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케이블 압착식,납땜,무납땜 특성이 어떻게 되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오디오가이에서는 케이블 제작에 납땜을 사용하고

또 다른 곳에서는 압착식이 좋다고 압착식을 판매하더군요

특성을 알고싶네요

관련자료

JesusReigns님의 댓글

ㅎㅎ 누군가 제대로 말씀해 주시긴 했는데..
그런 얘기가 통할지 모르겠네요.
저두 그냥 납땜을 하긴 합니다만.. 도구만 있으면 압착식이 더 좋습니다.

납땜은 문제가 . . 일단은 계속 꼽았다 뺏다 만지작.. 하면 세월이 지나면 끊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기판에 납땜한 상황과는 달리.. 케이블 플러그에 납땜한 것은 아무리 잡는다고 잡아도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장력이 납땜 부분에 계속 스트레스를 줄 수 밖에 없고 계속 반복되면 시간이 지나서는 떨어지게 되어 있죠.. 이런 문제에 대해 압착식이 훨씬 우수합니다.

전도 특성 또한.. 납이라고 더 좋을 것 같지만 그렇지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플러그의 금속 - > 땜 납 - > 케이블 선재 금속으로 가는 동안 계면을 두 번 지나지만 압착식은 한 번밖에 안지나죠..

뭐 그러나~ 고급 케이블 제작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은납을 쓰므로. 이런 얘기해봐야.. 뭘 모르는 소리. .정도로 치부되겠죠?? 크횻~

Riverman Music님의 댓글

사실 압착식은 제작의 편의성, 통일성 때문에 나오게 된 것이죠.
전용 공구만 있으면 업체 입장에서 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질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압착식도 세월이 지나면서 표면의 부식, 산화가 일어나 접촉면이 현저하게 줄어듭니다.
접촉면이 줄어든다는 것은 전도율이 떨어진다는 겁니다.
게다가 오랜 동안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압착면이 헐거워져서 도체 간의 유격이 생기죠.
도체의 접촉 면적을 보면 납땜식이 훨씬 유리하죠.
고품질 무연은납을 사용한 케이블이 음질에는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설프 은납이 아닌 카다스나 WBT의 고순도 은납을 말하는 겁니다.
이곳 운영자 님도 일반 은납은 사용하지 않는 걸로 압니다.

10년 이상 오디오 케이블을 테스트하고 모니터링해온 경험에서 말씀드렸습니다.

hans님의 댓글

암튼 납에따라 소리 많이달라지더군요..긴~케이블보다 훨씬더 말이지요..

개인적으로는 은납은 별로좋아하지 않는다는..그런 결론으로..^^;

Riverman Music님의 댓글의 댓글

실례지만, 그 치를 떠는 이유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제가 아는 사실과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네요..^^

국내 오디오 케이블(하이엔드) 전문 업체들은 대개 WBT 은납을 사용하면서 치를 떨지는 않습니다만..ㅋㅋ

SMaker님의 댓글의 댓글

취향이 갈리는 부분이 있겠지만 제가 느낀건 저음이 깍이는 부분과 음질 등이 맘에들지 않았습니다.

WBT은납을 은납중에서 최고로 꼽는 것 같던데 그것도 비슷한 것 같구요;

은납이 유행인건 알겠지만 전 그다지 맘에들지 않더군요ㅋ

물론 위에 언급한 제작하시는 분도 그렇구요ㅋ

완소남프로젝트님의 댓글

압착식이 대중화 된 이유는 압착기술이 좋아졌기 때문이라 생강합니다 

그 전에는 압착식이 잘 빠지고 불안정해서 잘 안쓰다가 '비교적 최근' 기술 발달로 더 대중적으로 쓰이게 된게 아닐까요 

JesusReigns님에 비해 이론적 지식은 유치원생 수준이지만 같은 이유로 저도 납땝식보다는 압착식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D커넥터의 경우 국내 모 커넥터업체에서 압착식을 홍보하겠다고 했는데 여러가지 이유로 아직 잘 쓰이지는 않는것 같네요

여기까지 제 생각~ 물론 태클 환영입니다.

JesusReigns님의 댓글의 댓글

압착식의 오해는.. 사실 이런 부분인데요.

압착식이 원래는 별로였다가 좋아진 것이 아니구요..
원래도 상당히 유리한 것인데, 문제는 많은 제조업체에서 불량 압착 생산을 오랫동안 해왔다는 데 (지금까지도) 있습니다. 하지만 믿을만한 브랜드를 사시면(믿을만한 브랜드에서 몬스터 케이블은 절대 제외) 문제가 없습니다.

납은.. 반대로.. 생산 기술이 좀 조잡해도 단점이 금방 드러나지 않는 유리한 점이 있긴 합니다. 하지만 time will tell 이라고 하죠.. 납은 생산기술이 좋아도 노화가 빨리 옵니다. (쉽게 상상할 수 있는 것과는 상반되죠? 납이 오래갈 것 같은데..)

압착식은.. 제대로 만든 것은 contact이 그렇게 쉽게 산화되지 않습니다...산소 자체가 안들어가기 때문이죠..

宋 敏 晙님의 댓글

압착식 역시 커넥터에 직접 부착이 아닌 터미널단자와 같은 다른 어댑터를 끼워서 연결하는 경우라면 납땜과 크게 다를바가 없다고 여겨집니다.

물론 직결이라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압착식이든 납땜이든.... 제일 좋은건 손실없이 잘 흐르면 그만이라는거.....

엠줴이님의 댓글

은납은 걍 주석함유량이 많은 납일뿐이고, 실제로 은 함유량 얼마 되지도 않을뿐더러 은이 많이 들어가면 납땜인두로 잘 녹지도 않아요.

제가 저번에도 글 올렸던거같은데...

은납이라는 단어에 속지 마세요.

그리고 납땜은 어디까지나 접착제 개념으로 사용해야합니다. 납땜하기전에 이미 도체끼리는 서로 붙어있어야한다는겁니다.

주석은 세월 지나면 산화되고, 압착식으로 된 제품도 단자가 산화됩니다.
배선재도 마찬가지로 산화되구요.

그냥 케이블 사서 뭔 방식이든 잘 쓰다가 부식되면 버리면 됩니다.

hans님의 댓글

PA관련분들과 스튜디오혹은 로케이션 레코딩 관련분들과의 의견차이가 좀 있을것 같습니다...

암튼..은납은 녹지도 잘 않고..잘 떨어지고...(제 실력탓이기도 할테지만요..T.T) 그렇고...음질도 그렇고 그렇더라구요..

JesusReigns님의 댓글의 댓글

맞습니다.. 잘 떨어지는거..

쉽게 생각하면요.. 뗌질이라는것은 땜질한 부분에 접합되는 세가지 금속의 합금이 되어야 가능한 것이거든요.
그런데,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듯. 아무 금속이나 녹여놓는다고 그냥 막 섞여버리지 않습니다. 합금이 잘 되는 금속이 있고 안되는 것이 있는데, 은은 영~ 아니라는거죠. 그래서 눈에 보기에는 완벽한 뗌질인데 속에서는 전~혀 붙어있지 않는 뭐 그런 상태가 됩니다. 그러다가 스트레스 좀 받으면 떨어지는거죠. 붙어있어도 정말 붙은거도 아니지만서도.

압착식은 아무 금속이나 두 개를 꽉~ 잡아줘서 통하게 하는.. 데.. 관건은..
- 주로 연선을 쓰는데, 구리가닥 사이, 그리고 플러그의 금속 접촉 등에 산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과
- 꽉잡아주는 플러그의 급속체의 성질.. 탄성이나 뭐 그런것들 있죠? 기껏 눌러놨는데 몇일 지나니까 느슨해지면 안된다는거죠..

그래서 플러그 믿을만한 제품 사고 공구 제대로 있고.. 그러면 이게 납땜보다 낫습니다.. 오래가고..

단점? 공구가 ... 기가막히게 비싸더군요. 짭.

그녀사랑님의 댓글

그럼 압착후 납땜하면 되지 않을까요? 두가지 장점을 모두 가지게 되는데... 시간이 지나도 괜찮구요?

hans님의 댓글

압착후 납땜도 좋은 방법인것 같긴합니다만...좀만 잘못해도 두꺼워져서 소켓안에 들어갈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알기로 압착후에 소켓에 끼워넣어서 고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전체 9,431건 / 3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08 명
  • 오늘 방문자 2,993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6,28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868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