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토론] db vs dB

페이지 정보

본문

토론 게시판 안만들어주면 계속 이렇게 나갑니다. ㅋㅋ  이런 진짜 만들어주실라.

간혹가다보면 그냥 db로 쓰는 경우도 쉽게 보고, 또는 절대단위와 상대단위를 헷갈리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소음도도 그냥 95dB이다.. 이렇게 쓰는 경우가 많고, 한번 정의해보죠.

관련자료

공돌이님의 댓글

db vs dB 에서..

db는 제가 알기로 오기 입니다..
dB는 아시다 시피 deci-Bel 이고요 ...이 최초의 음향 단위인 Bel은 아시다 시피 Alexander Graham Bell 에서 왔읍니다.
사람이름이니 당연이 캐피털로 써야죠..

흐흐... 호준님은 기술적인 답을 원하신거 같은데 제가 본의 아니게 옆차기를 한거 같네요..

사실 이렇게 처음 운을 띄운 이유는 이후로 고수님들이 토론하실 각 단위들이 상당히 음향기술 발전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따로 떼어 토론하는게 좀 무리다 싶어서 입니다..

이번 토론이 아래쪽 헤드룸에 관한 토론을 기술적으로 뒷받침 할수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장호준님의 댓글의 댓글

흐흐,, 사람이니까 당연히 대문자로 쓰는 것 보다는 d가 1/10의 의미다라는 것이 더 맞을 것 같다라는 추측이 생깁니다.

그냥 단위에 대한 부분만 언급하시죠.  그동안 여러군데에서 여러차례 다른모양으로 나왔었지만,,

공돌이님의 댓글

그럼 제가 또 리시브...

절대단위는 dBm, dBu, dBv, dBV, dBW, dB PWL, dB SPL, dBFS, dB A, dB C....에또....또 뭐가있죠..? 음냐..
뭐쨌건 요딴게 나오면 절대단위..

그냥..dB 요거만 나오면 에너지 차이를 나타내는 상대단위로 알고있읍니다...

"소음도도 그냥 95dB이다.. " 요건 dB SPL 말하는거 같네요.. 종종 SPL은 생략하거나 문제를 언급하는 초기에 한번 정도 붙여줄때가 많은걸로 알고있고요.. 위의 dB A 나 dB C 도 dB SPL A weighted 등을 간략하게 줄인걸로 알고있읍니다. (히~ 교과서적인 설명이죠..?)

그럼..'장'신선님은 이미 뒷짐지고 수염을 휘날리며 '에헴~~'모드로 가신거 같으니..

Master Wizard '남'신선님이..자세히 지도좀..

(전 이제껏 살면서 저 위에 있는거 채 반도 못본거 같습니다..헐~)

공돌이님의 댓글

자..그럼..

교과서 예기는 좀 놔두고 실제 필드에서..(어떻게 돌아가는지는 몰라도..) 돌아갈 '듯' 한 예기를 해보죠..

여기서 부터는 교과서 조금 콘솔사양에서 조금씩 배껴보도록 하죠..

일단 맥키나 루퍼트 니브 디자인 홈페이지에 가서 눈동냥을 좀 해봤읍니다..

둘다 메터값이나 아웃단 출력단위를 dBu로쓰는군요..

위키피디아 가보시면 dBu는  언로드 상태에서 RMS값으로 0.775Volt가 0dB 로 찍히는 값을 말한답니다...

이런면에선 dBu는 절대값이지요..

반면에 게인을 나타낼때는 아무런 서픽스 없이 그냥 dB를 쓰는군요..이런면에선 0dB면 노미널이고 + 냐 - 에 따라서 이득이냐 손실이냐를 따지므로 이건 상대값..

(참고로 전 야마하 핸드북을 주로 배낍니다만..교과서만해도 별천지인데 위키 가보니까..이건 완전히 안드로메다더군요.. 무슨 레이다 예기도 나오구..헐..) 근데 점점 영양가가 없어져 가는 것 같은 기분이..
전체 9,431건 / 254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86 명
  • 오늘 방문자 5,447 명
  • 어제 방문자 4,894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2,688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276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