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외장프리 라인연결.

페이지 정보

본문

외장 프리엠프에 관심이 생겨서 계속 디깅중인데,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려요.

 외장악기에서 라인인으로 케이블을 꽂을수 있는 제품들의 경우에(예를 들어 API같은)...외장악기들은 대부분 언발란스 아웃이잖아요? 외장악기 언발란스 아웃풋에서 프리엠프 라인인으로 55잭으로 꽂는 것까진 별 문제가 없어보이는데요... 프리엠프 후면의 아웃풋 단자는 캐논잭으로 되어있는데,캐논이면 발란스 아닌가요? 이런 경우엔 오디오카드에 연결할때 언발란스에서 발란스로 바뀌면서 뭔가 문제가 생기지 않는걸까요? 아니면,프리를 거치면 언발이 발란스가 되는건지...ㅡㅡ; 케이블 연결을 할때 올바른 연결법이 따로 있는지요.

 그리고 아까 말씀드린 API같은 경우 랙케이스에 끼워서 쓰게끔 되있는 제품이 거진 대부분인데,이런 경우엔 제품과 별도로 랙케이스를 구입해야하는것이지요? 디깅해보니 런치박스라는 세트용 케이스가 있네요. 두개를 사서 쓴다치면,이럴 경우에 런치박스는 빈 공간이 너무 남아서 미관상 좋지 않을것같고...랙 두개만 끼울수 있게끔 나와있는 랙케이스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판매하는 사이트가 있는지요... 중고물품을 보다보니 그런 식의 랙케이스가 있긴 있더라고요...근데,케이스도 한 가격하는 것 같더라는...

외장 프리를 아직 써본적이 없어 우둔한 질문을 하게되네요. 우문현답 부탁드리겠습니다!!!

관련자료

jky님의 댓글

우선.. 경우의 수를 놓고 설명드리는것이 나을듯합니다.
언밸런스->밸런스 연결일 경우 다이렉트(DI) 박스 연결이 효과적입니다.
밸런스->밸런스 연결일 경우는 그냥 연결하시면 됩니다.
밸런스->언밸런스 연결일 경우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그냥 연결하시면 됩니다.
(단 케이블이 제대로인 녀석에 한해.)

자.. 그러면 외장악기는 대부분 언밸런스라는 본문의 전제하에서 API를 연결하려면 DI박스가 있으면 좋겠죠?
그런데 보통은 괜찮은 프리들은 라인입력단(55잭 입력)에 대부분 DI가 내장되어있습니다. (API도 DI내장입니다.)
고로 DI박스는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DI가 내장되어있지 않은 프리는 가급적 물려줘야 기기 손상방지가 됩니다.)

여기서 잠깐!! DI박스가 하는 역활?
1.임피던스를 낮춰줍니다.
2.언밸런스->밸런스 전환
고로 API 프리에 악기를 물리면 요 내장된 DI에 의해서 언밸런스->밸런스로 전환이 되는것입니다.
특히 외장악기 등은 임피던스가 높은경우가 많아서 믹서에 맞게 임피던스를 낮춰서 입력시켜 기기 입력 시
야기될수 있는 뎀지를 미연에 방지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본문의 내용으로 보아 쓰시는 오됴카드가 언밸런스 입력인듯한데..
밸런스 입력이 되는질 먼저 살펴보신 후(대부분 중가형 이상 오됴카드들은 밸런스입력 겸용입니다.)
밸런스 입력이 되면 API-오됴카드 간에 밸런스->밸런스 연결하심이 베스트고요.
밸런스 입력이 안되면 API-오됴카드 간에 밸런스->언밸런스 연결하심 됩니다.

마지막으로 2개 들어가는 케이스는 국내선 거의 없고 해외 구매하셔야 합니다.
제품 모델은 API 500HR 입니다.
(파워 서플라이도 별도 구매하셔야 함.)

도움이 되셨기를...

popin80님의 댓글

덕분에 궁금증이 많이 해소됐어요,감사합니다.^^

API512c를 점찍어두고 있는데,이 제품은 구입하면 전면부를 제외하면 회로상태로 걍 오나보네요.
런치박스나 500HR말고 걍 512c 하나씩 쓸수있게 케이스가 있으면 훨씬 편하고 좋을텐데 그런 케이스는 없나보네요..
왜 이렇게 불편하게 해놓은건지...ㅠㅠ

따뜻한 명절 보내세요~
전체 9,431건 / 25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41 명
  • 오늘 방문자 1,001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4,290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496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