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잡음때문에 죽고싶어요. 흑흑

페이지 정보

본문

녹음초자인데요. 아이비엠에서 녹음을 한것을 프로툴로 옴기기만 하면 잡음이 생깁니다. 물론 아이비엠에서는 소리가 괸찮구요..
참고로 프로툴은 믹스 +이구요. 5.13을 사용하구요. 한글프로툴을 사용하고 있읍니다.
별짓을 다해봤읍니다. 시디로 구워서 옮겨도 보고 usb 로 옮겨도 보고... 데이타로도 오디로샘플로도. 그리고 비드로 바꿔가면서 별짓을 다해봤는데.. 이상한 히스노이즈 같은 바람같은 소리가 녹음이 되서 들리네요.. 예전에는 그냥 아무생각없이 원래 이런건가 그러면서 지나갔는데.. 요즘은 음악을 조금 알게되고 잡음에 민감해져서 그런지 완전히 돌아버리겠내요.. 휴...
혹시 이런 현상을 경험하신분들은 없으신가요.. ? 약간의 팁이라도.. 물론 프로툴에서 잡업한것은 아이비엠으로 옮겨도 마찬가지랍니다. 맥에서는 괸찮다가 아이비엠으로 옮기기만 해도 잡음이 생기니 워.. 이놈의 잡음이 없는 새상에서 살고싶어요. 도와주세요.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8-03-15 17:15:51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

관련자료

김 용님의 댓글

워드클럭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사용한 마스터 클럭을 동일시해야 문제가 해결될겁니다.
한쪽을 마스터, 한쪽은 슬리브로 워드클럭 싱크를 마추어 보십시요...

몽키님의 댓글

워드클럭을 맞추라는 말씀이 뭔지도 모르는 초자입니다. . 혹시 버퍼싸이즈를 맞추라는 말씀이신지..
만일 그렇다면 녹음한 오디오쏘스를 씨디로 구워서 옮겨도 잡음이 생기는 이유는 도대체가 뭘까요. 물론 usb로 옮겨도 그렇구요..그리고 비트랑 샘플레이트를 맞추고 낮추고 높이고 별짓을 다해봤답니다. 그래도 안되네요. 어떤분들은 한글 프로툴이라서 그렇다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뭐가 뭔지.. 음악하는 놈이 음악을 해야지 앤지니어가 되가고 있으니 워... 정말 답답하고 머리가 깨질지경입니다. 상세하게..

네드님의 댓글

저도 아이비엠에서 녹음 작업 한 화일을 프로툴로 받아서 풀고
프로툴에서 작업 한 화일을 다시 피씨쪽으로 보내서 확인하고
하는 일을 하는데요..별 이상없이 잘 되는데요..
(저도 한글시스템에 프로툴5.1.3쓰는 사람입니다.)
피씨쪽과 프로툴쪽이 모니터되는 환경은 똑같은건가요?
파일은 어떤 포맷으로 보내나요? 그냥 웨이브 파일인가요?

몽키님의 댓글

네. 모니터 환경은 한 모니터 시스템으로 쓰기때문에 같답니다. 그리고 그냥  웨이브랍니다. 그러니 저도 미치는거구요. 혹시 오디오카드에 문제(motu 1224)나 아니면 다른 무슨 문제... 아무리 짱구를 굴려봐도 문제될것이 없는데.. 무슨 디지탈로 옮기거나 그랬으면 문제를 찾기가 쉬운데 그것도 아니고 그냥 wave 파일을 옮기는데 그런일들이 발생을 하니 미치겠내요. 정말 미치겠내요. 혹시 전원케이블때문에 그런가요? 바꿔서 끼워볼까요.. .? 만일 전원의 문제가 아니라면... ? 미치겠내요.

JesusReigns님의 댓글

씨디로 옮겨서 구워도 들리는 잡음이라면 원래 있는 잡음이겠네요.
한 모니터라도 모니터 시스템까지 가는 케이블도 다르고..
이큐가 혹시 있으려나...

김 용님의 댓글

샘플레이트를 44100로 마추고 작업해도
장비에 따라서 +-2 정도의 오차가 있습니다.(44098 - 44102)
여기에 16비트 오디오라면 2에 16승개의 비트를 곱한값으로 오차가 납니다.
장비에 따라 다르지만 최악의 경우는 디지털노이즈와 더블어 피치도 차이가 납니다.
노이즈와 피치의 차이는 음질이 다르게 들리는 역활을 하며 노이즈는 인식되어지지만
피치가 달라져서 생기는 현상을 혹자들은 음질이 개선되어졌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워드클럭을 이해하지 못하면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김 용님의 댓글

디지털 오디오에서 워드클럭을 마추는 이유는
1. 비트의 시작점을 마추는 것.
2. 샘플레이트를 통일시키는 것
3. 그외의 정보를 통일시키는 것
입니다.

장비마다 다른 클럭 제네레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클럭제네레이터를 동기 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녹음시에 사용한 클럭과 플레이시에 사용한 클럭은 같아야 합니다.
하지만 녹음시 클럭과 플레이시의 클럭이 다르다면 정상적인 음질은 기대하기 힘듭니다.

몽키님의 댓글

녹음할때에 문제가 생긴것이라면 저도 이해합니다. 그런데 똑같은 드럼 킥 쌤플을 아이비엠에서 들을때 컴에서도 태ㅡ스를 해보고 시디플레이어로도 태스를 해보고 했을때에는 문제가 없었는데.. 그걸 맥으로 옮겼을때에 잡음이 생기는 거랍니다. 더욱더 심한것은 맥에 있는 외장하드에서 내장하드로 옮겨도(복사)리가 변한다는것입니다. 도대체 이런현상이 왜일어날까요. 정말 답답하고 잡음에 치를 떱니다. 그냥 녹음 하는 문제라면 어떻게 해보겠지만 그냥 웨이브를 옮기는건데.. 이런일들이 생기니 답답하고 막연하기까지 하네요.

네드님의 댓글

그럼 외장하드로 옮겼을 때는 괜찮은가요?
보통은 프로툴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드(시스템하드)에 음원을 두지 않는 법입니다.
외장하드쪽으로 음원을 옮겨서도 똑같은 증상인가요?
그런데 위의 본문에 보면 프로툴작업물을 피씨쪽으로 가져와도 그렇다고 그러니
아~ 내장하드 쪽에 폴더가 만들어져서 그럴 확률이 높지 않을까 싶네요..

몽키님의 댓글

저같은경우는 소리 태스트를 타스컴 cd-rw2000가지고 녹음을 똑같은 상황에서 태스를 하는 편이거든요. 그런데 맥켄토시 에 있는 외장하드에서 내장하드로 옮기건 반대로 옮겨도 약간의 소리가 변하는건 느끼겠더라구요.  자세히 들어보면요.. 내장하드로 옮긴이유는.. 어떤분이 pc의 dg001로 파일을 옮겨야 하는데 저의 맥은 이상하게 내장하드에서만 pc와 맥이 호환되게하는 곳의 채크를 할수있더라구요. 외장에서는 그것이 아예 안되서 내장에서 녹음을 가끔했었거든요. 그래서 생각한것 같은 곳에서 옮겨도 디지털 열화가 생기는구나 라고 생각을 하게된것이지요. 물론 이것은 알게된사실이구요. 그런데 가장중요한 아이비엠에서 맥으로 옮겨서 이상한 잡음이 녹음되는것은 아직도 해결이 안되네요..
오늘 하루종일 파워케이블을 바꿔가면서 해볼생각입니다. 만일 그래도 안되면 확..... 미치겠내요. 왜 예전에는 몰랐을까요...
전체 9,434건 / 262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92 명
  • 오늘 방문자 2,166 명
  • 어제 방문자 5,950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66,124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6 명
  • 전체 게시물 318,040 개
  • 전체 댓글수 193,42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