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JesusReigns님께 아래글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아래글에 A2D를 클럭셋팅체인중 마스터로 하는게 좋을것 같다라고 말씀하셨는데요...

A2D는 설명서에찾아봐도 어떻게 찾아봐도..그리고 뒷면 패널을 봐도..디지털인아웃단자 빼곤 sync IN 단자 밖엔 없는데요..

어떻게 마스터로 사용하면 좋을지요?

이번에 빅벤을 처분하고 mytek192ADDA컨버터를 저렴하게 구했습니다.(AD8000, 로제타등등이 워낙에 구해지질 않고 환율이 엄청오르는 바람에 새물건으로 구입하기는 넘해서...^^; 그렇다고 마이텍이 좋지 않다는 이야기는전혀 아닙니다...단지들어보질 못하여..이번에 처음 들어보는 기기라...)

(소문에 의하면  A2D가 슬레이브로 쓸경우엔..수퍼클럭을 먹고 산다는 소문이 들리든데...마이텍은 수퍼클럭은 없는것 같구요..클럭선택이 FS,FS/2,FS/4밖엔 없어서요....)

그래서 A2D를 마스터로 놓고 마이텍을 슬레이브로 놓은뒤에 마이텍의 자체 클럭디스트리뷰터에다 다른 기기들을 연결하려고 합니다.

어떤 연결방식이 좋을까요?

이왕여쭤보는 김에 주욱 여쭤보려고 하는것입니다...^^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PS: 수퍼클럭 선택할수도 있게되어 있는것 같습니다. 매뉴얼에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아서..좀 그렇지만요...^^;

관련자료

JesusReigns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었네요.
주일은 예수님과 함께~ ^ ^ 그러다보니 이제서야 답변합니다.

지난 번에 말씀드린대로.. 저는 사용해본 것이 아니라 메뉴얼을 보고 원리대로 말씀드리는
것인데, 혹 메뉴얼 내용과 갖고 계신 기기와 무슨 차이점이 있다면 저의 불찰이겠습니다 ^ ^

제가 살펴본 A2D 메뉴얼은 API 사이트에서 받은 mana2d.pdf 이고요..

거기 page 8에 보시면 맨 위 오른쪽에 있는 "out"단자가 워드 클럭 아웃풋 단자라고
나와있네요. 이것의 기능은

- A2D 자체 클럭을 사용할 경우는 front panel에서 선택한 클럭이 출력되고
- 외부 클럭을 사용하는 경우는 그것과 front panel에서 선택한 것을 조합한 클럭이
  출력됩니다

결국 A2D는 외장 클럭을 사용할 경우 클럭 아웃이 항상 PLL을 거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그 밑에 굵은 글씨로 "Because of this,..." 내용인 즉 A2D외의 다른 클럭 마스터를
사용할 경우엔 A2D를 클럭 체인의 맨 마지막에 위치시키란 얘기죠. 반대로 A2D가 클럭
마스터인 경우엔 당연히 A2D가 최첨단에 위치할 수 밖에 없겠습니다.

마이텍은.. 8x192 ADDA맞죠? DSD도 지원하는군요..  마이텍도 꽤 비싸고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무튼.. 마이텍의 경우는 메뉴얼을 살펴보니 A2D와 조합하여
여러가지 시도를 해볼 만 합니다.

A2D의 소리가 좋고 그걸 간직하는 것이 중요하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 A2D의 Word Clock In 단자에는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고(중요)
- A2D의 Word Clock Out 단자에서 마이텍 WckIn으로,
- 마이텍 dip sw 8번 on, 6번 off
- 나머지 기기는 마이텍의 WckOut에 한개씩 연결. 각 기기의 termination sw가 있으면
  on 시키고.

마이텍의 소리가 더 중요하다면:
- 마이텍의 dip sw 8번 on, 6번 off
- 마이텍의 WckIn에 아무것도 연결 안하고
- A2D를 포함한 나머지 모든 기기는 마이텍의 Wck Out에 한개씩 연결.

마이텍과 A2D의 소리 모두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구성:
- 마이텍의 dip sw 8번 on, 6번 on
- 마이텍의 WckIn에 아무것도 연결 안하고
- A2D의 Sync In을 마이텍의 WckOut에 연결,
- 나머지 기기들은 A2D의 word clock output에 데이지 체인방식이나 버스(T커넥터)
  방식으로 연결.

함 해보시고 마음에 드는 구성을 선택해보시면 되겠네요. A2D나 마이텍 외에 다른
DAC이나 ADC나 SRC가 없다면 세번째 방법이 제일 그럴듯 해보입니다. 대신 마이텍의
클럭 디스트 기능은.. 수퍼클럭을 사용하는 다른 기기가 없는 이상 거의 무용지물이죠..

그나저나~ 믹싱 방법좀 갈쳐주세요~ ^ ^

hans님의 댓글

햐....정말로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DIP스위치 설정까지...ㅎ...

제가 갖고 있는 메뉴얼은 워드클럭인아웃 단자가 없는 시절의 메뉴얼이라 뒷 패널을 보면 워드클럭인아웃이 있는데 그냥 디지털 인아웃이라고 되어 있어서 이게 뭔단자지? 라고 생각했더랬습니다....암튼 안써먹고 있었는데...

결국은 A2D가 수퍼클럭을 사용한다는 말씀이시죠? 빅벤과 사용해보니 그렇던것 같았습니다...

딱 제가 여쭤본 것에 대한 답변이라...정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저도 주일은 더욱 예수님과 함께 해야겠다는 생각이....^^

갈수록 A2D는 팔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더욱 들어갑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

SuperClock이란게 저도 관심이 생겨 좀더 알아봤습니다.
관심이 생긴 이유는.. 빠른 클럭을 사용한 이유는 PLL을 제거하기 위함이었단
생각에서였죠. 그런데 Super Clock도 문제가 있군요... 일단 Super Clock을
개발한 돼지(Digi)가 수퍼클럭을 버린 모양입니다. 그렇담.. 그걸 쓸 이유는
줄어드네요. 그리고 개발 당시... 시그널 전송을 잘 이해 못한 탓인지...
케이블이 길어지면 안된답니다. 12인치 이내로 한정하고 있네요.
뭐.. 할 수도 있는 노릇이지만, 모든ADC DAC SRC가 Super Clock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 있고 케이블을 짧게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구지
사용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게다가 돼지가 수퍼클럭을 개발한 이유도 PLL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256개의 오디오 체널을 지원하는 TDM 연결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르니까..
제가 모양만 보고 헛다리 짚었네요  ^ ^

256배의 클락이라면 사실, AD/DA는 그 클럭을 기준으로 PLL을 제거한 설계를
할 수도 있지만, 시그널 전송 모델에 신경을 쓰지 않은 돼지의 컨셉으로는
더 좋은 클럭이라고 보기도 힘들겠습니다.

hans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수퍼클럭으로 사용할필요가 없는건가요?

A2D가 수퍼클럭이 아닌 클럭도 사용할수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이래저래 혼자서 찾아보시고 말씀해주시니 더욱 감사드리구요..이렇게 배우는게 참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

네.. 수퍼 클럭 아니라도 사용할 수 있지요. 세가지 가능성에 대해 보여드린 것 중 세번째 것만 빼고는
다 일반 워드클럭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단지, A2D의 Sync In이라고 따로 하나 있는 커넥터는
수퍼클럭 전용 입력 단자이고 워드클럭을 사용하실 때에는 오른쪽에 두 개 나란히 있는 것을 인/아웃으로
쓰시면 됩니다.

hans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나머지 DIP스위치는 뭐때문에 달려있는건지 마이텍에 질문해놨는데 답변이 없네요...

케이블도 속썩이고...

아고.....

마이텍이 고장인건가요? 흐미..

암튼 감사합니다...^^

은혜가운데 거하시길...
전체 9,434건 / 22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462 명
  • 오늘 방문자 4,201 명
  • 어제 방문자 5,950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68,159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6 명
  • 전체 게시물 318,920 개
  • 전체 댓글수 193,42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