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초짜입니다 용어가 너무 궁금합니다 ㅡㅡ

페이지 정보

본문

이곳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문일지도 모르나
어떤 질문이든 질문은 위대하다 라는 말이 있듯이..
질문좀 드릴께요 ㅡㅡ

서밍믹서 <---믹서는 알겠는데
서밍 믹서는 멀까요?
포탈사이트 검색으로 보니깐..
머 드럼.베이스등의 음이 흐르는 통로를 넗힌다?
그런거 같던데요..

1)  서밍믹서란 무엇이며 어떨때 사용되는가...~


2)  아날로그 믹서에서 ssl 시리즈의 하나의 트랙만의 기능을 하는것이
      혹시 ssl xlogic 요런녀석들인가요?

저는 예전부터 이런생각을 했었습니다.
ssl 믹서중에 2-4 트랙만  따로 팔면
정말 좋겠다 라는 생각 말이죠..~
그런데 여기와서 글일 읽고 또 몰랐던 악기들을
검색하고 그러거든요. 그런데 ssl xlogic 요녀석이
마치 ssl 큰 콘솔을 한개 따로 빼놓은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 드렸습니다..

3)    마이크 프리와 컨프레서의 차이는 정확히 먼가요?
 
더운 여름 건강하세요 ^^
[이 게시물은 최정훈님에 의해 2008-08-12 23:58:08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관련자료

한영민님의 댓글

저도 처음에는 PA로 음향을 시작해서..

서밍에 대한 걸 듣고 처음에는 의아해 했었습니다.

하지만

1)검색의 생활화..~~

  늘 다른분들도 하시는 말씀이지만..

  검색해보시면 나옵니다...^^

  제가 예전에 검색했던 기억으로는 최정훈님의 글과  SoundTooLs 님의 댓글에 상세히 설명해 주셨던 것 같네요

2)은 더 구체적으로 아시는 분께 Pass...

3)컴프레서 와 마이크프리는 서로 사용되어지는 곳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기에 대해서 먼저 이해하시는게 빠를 듯 합니다.^^

신동철님의 댓글

간단히만 말씀드리고... 보다 자세한 것은 검색해 보세요

1)서밍믹서
최근은 DAW상 내부믹서의 불만(채널별 명로도가 떨어짐)이 만들어낸 외부믹서시스템
일반 믹서기처럼 게인,이큐,페이더 없이 라인 인 아웃만 있음
DAW을 메인아웃2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각 채널(또는 그룹)아웃을 오디오카드를 이용해서
서밍믹서로 아웃한 뒤 서밍믹서에서 믹스함

2)채널스트립이라는 개념이 콘솔에서 하나의 채널을 분리해 낸 것입니다.
알고 계신 것이 맞습니다.

3)마이크프리는 마이크롤 통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이고
컴프레서는 증폭된 신호의 다이내믹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물론 마이크프리만으로 컴프레서처럼 신호의 레벨을 만질수 있지만...
아마도 그렇게 쓰시는 분은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지앤스튜디오님의 댓글

혹시 맘급하신 분들을 위해서 위에 말씀하신 글을 복사해 올립니다,,,^^




운영자  07-11-10 11:00 (최정훈)님 답변 갈무리 입니다..^^
 
서밍이라는 것은.

본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든 믹서에서

각각의 채널들을 마스터로 보내주는 통로를 "서밍"이라 부릅니다.


서밍믹서는 믹서에서 게인이나 페이더 팬폿. 억스. 이큐등의 부분은 제외한채.

신호를 모아주는 이 서밍부분만 사용을 해서 이름이 이렇게 붙여진것이고요.


서밍믹서는 음질적으로 신경을 많이 써서 만든 라인믹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서밍을 사용하면 바운싱하는 것에 비해서는 확실히 음질의 향상을 느낄 수 있으나 컨버터의 퀄리티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듀엣의 경우는 스테레오 아웃만되기 때문에 서밍믹서를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서밍이라면 적어도 8채널이나 16채널 출력이 있는 오디오인터페이스가 좋습니다. 
 
서밍이라는 것은.

본래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든 믹서에서

각각의 채널들을 마스터로 보내주는 통로를 "서밍"이라 부릅니다.


서밍믹서는 믹서에서 게인이나 페이더 팬폿. 억스. 이큐등의 부분은 제외한채.

신호를 모아주는 이 서밍부분만 사용을 해서 이름이 이렇게 붙여진것이고요.


서밍믹서는 음질적으로 신경을 많이 써서 만든 라인믹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서밍을 사용하면 바운싱하는 것에 비해서는 확실히 음질의 향상을 느낄 수 있으나 컨버터의 퀄리티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듀엣의 경우는 스테레오 아웃만되기 때문에 서밍믹서를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서밍이라면 적어도 8채널이나 16채널 출력이 있는 오디오인터페이스가 좋습니다.
 



SoundTooLs  07-11-10 15:31 님 답변 갈무리 입니다..^^
 


아날로그 회로 이론상에 가산계수 즉 입력되는 n의 값의 1배를 나타내는 출력 을 가산계수법 즉 서밍 이라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믹서 및 콘솔 은 이 가산계수기 법에 의해 설계 되어 집니다.

내가 입력한 값의 n배의 함수에 대하여 정수배의 화를 출력으로 얻는 값을 말합니다.

즉 쉽게 말하면 들어간 소리가 출력으로 똑같이 나오는 것이고 그 중간에 다른 회로나 가산법을 이용하여 물리적 시그널 상에 영향을 미쳤을 경우 이것역시 가산계수법의 회로 통과 시킨 서밍 인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데인저러스 등의 서밍믹서, 서밍앰프는 이러한 법칙들을 이용한 라지포멧콘솔(ssl,neve) 등의
아날로그  Summing amplifier 의 느낌을 시그널에 줄수 있도록 출시된 제품 입니다.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맥키, 베링거 등의 믹서들도 위에 나열한 이론등을 적용하여 만든 재품 입니다만
라지포멧 콘솔들과의 회로구성 및 부품등의 차이로 그 결과와 소리는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겁니다

남상욱님의 댓글

답변은 이미 잘 달아 주셨지만 한가지 더 도움이 될 수 있는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
서점에 가셔서 장호준 선생님께서 쓰신 음향시스템핸드북 을 한번 정독해보시면
기초적인 용어에 대한 이해는 쉽게 되시지 않을까 싶네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이책부터 시작하셔서 엔지니어링의 세계로 들어오셨을텐데 너무 길지도 않고
첫 시작으로 아주 좋은 교재랍니다.
전체 9,433건 / 24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70 명
  • 오늘 방문자 5,278 명
  • 어제 방문자 6,067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17,53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3,498 개
  • 전체 댓글수 193,40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