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악기표면에전기가흐르는데여

페이지 정보

본문

장비 표면에 전기가 흐릅니다. 검색을 해보니 서정근씨께서 좋은 답변을 해주셨는데

http://audioguy.co.kr/board/bbs/board.php?bo_table=f_recording&wr_id=32977&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B4%A9%BC%B3%C0%FC%B7%F9&sop=and


정확히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장비들간의 누설전류 때문입니다.

누설전류로 하여 장비 케이스 사이에서 전위차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검전드라이브를 가지고 장비의 접지선 또는 전위차가 낮는, 전압이 낮은 선으로 일치

시키시기 바랍니다.

검전드라이브를 사용하여 전원을 체크하시고 (접지선 점검,단상 전원인지 3상전원인지 파악)

장비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후 테스트기를 사용하여 장비 케이스와 전원선과 전압을 체크하여

낮은 쪽으로 연결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전체 장비의 전위차를 줄여 나가는 방법입니다. "

 
라고 답변을 하셨는데요... 테스터기로 정확히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 알수있을까요..??

ACV 에 맞춰놓고 장비케이스에 검정봉을 대고 빨강봉은 어디에 대야 하나요?

전류 측정이니 DCA 에 맞춰야하나요?

낮은쪽으로 연결하라는 말이 어떻게 하라는것인가요?

관련자료

through님의 댓글

질문 추가합니다. 장비의 콘센트 마다  + - 를 매칭해줘야한다고 하는데 장비의 + - 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하나요?

장호준님의 댓글

질문의 내용에 맞게 답변을 해드리기 모두 겁나실 것 같습니다. 질문이 어렵다기 보다는 뜨루님의 이해에 관한 문제라서..

1. 테스터로 제어야 하는 것은 교류전기입니다. 220볼트 전원이니까 그보다 큰 전압으로 테스터를 지정해 놓아야 합니다. 테스터에 따라 다를텐데, 500V AC가 있다면 거기에 놓고,
2. 교류니까 색깔은 안맞추어도 됩니다.
3. 먼저 테스터의 한쪽을 벽 콘센트의 고정 볼트에다가 대봅니다. 페인트가 칠해져 있다면 벗기시고,, 나머지 한쪽을 전기가 흐르는 장비에 대어 봅니다.


에이.. 이렇게 써도 자칫잘못하면 사고가 생깁니다. 전기니까요. 감전당하실 수도 있고, 장비가 망가지실 수도 있고,  동네가 어디이신지 알려주시고, 누구 가까이 사는 분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뜨루님의 건강을 위해서 구체적으로 하시지 않으시기를 더 권합니다.

까이버님의 댓글

백상현 입니다.

건물 내에 전기 접지 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다면 전원 콘센트에 있는 둥근 구멍 2개와
직각으로 2개의 핀이 있는데, 그것이 접지 단자입니다.
그 단자를 기준으로 장비 케이스의 전위(전기량)를 측정합니다.

측정 방법은 장호준님이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장비의 콘센트 마다  + - 를 매칭해줘야한다고 하는 것은 단상(3상 전원에서 뽑은 단상 전원 포함) 전원의
2가닥 중 하나는 접지와 동전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2가닥 중 +,-가 존재한다는 것이지요. (hot,cold)
각 장비마다 전원 코드가  +,- 극성이 바뀌어 연결될 경우 잡음의 원인, 전위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기기 제조사에 따라 그런 현상이 나올 수가 있씁니다.)

따라서 극성을 같도록 전원 플러그를 매칭시키라는 글입니다.
그러나 외부에서  +,-를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사용했던 방법은 무조건 플러그를 바꾸어 콘센트에 꽂아보고 시험했었습니다.

고등학교는 전기과 출신이었지만 극성 확인은 모르겠습니다.
극성 확인에 대해 확실히 알고 계신 회원님 리플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검전 드라이버는 드라이버 손잡이에 네온 램프가 들어 있고
드라이버 끝 부분과 손잡이에 각각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사람이 손으로 잡고(장갑을 끼지 않은 맨손이어야 함) 케이스 및 전기가 흐르는 곳에
드라이버 끝을 대면 전위가 형성되면 램프에 불이 들어오도록 만든 것입니다.
쉽게 전기가 흐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툴 입니다.

through님의 댓글

내 답변감사합니다. 조금 알것같군요....한쪽은 접지에 연결하고 한쪽은 전기가 흐르는 장비에 연결하란거군요.

그리고 콘센트에 + - 는 테스터기로 해보니 알겠습니다.  그런데 장비의 코드가 + - 인지는 어떻게 측정하지요?

코드를 뽑고 플러그의 접지와 한쪽 핀에 대어보나요? 근데 연결이 안되어 있으니 전기가 흐르지 않을텐데요..플러그 모양보고 알수 있나요?

그리고 사실 전기가 흐르는 장비는 친구집에서 그러는건데요..거기엔 접지가 없습니다. 4층 높이라 접지하기도 힘듬니다. 접지가 없을경우에 어떻게 전위차를 줄여갈수있을까요?

duper20님의 댓글

휴즈쪽에 들어가는 것이 플러스입니다
기기에서 전원선을 뽑고 기기를 보시면 3핀이 보이시지요 (가온데는 그라운드)
기기에 따라 휴즈홀더도 보이시고여 휴즈를 커버에서 분리 하시고
거기에 핀이 보이실겁니다.
여기서 멀티테스터기로 옴 측정모드 1R(140mA)에 놓고
기기의 파워 스위치를 온 하고 멜티테스터기의 한쪽케이블을
휴즈홀더 핀에 대고 한쪽은 기기의 그라운드핀을 제외한 핀에
가져다 대시면 쭉 올라가는것이 있을겁니다. 그곳이 플러스 입니다.

컴퓨터 파워 같은 경우는 휴즈를 보기위해 분해가 필요하겠죠
또 제가 사용하는 다인오디오는 극성에 확실한 반응을 보여
휴즈로 하는것이외 위와같이 전원을 꼽는 반향에 따라
잔류전원이 확실히 보이지만 컴퓨터 파워, 믹서등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휴즈쪽으로 가는 옴 테스트 모드로 확실하게
잡을수 있습니다.  다인오디오 같은겨우 휴즈 홀더가 서랍식이라
멀티테스터의 케이블에 연장 전선(전기선 아무거나)을 연결하고
측정하시면 됩니다.  맥키 오닉스의 경우 빨간선과 파란선이
있는데 빨간선이 휴즈쪽으로 갑니다.  저의 경우 알수가
없어 맥키 서비스 쪽에 물어 보았지만 반대 반향에 빨간선이
있다는 이야기를 해서 제가 테스트 하는 수 밖에는 없더군요
맥키 오닉스의 경우 믹서를 분리하고도 또한번 안쪽에 분리를
해야 휴즈를 볼수 있었습니다.  옆으로 빠진듯 하지만 하나의
예로 생각하시면 되실듯 합니다.

극성을 확실히 수입업체에서 해주면 좋을것을
그들도 모르겠다는 말만하고
다인오디오 수입업체에 경우 지금까지 그런 이야기나
그런상황으로 전화한 사람은 없다며 제게 도리어
화까지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휴즈테스트 모드로 확실하게 극성을 맞추 시길 빕니다
그리고 확실히 맞추실 수 있습니다.
전체 9,431건 / 254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88 명
  • 오늘 방문자 5,977 명
  • 어제 방문자 4,894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3,218 명
  • 오늘 가입자 1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456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