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UAD-1에 대해서 하드웨어 충돌문제...

페이지 정보

본문

이것은 오됴가이 아메바님께 쪽지 남긴 글입니다만...참고하시길 바라며 레코딩 포럼에도 글을 남깁니다.

UAD-1에대해서 드릴말씀이 있어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 레코딩포럼에도 남길것 같지만..

UAD-1명의이전은 받았는데...문제가 생겼습니다. 이 문제는 꼭 말씀드려야 할것 같아서...

메인보드에 따라...그리고 그래픽카드에 따라 충돌이 생겨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3종류, 메인보드 2종류를 바꾸고 삽질해봤으나 결국에는 인식조차 못하였습니다. 그 종류는 인텔P33FB, 기가바이트EP35였구요...통과된 종류는 ASUS965P, 인텔DP35였습니다.

계속 충돌일어나서 윈도우 부팅중 지렁이가 지나가다 멈춰버리고 그대로 끝까지 가더군요..ㅡ.ㅡ.....
그래픽카드는 이엠텍9600GT, 기가바이트8500GT, ATI9350(이건 통과), XFX8600GT(통과). 이렇구요..
그래픽카드와 충돌때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깔리질 않습니다...ㅎ...

두문제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어서 VGA때문이다, 메인보드 때문이다..딱 잘라서 말씀드리기가 뭣하지만..지난 3주간 삽질한 결과를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끝내는...UAD-1 사용하는것을 포기했습니다....UAD-1 PCIe버젼은 괜찮은지 정말로 궁금하네요..그렇다면 그리로 가야할듯...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관련자료

judas95님의 댓글

요하네스님
정말 고생 많이 하셨네요~

외국포럼에서도 언듯 그문제를 본듯 합니다.
PCIe 는 어느정도는 충돌이 줄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네용~~

UAD 구입직전까지 갔다가 좀 보류한 1인으로서
좋은 정보 너무 감사드립니다.^^

대구는 더욱 더울듯 합니다.
얼마전 고향인 안동에 내려갔다 올라오니
서울이 시원하더군요^^

더운여름에 건강조심하시와요~~

johannes님의 댓글

PCIe도 그렇군요...한동안 고생하고 나니...덧정이 없어서 내놨는데..PCIe도 그렇다면....^^;;

감사합니다...건강하시구요...^^

아메바님의 댓글

에구.. PCI-E 도 ....완전 믿을수가 없군요... 호환문제 해결된 신품이 나오려는지...루머를 또 루머로 옮기면서...^^:

일단.... 잠시 보류해야 겠네요. 요하네스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칼잡이님의 댓글

IRQ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상포트를 만들어 분배하는 XP에서는 하드웨어의 인식 문제가 많습니다. 파워코어 2장, UAD1 한장 이렇게 설치해도 제대로 하면 문제는 없습니다.
일단 XP를 깨끗하게 포맷하고 설치후에
꽂는 슬롯을 바꾸어서 재인식을 시도해 보시고 그것도 안되면,
제어판-시스템-하드웨어-장치관리자-컴퓨터-드라이버 직접선택-표준 PC로 하신후에 다시 인식을 시켜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요즈음에도 그러는지 모르겠는데 드라이버를 먼저 설치후에 컴퓨터를 끄고 다시 설치해야 인식했었던 걸로 아는데 설치 순서는 꼭 인스톨 메뉴얼대로 해 보시기 바랍니다.

johannes님의 댓글의 댓글

감사합니다....^^
표준PC만드는 일은 윈도우2000에서나 한동안 했던일인데..XP에서도 그렇게 해야한다면...UAD버리고 싶어질것 같습니다...ㅎ...예전에 웨이브터미널시절에 워낙에 고생했던터라...고생시킨하드웨어들은 모조리...ㅎ...

드라이버를 설치후에 다시설치하기도 해보고 먼저설치하기도 해보고..해봤지만..뭐..똑같더라구요..

사실 저도 컴에대해서는 왠만큼 안다고 생각했는데..UAD가 발목을 잡는군요...헛헛...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UAD PCIe갖고 계신분있으시면 빌려서라도 설치해보고..그것도 안되면 UAD버리고 '돈을 써야할것' 같습니다. 모조리 외장으로..허....

칼잡이님의 댓글의 댓글

허.. 카드가 너무 속을 썪이는군요. 저는 그러한 디에스피 카드를 여러장 쓰고 있는데요. UAD도 PCI와 PCI-e 버전 두개이구요,참고가 되실까해서 ..
 PCI-e는 아수스 익스트림 스트라이커에 붙여 쓰는데 별 문제 없었습니다. PCI는 PCI-x 지원되는..에구 이름이 생각이 안나네요.
 그리고 그래픽 카드는 요새는 주로 ATI를 많이 씁니다. 지포스도 한두개 쓰구요.

신동철님의 댓글의 댓글

외장으로 가세요~~~~~~~~(농담)

디지털의 장점은 편리함이지만....

최대의 단점은 안정성인 것 같습니다.

빨리 자리가 잡히시길 바랍니다.

johannes님의 댓글

감사합니다...칼잡이님...안주무시나요?ㅎ..
전 자고 일어난건데....피곤하시겠습니다....^^

ATI를 많이 쓰시는군요..전 ATI드라이버로 고생하고 난뒤 ATI돌아보지도않고 있습니다. 예전에 ATI카드바꾸면 윈도우 다시깔아야하는상황도 있었잖습니까? ㅎ...대체 지워지질 않는 드라이버..편법을 쓰기도 그렇고 해서 왠만하면 윈도우를 다시 깔았던 기억이 나는데요..요즘은 괜찮나 봅니다...AMD로 넘어가고 난뒤에 좋아진모양이죠?
소문에 의하면 여전히 드라이버가 NVIDIA만큼 되지 않는다는 소문이 있던데..

암튼...저도 PCIe버젼을 구하게 되면 달아보고 안되면 익스트림 스트라이커 구해서 사용해야겠습니다...한동안 인텔클래식보드만 사용했었는데 전원부가 약한지 떡하면 다운되더군요...잔뜩달아서 사용하는 사람들은 클래식중 저가형은 사용하면 안될 모양입니다...

전 그래픽카드 지포스쿨러 없는 모델을 주로 사용합니다...시끄러운게 싫어서 말입니다. 게임도 뭐도 안되지만 .....

한개 문의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파워코어 파이어와이어가 불안정하여 파워코어익스프레스를 구하고 있는데...거기다가 MD3, VSS3, MASTERX5를 구입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근데 이놈이 DSP가 4개밖엔 안되서 파워코어X8인가 하는 파이어와이어모델로 눈이 가고 있는데 여전히 불안정하겠지요?
IEEE1394카드가 말썽인가 싶어서 어젠 SIIG제품을 주문해놨는데..그걸 달면 괜찮아질런지요? DSP8개라는게 넘 땡겨서 고민중입니다. 조언주신다면 PCIe를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아님 X8모델을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대부분 토털아웃에 쓰기때문에 DSP갯수가 많이 모자라고 그러진 않긴하지만 말이지요..)

jky님의 댓글

덧붙여서 아수스 P5K시리즈+1950GT랑 아수스 WS64시리즈+8800GT도 동일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저도 이거땜시 UAD-1 포기했죠....T_T

johannes  님/1394방식은 여러모로 불이익이 너무 많아서 저라면 절대 비추천하고싶네요.
TC파워코어도 글코 두엔데도 글코 1394방식 자체가 일단 윈도우랑은 너무 안친합니다.
더도말고 딱 윈도 천삼이(2003)+SP2에 8기가 물려보시면 제말이 무슨뜻인지 바로 느낌이 팍! 하고 올껍니다.
절대 인식못합니다. 윈도우 자체가 뵹신이라서요..T_T
4기가로 낮추면 인식은 합니다만 레이턴시 장난아닙니다.T_T
결국 파워코어는 포기... 두엔데는 그나마 스트레스 약간+긴장 살짝 타면서 사용중입니다.
(파워코어는 PCI->PCI-e까지 업글해가면서 사용중인데 아주 잘됩니다.^^;)

오죽하면 윈도우 천팔이(2008)로 갈려고 심각하게 고민중입니다.
그래도 안되면 두엔데도 PCI-e로 가야겠죠.... 쿨럭..
아무튼 저거땜시 학을떼서 1394방식은 거들떠 보기도 싫네요.

덤으로 RME-FW800도 문제 발생했었고 타스캄 FW-1884도 문제 발생. 엠오됴 200도 드라이버는 잡히는데 동작안되던....
암튼 윈도우랑 파이와이어는 절대 안친합니다.

그냥 32비트기반이라면 XP껴안고 죽으시던지...
64비트로 가시던지 둘중하나 결단 내리셔야합니다.

결론은?? PCIorPCI-e 방식으로 광명찾으시는길밖에...T_T
(UAD-1은 제외구요... 이녀석 충돌증상도 참 짜증나죠...야들이 드라이버를 잘 못만드는거 같더군요.
글고 하드웨어가 잘붙는다는 전제하에서 PCI보단 PCI-e가 레이턴시면에서나 퍼포먼스면에서나 모든면에서
좀 더 빠릿빠릿 안정감있게 돌아갑니다.^^;)

이상 제 삽질 경험담이었습니다.^^;
전체 85건 / 3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70 명
  • 오늘 방문자 4,630 명
  • 어제 방문자 5,42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10,818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1,341 개
  • 전체 댓글수 193,408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