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노미널레벨에 관한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10 dBV , +4dbu]를 노미널레벨 즉, 표준운영레벨 이라고 하잖아요
다소 엉뚱한 질문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왜 -10dBV 는 dBv 를 사용하고, +4dBu 는 dBu 로 서로다른 레벨을 사용하는지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같은 dBu 나 dBV 단위를 쓰지않고,,,, 서로 다른 단위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회원서명

SIGNATURE

반갑습니다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누직10님의 댓글

  dBv 와 dBu의 차이점은 기준으로 하는 값이 다릅니다
dBu 는 20 log 측정값/0.775v 를 사용합니다
dBv 는 20 log 측정값/1v 를 사용합니다
기준값이 다르기 때문에 측정값이 다르게 나오는 것이구요
기준값을 다르게 한 이유는
시대에따라 더 안정적인 전기 공급으로 인한 노이즈 해소 문제와
기기간의 임피던스 문제가 걸려있다고 하더라구요
하하 이거는 다른 고수님들이 알으켜 주시리라...^^

왜 굳이 두개를 만들어서 우리를 힘들게 하는지...

별표2개님의 댓글

  volt 라는 단위를  한전직원들만 쓰는게 아닌것 처럼...
이런저런, 이유들로 얽힌 내용으로
" 양립성 유지 " 혹은 " 양립성 고수 " 쯤의 사회학적인 이유가 이유라면 이유겠죠..-_-;;

이정석님의 댓글

  두 기준이 양립하는 이유는 표기 방식에서 정수를 적는 것의 차이입니다
dBu가 먼저 나왔습니다
이 방식의 단점은 직관적인 수식 전개가 안 됩니다
.775를 나눠주고 log20을 해야 하니 그런 수식 전개를 짜증낸 사람들이 dBv를 만듭니다
바로 log20만 해주는 수식 전개력을 보였죠
기존의 dBu에 익숙한 사람들과 dBv를 편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서로 혼용하게 됩니다
이유는 표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정수 표기법에 있습니다
dBu로 측정하니 밸런스 레벨이 정수 값이 나오고, 언밸런스값은 소수가 붙습니다
그런데 dBv로 계산하니 밸런스 레벨은 소수, 언밸런스값은 정수가 나옵니다
표준 표기는 최대한 간단해야 하는데 두 기준을 혼용할 수 밖에 없어서 dBu와 dBv가 같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산업이라는게 이런식으로 흘러가니까요
내부 레벨은 거의 dBu로 계산되니 dBu에 익숙해지시면 좋습니다

남상욱님의 댓글

  정확한 표기를 위해서는 dBu와 dBV(대문자 V)로 표시해야 합니다. 애초에 dBu는 dBv로 표시되었습니다만 dBV가 나오면서 헷갈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dBu로 표기를 바꾸게 된 것이니까요. dBu가 나오게 된 배경에는 1mW/600 옴 load라는 당시의 레퍼런스를 기반하였기 때문이지만 이후 다양한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는 기기가 등장하면서 부터는(물론 dBu는 load가 걸리는 것과는 상관이 없습니다만) 이정석님 말씀처럼 굳이 0.775라는 숫자를 고집할 이유가 없어지게 된 것이죠. 
전체 9,431건 / 263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39 명
  • 오늘 방문자 2,250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5,539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672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