는 어떤 회사건 공히 문제 있습니다. 매킨토시에서는 전혀 문제없다고 하시더군요.

지금 사용하는 400F도 문제 있구요.

nOVICe님의 댓글의 댓글

johannes님 감사합니다. 의견이 많다보니 저도 정리를 잘해야 겠네요. 도표를 하나 만들어봐야 할듯한데 1394의 문제는 오늘 내일의 문제가 아니였나봅니다.

nOVICe님의 댓글

RME HDSP 9652+RME ADS-8DS로 갔습니다.

지금 레퍼런스 CD로 듣고 있는데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Tascam Firewire Card랑은 소리가 비교가 안됩니다. 정말 좋네요. 제가 만족할만한 사운드가 나옵니다. Low가 이리 신선한 셀러드 같다니요. 정말 해상도가 매우 높습니다. 매우 정직하게 나와서 깜짝놀라서 혼자 웃고 말았습니다. 매우 좋습니다. 매우 좋습니다.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 바로 녹음 들어갈려고 하기 전에 고마운마음을 보냅니다.

대충 들어본 결과 EQ를 다 꺼버린 정직한소리이고 High는 조금 쏘는듯한 느낌은 있지만 어디 한군데 잘못된곳은 바로 들려주는 매우 선생같은 느낌입니다. Low는 매우 편안하게 둥글게 나오는 소리이네요.

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RME HDSP 9652에 ADAT로 연결했습니다. ADAT를 4개 다 연결했을시에 96k로 나옵니다.

nocturne님의 댓글의 댓글

가장 무난한 셋업을 선택하셨군요...
HDSP 9652 좋죠....^^..
저희는 한국으로 오시는 분이 계시기도 했고,때마침 RayDAT이 발매가 되기도 했고 해서 그녀석을 구한거구요..
처음 계획은 저희도 HDSP9652였답니다...^^
좋은 녹음 많이 하시길~~~~
전체 9,433건 / 22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82 명
  • 오늘 방문자 4,126 명
  • 어제 방문자 4,95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04,891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299,776 개
  • 전체 댓글수 193,40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