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홈마스터링 책을 보다가 이상해서 질문합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혹시 홈마스터링 192 책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께

아래 글이 맞는 말인지 확인을 부탁드릴께요

뭔가 이상해서요 ^^;;;;


84페이지입니다. 컴프레서와 음상에서...


본문 중 2/3 정도 위치에서

"...릴리스 타임은 느리게 해보자. 이렇게 함으로써 음이 뒤로 물러난 느낌으로 들릴 것이다...."


몇 줄 내려가서요

"스트링스가 맨 처음에는 제대로 들리지만 점점 뒤쪽으로 가는 것처럼 된다"



왠지 문맥상으로도 후자의 글은

"앞쪽으로 가는 것처럼 된다" 가 맞지 않을까.. 때려잡기 식으로 생각하구요


제 어줍잖은 지식으로도

어택타임이 좀 늦으면 아주 빠른 것보다

음상이 앞으로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아무래도 제가 잘 못 생각하고 있는건지요 ^^


누엔도로도 직접 한번 해봤습니다만

어택을 늦게하면 살짝 뒤로 간듯하고

어택을 빨리할때처럼 눈에 띄게(귀에 띄게??) 뒤로 밀려나가지 않더라구요


가르쳐주세요 ^^*

관련자료

강정훈님의 댓글

또..고수님들의 답변이 늦어지시네요 ^^
ITSFRED님 약간 혼돈하고 계신것 같아요..

어택타임을 느리게 하면 말그대로 어택을 치는부분 즉 피크가 억제되지 않겠죠? 그래서
녹음된 트랙의 게인을 최대한 높인다 해도 크게 녹음된 피크부분과
작게 녹음된 부분의 게인차가 크게 되기 때문에 피크이외의 소리가 뒤로 물러난 느낌이 됩니다.

어택타임을 빠르게 설정해 피크를 억제하게 되면 작게 녹음된 부분이나 크게 녹음된 피크부분이나
게인차가 적어지게 때문에 게인을 더 높이게 되면
녹음된 트랙이 전체적으로 가깝게 들리게 되는겁니다.
다르게 말하자면 어택을 억제해 작게 녹음된 부분을 끌어 올린다는게 맞겠네요.

릴리즈 타임도 이와 비슷하게
파형의 피크와 작게 녹음된 부분의 파형 차를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되구요.

운영자님의 댓글

"...릴리스 타임은 느리게 해보자. 이렇게 함으로써 음이 뒤로 물러난 느낌으로 들릴 것이다...."

*****************************

여기에 답이 있는것 같은데요?

어택타임이 아니라

릴리즈 타임 이야기입니다.^^

릴리즈타임이 길면.

소리의 어택이 줄어들어서 소리가 뒤에서 들리는것처럼 들리지요

ITSFRED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 이제 조금씩 이해가 되기 시작해요 ^^*

그렇다면 릴리즈와 쓰레솔드가 적절히 맞춰져있다고 했을때

어택이 짧으면 소리가 뒤로

어택이 길면 소리가 앞으로 나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것이 맞을런지요? ^^*

ITSFRED님의 댓글

아아... 제가 알던 것과 정반대군요 ㅠㅠ

공부 좀 더 해야겠습니다

모든 분들 댓글 감사드립니다 ^^*

남상욱님의 댓글

그러면 질문, 토털 컴프레서로 무대의 이미징을 조절하는 마스터링 상황이 필요한가요?
1. 본인이 믹스를 한 경우, 이미징은 믹스에서 바꾸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습니까?
2. 남의 믹스를 매스터링하는 경우, 도대체 스트링의 음상을 토털 컴프레서로 뒤로 밀어야 하는 상황이 언제 발생할까요? 스트링의 음상을 뒤로 밀면 다른 악기들의 음상은 어떻게 됩니까?
믹싱엔지니어가 만들어 놓은 음상을 매스터링 엔지니어가 어느정도 선까지 변형하는 것이 적절할까요?

저자가 어떤 의도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매스터링시 컴프레서로 음상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그렇게 쉽게 추천할 만한 내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kanzi님의 댓글의 댓글

책의 제목을 잘 보시면 남상욱님께서 던지신 문제에 대한 완벽한 해답이 있네요.^^

"홈"매스터링입니다. ^^

남상욱님의 댓글의 댓글

네 그렇다고 해도 1번 질문에 답은 되지 않겠지요. 음상에 문제가 있으면 다시 믹스를 점검하면서 고치면 되겠지요. 홈 매스터링이라면 더더군다나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입니다만... 쩝쩝... 괜한 딴지를 거는 건가요...
토털 컴프로 특정 악기의 음상을 변화시킨다는 개념자체가 영 그렇습니다.

매드포사운드님의 댓글의 댓글

저도 홈마스터링이기 때문에 더더욱 믹스에서 수정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만.. 홈 마스터링에 국한해서
질문하신 것 같아요 ^^ 책에서 언급한 부분도 그럴 수 밖에 없는 상황을 전제로 얘기하는 것이 아닌지..

kanzi님의 댓글의 댓글

네 그러니까 한마디로, 내용들이 실제 매스터링 상황에서의 그것들의 개념들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는 얘기가 되겠네요.^^ 그냥 살짝 웃고 넘어갈 정도의...;;;

lchlcy님의 댓글

아 저도 저 책 읽었는데, 제가 기억하기로는,
마스터링때, 토털컴프로 특정 부위를 뒤로 민다는 식의 마스터링 프로세스를 주장한게 아니라
컴프의 일반적인 용법을 설명하면서 컴프의 사용법에 이런것이 있다라는 문단으로 기억됩니다.
내용을 부분 발췌해서 마스터링때 음상을 건드린다로 보인것 같네요.
책 내용은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상식적인 선을 벗어난것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전체 9,434건 / 26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62 명
  • 오늘 방문자 3,260 명
  • 어제 방문자 5,626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44,47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5 명
  • 전체 게시물 309,686 개
  • 전체 댓글수 193,414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