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데이터 백업 어떤 방식으로 하고 계심니까?

페이지 정보

본문

예전에는 MO 드라이브에 중요한 데이터를 넣어 두었는대요
용량도 작고 디스크도 여러장 쓰다보니 햇갈려서

요즘에는 자료 정리할떄 DVD 로 구워 두고 있습니다
DVD 가 어느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둘수 있을정도로 안정적인지도.. 의심스럽고

하드에 놔두자니 언젠가 고장날꺼 같고

여러분은 어떤 방식으로 소중한 데이터를 간직하고 계신지요 ?^^

관련자료

최정훈님의 댓글

저도 여러분들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전 요즘에는 그냥 단순하게.

한개의 하드에 한개의 프로젝트만!!

이렇게 해서 정리를 하고 있답니다.

이원준님의 댓글

사실 MO가 DVD보다 용량적인 측면빼놓고 보존성에서 더 좋긴합니다만...
시대의 흐름상 밀려났지요

제 생각은
기본적으로 하드로는 당연히 보관하고

요즘 블루레이 레코더 가격이 20 만원 중~후반까지 내려온데다가
블루레이 1장이면 최소 25기가 ( 더큰 용량 제품도 있지요)는 담을수 있는지라
DVD 여러장나눠서 백업하는거보다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직 블루레이 미디어가 25기가제품 기준으로 1장당 저렴한건 1만원대부터
좋은건 3만원 가까이하는지라 비싼편입니다만...비현실적은 금액은 아닌지라
추천해봅니다

최정훈님의 댓글

아.. 블루레이라..

저희도 앞으로는 간편한 이쪽으로 준비를 해두어야 겠네요

원준님 의견 감사합니다.

별나라왕자님의 댓글

시대의 흐름에 밀렸지만 아직도 몇몇 자료는 MO에 보관중이구요
저도 언젠가는 블루레이로 가야겠군요..^^

이지행 JH님의 댓글

CD나 DVD를 직접 '굽는'경우, 안료를 태워서 기록하는 방식이라
10년쯤 지나면 저장된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안료가 변질된다거나.. ^^; (승화된다나요;)

물론 공장에서 나온, 프레스 제작된 CD/DVD는 아닙니다만..

제 생각엔 HDD 같이 자기기록방식 미디어에 저장하고
정기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점검해 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jky님의 댓글

저는 PC 3대 멀티 컴퓨팅(클러스터링+FX 텔레포트)기반으로 작업을 하는지라..
데이터 보존 문제에 대해선 상당히 민감한데요...
저의 중간 경유는 윗분들처럼 여러가질 다 써봤습니다.

지금은?? 그냥 레이드 5로 구축한 전용 서버를 NAS세팅해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날려 저장합니다.
물론 각 PC의 데이터 하드도 모두 레이드 5고요..
2중 3중의 안전성을 확보해두고 있습니다.

결국 성능+안정성은 가격과 비례하더군요. 쿨럭...

레이드 5 강추입니다. 이건 써보신분만 체감할수있습죠...
(물론 내장레이드가 아닌 전용 레이드카드+핫스왑베이 기반입니다.^^:)
간단히 3개로 구성한 하드중에 1개가 물리적으로 파손되어도
전원 켠채로(즉, 컴터 안끄고) 하드만 즉시 교체해주면 자동으로 복구해줍니다.^^;
특히나 하드 문제 발생시 바로 경고음 삑삑!~ 울려댑니다.
(일반 하드 사용자는 하드가 삐리리리 해져야 그제서야 문제생긴걸 발견하게되는데.. 이미 그땐 늦었죠..)

이 방법으로 전 광명 찾은지 2년이 좀 넘어가네요.^^;
실제 2년동안 하드 4개 날려먹었습니다.
물론 각 레이드 구성한 하드로 치면 1개 날라갔고요 즉, 레이드 그룹 4개중에 각각 1개씩 날려먹어봤습니다.
그래도 현재 데이터는 모두 멀쩡 합니다.^^;

이 이후로는 DVD든 BD든 CD든 MO든 광미디어는 제 작업실에선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심지어 윈도우 설치도 USB메모리 스틱으로 설치하는...
그덕에 ODD는 그저 먼지막는 배이 트레이로 전락해버렸습니다. 쿠쿠

아마 어떤 더좋은 방식의 백업장치가 나와도 눈길한번 안줄듯...^^;
(SSD처럼 메모리계열은 예외입니다. 크큭...)

별나라왕자님의 댓글

저도 레이드 하고싶은대요 10000RPM HDD를 부팅용으로 쓰다보니
소음이 조금있어서 2,3 개 붙히면 너무 시끄러울것같기도하고..ㅠㅠ
좋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대 날려먹었다는 말도 있고해서..   
아직 시도조차 안해보았습니다

조만간 시도해보아야겠군요...
jky 님의 방법이 가장 좋을것도 같습니다..^^

jky님의 댓글

별나라왕자//
레이드 날려먹었다는 분들에게 레이드 몇으로 구성했냐고 물어보시면 100% 레이드 0구성+보드 내장레이드 라고 할껍니다.
(레이드 1이상은 원래 구조상 사용자가 스스로 정신줄놔서 레이드 풀어버리지 않는이상은 레이드 풀릴일 없거든요. 특히나 레이드 카드 사용시엔 BBU라는 자체 UPS비슷한 기능까지 지원하는 마당에 더더욱 레이드 풀릴일은 잘없습니다.)
이건 레이드라고 부를수도 없는 반쪽짜리입니다.

그리고 OS용도는 굳이 레이드 하실 이유는 없고요.
(성능향상이 목적이라면야 말리진 않습니다.
저또한 메인 PC는 OS하드도 SAS 1.5K RPM 하드 3개로 레이드 5구성해서 속도향상을 위해 설치 했지만요.)

레이드의 기본목적이 성능 업에만 있는게 아니고 자료저장의 안정성이 더욱 중요한 목적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용 하드에 레이드 5구축을 해야 그나마 안정성이 대폭 향상되거든요.^^;
그래서 데이터 저장용의 경우는 하드 또한 그냥 일반용 7200RPM짜리 쓰셔도 무방합니다.
7200RPM짜리 1테라 하드 3개 구성해서 데이터용으로 구축하실경우.. 대략적인 성능이..
----------------------------------------
하드튠
삼성꺼:min 109.6 max 128.5 avg 122.2 엑세스 11.9 버스트전송 165
웬디꺼:min 95.8 max 134.5 avg 127 엑세스 10.2 버스트전송 139.8
하드텍(롱테스트)
삼성꺼:버스트전송 305.3 렌덤엑세스 13.6 평균읽기 164.3
웬디꺼:버스트전송 282.9 렌덤엑세스 12.6 평균읽기 161.8
----------------------------------------
대충 보셔도 일반 하드랑은 비교도 안되는 성능이 나오죠...
거의 벨로시랩터 하드 뺨치는 전송률에 사용가능 용량은 레이드 5니.. 2테라 되겠죠.^^;
(저는 삼성f1시리즈쓰다가 렌덤엑세스성능이 좀더 좋은 웬디 FALS로 최근 갈아타버렸습니다.)

여러모로 체감상 성능과 안정성은 최고입니다.
하드 자체의 내구성에 의심이 가시면 예산을 약간 더들여서 벨로시 렙터로 구성하는것도 좋은 방법이죠..
(SAS는 가격이 사실 너무나 넘사벽이라.. 부담되실터이니..^^;)

이상입니다.

musicman님의 댓글

제 경우 dvd는 보존기간이 1년을 넘지 못하더군요 요즘은 1테라이상의 하드에 월별로 텍스트 작성해가면서 백업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꺼내기도 간단하고 여러모로 편리하더군요..
전체 9,433건 / 227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79 명
  • 오늘 방문자 3,941 명
  • 어제 방문자 4,951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04,706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299,713 개
  • 전체 댓글수 193,40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