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여러엔지니어분들께...진지하게 여쭤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저는 대중음악종사자입니다^^;;
먼저 오디오가이님들 새해복많이 받으시구요~~
가입한지는 좀 됐지만 잘어울리지도못하다가 이렇게 질문만 드리게된
죄송스러움을 한탄하면서 여쭤보겠습니다..;;;;

작업을하면서 가장 괴로울때가 제개인적으로는 믹스할때입니다 ㅜㅜ
친하게 지내는 기사님이라도 막판조율할때는 보컬볼륨하나에도 알듯말듯한
긴장감이 계속되는데요..곡을 만들고 편곡을하는한사람과 그곡의 발란스를
잡는 한사람과의 신경전..ㅡ..ㅡ 그문제의 객관적인 관점을 어디에 두어야할까요??
가끔은 군더더기없는 깔끔함보다 좀러프하지만 생동감있는 사운드를 원할때가 있는데
그조율점을 찾기가 너무 어렵네요...ㅜㅜ
오디오가이 님들은 어떠신가요..
믹스할때 어디에 비중을 두시는지요??
과연 믹스할음악을 처음들었을때 기준점을 어디에 두시는지요??..(__)

관련자료

강인성님의 댓글

얼마나 음악적이냐...
제 경우 믹스할 때 중심으로 두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믹스할 음악을 처음 들을 때에는 이런 저런 상상을 많이 합니다.
가사도 몇 번을 읽고, 듣고...

뭐, 대부분 이렇게 믹스하시지 않을까요?

칼잡이님의 댓글

가끔씩 듣는 이야기가 가요계 작곡자분들이 어디서 녹음하나 누가 믹스하나 똑같고, 강남에서 문만 열고 나가면 다 녹음실인데 아무데서나 하지..란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런데 엔지니어마다 사운드 메이킹 하는 스타일이나 방법은 같을래야 같을수가 없지요. 그런 말 하는 분 작업실 근처의 녹음실은 모두 비슷할지 몰라도, 오디오가이에서 만나본 엔지니어들만해도 죄다 서로의 방법과 개성이 다르더라구요.

시간이 걸리더라도 자신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해주고 의도하는 스타일이나 관점을 잘 표현해줄 분을 찾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자신이 프로듀서를 맡지 않은 이상 대부분은 작곡자나 연주자의 의도나 관점을 많이 맞춰주던데요...ㅡ_ㅡ

이호선님의 댓글

방법은 달라도 결과물은 대게 비슷해서 그렇지 않나 합니다.
아무래도 사운드도 트랜드가 있다 보니..

트랙킹이나 공진음 제거 같은 기본적인 작업 외에는
악기들의 톤이나 밸런스는 대게 프로듀서의 의견에 비중을 둬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해달란대로 해준다..라는말이 쉬운것 같아도 참 어려운것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믹스시에 전체적인 다이내믹과 스테레오이미지를 무척 중시합니다.
기승전결이 뚜렷한 다이내믹을 참 좋아하구요^^

박 상욱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박상욱 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비슷한 질문을 종종 받곤 해서...
컬럼에 한번 올릴 예정 이였는데...^^


믹싱할때 클라이언트 (프로듀서, 아티스트, 제작자 등등) 와 엔지니어의 갈등!
존재해서는 않되겠죠!
사람이 보고 듣고 생각하고 느끼는게 각각 다 다르기 때문에
음악.. 혹은 트렉을 접하는 그 느낌도 다르다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엔지니어는 이런 방식으로 진행을 할수 있지만...
클라리언트는 그 방향이 아닌 다른 방식.. 방향을 머리속에 그리고 있었을지도 모르구요.
본인이 직접 믹싱을 하지 않는한 절대로 풀어지지 않는 문제이죠.
해결방법은 대.화. 라고 생각합니다.
엔지니어와 많은 대화를 하세요.
곡에 대한 설명과.... 느낌. 그리고 레퍼런스 음반도 얘기 하고...
가능하다면 같이 들으면서 얘기 하는것이 제일 좋은 결과를 안겨다 줄겁니다.
작업하기 전에 모임 가져서 술한잔~ 크~~ 하고 작업에 들어가기 보다는
믹싱할 녹음실 한프로 부킹 하셔서 곡들 한곡 한곡 열어보면서..
이곡은 이런 스타일의 이런 느낌으로... 참고할만한 레퍼런스 음악은... 뭐시기의 어떤곡..
하고 CD 들어가면서.. 바로.. 이런 느낌.... 이런 사운드~~ 될까요???? 하고
엔지니어와 함께 시간을 갖으신다면... 믹싱하시는분도 훨씬 편한 마음으로 믹싱에 임하실수 있을거고
결과물도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훨씬 쉽게 갈겁니다.
항상 엔지니어와 클라이언트가 같은 방향을 보고 걸어가야 둘 다 만족하는 결과물이 나옵니다.

객관적인 관점...
참..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얼마전 믹싱할때 참... 많이 느낀점 이였죠.
제게 믹싱을 의뢰한분이... 이 객관적인 관점이 하나도 않잡혀 있었습니다.
아니.. 본인은 잡혀있는줄 알았는데... 나중에 보니... 한개도 않잡혀 있더군요.
본인이 실토하더군요... 잡혀있는줄... 알았다고 ^^;;
본인이 원하는게 어떤것이고 어떤 방향으란걸 확실하게!!! 알고 생각하고 있어야 합니다.
어느 누구와도 얘기를 할때 본인의 생각... 내지는 객관적인 관점... 확실하게 인지하고
줄줄줄~~ 설명할수 있는... 그정도의 개념은 꼭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러프하고 생동감 있는 사운드 조율점
아마도.... 그 사운드 조율점을 찾는건....
참고할만한 레퍼런스 음악을 찾는게 아닐까... 생각 합니다.
본인이 어떤 음악을 듣고.... 아... 이 음악은 정말 거친거 같은데... 생동감이 넘친다!
Nirvana 같은... 멋진^^;;
그런 생각이 드는 음악을 발견하면.. 그걸 열심히 들어서 귀에 팍~ 박혀서
듣지 않고도 바로 느낌을 떠올릴수 있게.... 그렇게 하시면...
원하시는 사운드의 조율점을 비교해 가면서 찾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믹스할때 비중...
이 음악을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그걸 제일 먼저 생각하고..
제일 중요시 생각합니다.

엔지니어로서 믹싱할때 첫 느낌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클라이언트와 대화로서 어느정도 감을 잡고....
클라이언트가 해놓은 가믹스가 있으면 그런걸 들어보고...
그리고 믹싱에 임할때는 트렉을 전부 올려놓고 (2번 정도 들으면서 빠른 가믹스)
음악을 이해하려 합니다.
믹싱 엔지니어가 믹싱하고 있는 음악을 이해를 못하면....
믹싱엔지니어가 아니죠. (그래서 저는 Dance나 힙합 음악은 믹싱을 않합니다. 제가 잘 모르는 쟝르라서^^)

각각 사용된 악기는 서로 다른 악기들과 어떤 대화를 주고 받는지...
여기서 솔로악기가 이렇게 나올때 다른 악기들은 어떤 방식으로
솔로 악기를 서포트 해 주는지...
주로... 부동산 정리... 비슷한 ^^;;
그러면서 여기에 보컬이 어떻게 얹혀지는가... 하고 보컬도 슬쩍 올려보고....
그런 감을 잡아보면서 클라이언트가 얘기했던 중요한점들 생각하면서
그렇게 작업에 임합니다.

작업 전에 클라이언트와의 충분한 대화!!!
제일 중요합니다!

톰류연님의 댓글

정성스런 답변달아주신 인성님,A.B님,칼잡이님,호선님,상욱님..감사합니다^^!
모두 각자의 생각을 말씀해주셨느데요~~음악이란게 답이없는것이니 모두 정답이겠죠??^^

하지만 다른각도..작곡가나,프로듀서의 입장에서는 조금은 다른관점도 있지않을까 합니다..
작업자가 원하는 음악을 가이드로 만들고 레퍼런스 음반을 같이들으며 많은 대화를 해도
가끔은 문제 가 해결되지않을때도 있는것같습니다..ㅡㅡ;; 워낙에 보컬과 리듬사운드를
중요시하다보니 듣기에 편안하고 안정적이기도하지만 그곡을 구성하는 하나하나의 조화로인한
감동은 어느곡에선 조금 줄어들지않나하는 조심스런 생각을 해봅니다..

또한 레퍼런스 음반도 그와같은 녹음방식과 그로인한 소스의질감이 다를경우 레퍼런스란
단어가 주는 믿음이 조금은 퇴색하지 않나라는 생각도 해봅니다..예를들어 기존곡의 드럼
사운드로 최대한맞추기위해 첨부터 의논해서 녹음을해도 레퍼런스와 같은 리듬사운드는
만들기 어려웠습니다..그이유는 레퍼런스사운드가 앰비언스가 조금과한 사운드였는데
레퍼런스곡과 똑같은 음악이 아니니 발란스가 깨진다는 것이였습니다..그리듬사운드를
베이스로 편곡을한 작업자는 쫌 황당하지요..ㅡ..ㅡ 결과는 당연히 산으로가고말았습니다..;;

결국 시행착오와 대화를 거듭하며 자신과맞는 엔지니어를 찾고 좋은음악을 만들기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방법이 제일이겠죠??^^
궁금증을 해소해주신 님들께 다시한번 감사하구여~~새해복많이 받으시구~즐음하세요!!
전체 9,434건 / 227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846 명
  • 오늘 방문자 5,474 명
  • 어제 방문자 5,16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51,853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6 명
  • 전체 게시물 312,061 개
  • 전체 댓글수 193,416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