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adat 카드 끼리 퀄리티 차이가 있을까요?

페이지 정보

본문

제가 레일라3g 에 adat 단자로 rme adi-ae 를 쓰다 레일라만 팔구

rme 9652카드를 구입했습니다.

현제 셋팅은 9652에 adi -  ae 구요.

헌데.. 레일라 였을적 셋팅이였을때 스테레오감과 해상도가 더 좋은것 같애요. ㅜ.ㅜ

물론 adat으로 연결해 rme컨버터를 거쳐서 모니터를 했구요.

adat 아웃 끼리도 퀄리티 차이가 있는건가요?

9652가 레일라 보다 퀄리티가 떨려지니 이거원..

아님 9652에서 셋팅을 잘못한게 있을까요?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관련자료

동맥 PD님의 댓글

A.B.님 그냥 하세요 뭐 그런걸....

자유로운 의견을 말할수 있는곳이 여긴데... ^^

의견들을 보고 ...  판단은  자기자신이 하는것이죠

장비의 장단점을 논하는것이 잘못된것도 아닌데요 

암튼 이글에 따르면...

저는 퀄러티 차이가 존재하긴 한다에 한표....

운영자님의 댓글

각 기기마다 내장하고 있는 클럭의 정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ADAT 출력만 사용하는 제품이라도 소리가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장호준님의 댓글

ADAT포맷만 보면 퀄리티가 다를 수 없다고 봅니다. alesis에서 정해놓은 규격에 맞추었을테니까.. 단지 그 앞/뒤의 신호 처리와 컨버터 등의 퀄리티겠죠.  한동안 예기 많았던  A/B 테스트가 불가능하신 현재 상황도 그렇고,,,

엠줴이님의 댓글

ㅎㅎ 레일라가 9652보단 떨어지지 않죠. 에코...하이엔드는 아니지만 참 좋은 기기들이 나오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기사리님의 댓글

오오 관심감사드려요~

워드클락 케이블은 연결 하지 않았구요.

adat케이블만 인, 아웃 , 이렇게 연결했습니다.

9652 adat 인아웃이 어디에 꽂으라고 나와있지않아서 그냥 여기저기 아무때나 꽂다가 설정했구요.

bravo님의 댓글

저도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품마다 채용하고 있는 발진회로도 다르고,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회로에 따라 다르니까요.
지터는 발진회로 특성이나 전원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으니까 당연히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특정회사에서는 자기 회사만의 지터억제 장치를 넣었다고 광고하기도 하죠.^^

기사리님. 아마 클락 케이블을 연결해주고 비교 해보시면 둘다 거의 비슷할겁니다.

futuristic님의 댓글

우선 adat용 칩은 wavefront란 회사에서 독점공급하고 있습니다.
소리의 차이가 난다면 H/W적 설계와 드라이버의 차이겠죠.

JesusReigns님의 댓글

원래의 구성과 지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해 주시면 안될까요.
무엇무엇이 어떻게 연결되어있었다가 지금은 어떻다.. 이런거..
그리고.. ADAT은 모드가 몇가지 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20비트, 24비트, 48k, 96k.. 16비트도 있었던가...?
참 그리고.. ADAT카드의 퀄리티 차이는 있습니다.
에러율이죠.. 쉽게 말하자면. ADAT은 일반 TOSLink와 모양은 같아도
부호속도도 두배가 되고.. 상황이 좋아지지 않을 때 데이타를 놓칠
가능성이 TOSLink보다 더 높습니다. 물론 그런 경우 어디엔가
error가 났음을 표현하는 LED같은게 있을것입니다. 그동안 뜨겁게
논쟁되었던 것은 error가 없다는 가정하에서 음질의 차이가 있냐였고..

더구나 컴퓨터의 플러긴 카드로 설계된 것은 자체 설계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자체의 설계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컴퓨터마다 내부 전기 노이즈의 차이가 나니까요.

기사리님의 댓글

컴퓨터나 나머지 장비는 그대로구요.

LAYLA 3G -> RME ad-ae adat  인아웃 연결이었구요.

지금 현재는

RME 9652 -> RME ad-ae adat  인아웃 입니다.

16. 44 나 24. 48 로 들어도 마찬가지구요.

여기서 생기는 의문점은

RME 컨버터 앞쪽 면에 A/D D/A 점멸등을 보면  Input, EXT. INT. 이렇게 3개를 선택하는게 있는데

예전레일라 쓸대는 INT로 설정해놨었는데,

지금은 Input으로 설정해놨어요,

왜냐면 INT로 설정하니 소리가 안나더라구요.

그리고 레일라 쓸때는 외장 컨버터에 클락도 44나 48로 지정하면 소리가 느려지고 빨라지고 했었는데

헌데 지금은 인풋 모드라서 클락 설정도 불이 꺼져있구요,

클락 케이블도 연결하고 adat케이블도 같이 연결하는건가요?

어렵네요~^^;

운영자님의 댓글

기초음향 칼럼의 케이블 연결 관련 글을 한번 읽어보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내용이 있을 듯 합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

Int라면 컨버터의 내장클럭을 말하는 것일테고.. 크리스탈에서 뽑은 것일테니
좋은 상황이라 보입니다. 지금은 Int로 설정을 하면 소리가 안난다는 부분이
이해가 되질 않네요.. 혹 9652쪽에서 클럭 설정을 internal 혹은 master로 하신건 아닌지...
만약에 컨버터측에서 int로 하시려면 9652를 그쪽으로 sync 시켜줘야하니까..
그러니끼니. 9652의 클럭 모드를 ADAT의 워드클럭으로 맞추심이..
지금 컨버터를 input에 맞춰야한다는 얘긴 9652쪽이 자체 클럭을 발생한다는
얘기니까.. 그런 상황이 맞는 것 같네요. 그리고 음질이 나빠졌다면 결국
9652에서 발생한 클럭이 나쁘단 얘기고 예전처럼 컨버터의 내장클럭을
사용하시는게 음질이 좋아지겠습니다. 사실, ADC나 DAC의 경우는 아무리 좋은
외장클럭이 있다 하더라도 내부의 크리스털 클럭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기사리님의 댓글

네 운영자님 언릉 가서 읽고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INT로 놓고 말씀하신대로 했더니 클럭 케이블을 연결하지않아서 그런지 음악을 트는 내내 클럭 노이즈? 로 연상되는

틱틱거리는  노이즈가 계속 들립니다.

클럭 케이블의 부재 때문인가요?

레일라를 사용할땐 같은 연결에 INT로 썼지만 노이즈도 나지 않았구요 워드클락케이블도 연결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9652 셋업창에서 s/pdif  아웃을 adat1에 체크를 해놓으면 소리가 안나구요,

그걸 풀면 소리가 나구요.

ad컨버터를 첨 써보는거라 셋팅이 좀 어렵네여 ㅠ.ㅠ

JesusReigns님의 댓글

9652 셋업 창에 클럭 세팅도 있을텐데요. 그걸 adat 인풋에 맞추셔야 합니다.
혹 s/pdif 아웃을 adat1에 맞추는 것이 같은 효과를 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무튼 핵심은 컨버터의 클럭이 좋으니 그걸 기준으로 다른 모든 것은
컨버터 클럭에 동기되도록 세팅하면 됩니다.

틱틱하는 노이즈는 오디오카드와 컨버터가 각각 자기 클럭을 기준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클럭이 서로 sliding하므로 주기적으로 한 셈플씩 놓치거나 반복되거나
하기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즉, 클럭이 동기되지 않아있단 얘기죠.

이정석님의 댓글

근래의 adat 칩셋은 알레시스의 세미컨덕터 사업부에서 분사한 wavefront라는 회사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adat 칩셋은 오직 wavefront 라는 회사에서만 공급하지만 칩셋도 시스템의 일부라서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면 퀄리티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서면의 기술 자료보다는 칩셋의 작동 방식이 기술된 데이터 쉬트가 더 빠를 것 같습니다
퀄리티에 대한 연관성이 보이니까요 ^^

http://www.wavefrontsemi.com/index.php?id=11,10,0,0,1,0
전체 9,431건 / 255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95 명
  • 오늘 방문자 3,183 명
  • 어제 방문자 6,56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52,610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2 명
  • 전체 회원수 37,548 명
  • 전체 게시물 287,187 개
  • 전체 댓글수 193,397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