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질문] 라이브 음향, 믹싱, 녹음에 관한 기초적 책 추천좀...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십니까. 필요에 의해서 가끔씩 들르다가.. 이제 아마 본격적으로 오가며 공부해야 할것 같습니다.

교회에서 찬양팀 드러머인데.. 음향담당하시던분이 사라져서 ㅡㅡ;;;;

음향 담당을 하게 되었습니다만.. 그나마 제가 좀 알아서...

그래봐야 믹서콘솔에서 뭐가 뭔지 기본적인거 아는정도.. 여기저기서 들은 풍월 조금 있는정도..  이번에 그래서 찬양예배를 녹음해봤는데 영.. 실망이어서

(드럼 싸구려 샘슨 마이크로 마이킹되어 있는걸 야마하 조그만 콘솔 두개 옆에놓고 조정해서 방송실로 보내게 돼어 있는데요.. 소리가 영 쌩소리로 울리더라고요 저~기 멀리서 잡은거처럼.. 이거저거 하면서 정보도 찾아보고 해도.. 역부족..)

아무래도 책을 하나 장만해야 할것 같습니다만... 여긴 미국이라 책구하기가... 영문은. 제가 아직 영어가 짧은 관계로... ^^  (친구가 한국서 오는편에 부탁하려고 합니다)

너무 기초적인거 말고요.. 어느정도 기초부터 좀 자세한것까지 실질적인 도움이 될만한 책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일 중요한게.. 이게 뭐고 저게 뭐다가 아니라..

이럴땐 이런걸 이렇게 쓴다. 식의 실질적인..  그럼 부탁드리겠습니다. ~



1. (쓰는김에 질문하나더요.. 탐탐에 마이킹이 게인을 0으로 해도 피크경고(?)불이 들어오는데... (그러면서 소리는 작네요 ㅡㅡ;)  이거 피크 LED 들어와도 좀 더 올려도 되는것인지요..

2. 드럼용 믹서에서 방송실로 신호를 보내는데요.. (방송실에서 두채널을 좌 우로 해서 받았습니다만...)  드럼치면 드럼믹서에서나 방송실 메인믹서에서나 모두 피크 그래프...가 충분히 올라갈정도로 게인을 조정해도.. 왜.. 비슷한 피크의 다른 보컬등의 소리보다 훨씬 적은 소리가 녹음이 될까요... 한마디로 볼륨이 작네요.. 더 크게 하면. 피크 위로 올라가는데..

관련자료

josh lee님의 댓글

  저도 원래 드러머였는데.. 요즘은 음향한다고 설치고 다녀서...
드럼 마이킹은-마이크를 불문하고-거의 절대적으로 컴프와 게이트 없인 박진감(?)넘치는 소리를 기대하긴 힘듭니다. 어택이 빠르고 순간적으로 게인이 올라가게 때문에-다이내믹이 심하다고 하죠..

혹 시카고 근처면 도와드릴 수있는데..

그리고 영어로 된 설명이 생각보다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장비가 다 영어로 써있기 때문에..

운영자님의 댓글

  한국어로 된 어떤 음향책을 구입하더라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자는 한국어로 된 음향서적이 나오면. 어떤것을 구입할지 망설이지 않고. 무조건 구입을 하는 편입니다.

josh lee님의 댓글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쓴다는걸 깜박..
영자님, 죄송합니다.. 한국에 있었을 때 한문공부를 잘 못한 저로서는 미국에서 보는 잡지와 Cataloge등에 나와있는 영어표기때문에 영문 서적을 조금 더 많이 보는 편입니다..

사실 호준님 책은 저도 하나 있고, 또 이번에 한국에 가 있는 친구를 통해 개정판을 부탁한 상태구요..

그리고 기왕 미국에 계신분 영문으로 된 책으로 공부하시는게 영문resource가 한글-뭐 LA쪽에 계시면 상관이 없지만, Chicago에 있는 저로선 여기 오됴가이외엔 한글로 된 정보는 구하기가 하늘에 별따기 힘들다는.. 요즘 한국 서적을 가도 음향용 책은 구경도 못하죠-보단 더 구하기 쉽고 많은 편이기에.. 이런 주책을...

다시한번 주재넘은 발언 죄송합니다..      꾸~~~벅..

운영자님의 댓글

  전혀 그런 것 없었습니다만..^^

영자는 다만 음향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한글로 된 음향서적들 한권씩 모두 구입하신다 하셔도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을 했답니다.

하지만 영자가 영어를 무척 잘 했다면.

아마도 영어로 된 음향서적은 음향하는 사람이라면 거의 모두 구입해서 보아야 한다..^^ 라고 아마 이야기 했을 것 입니다.

저는 전혀 개의치 않았는데.

오히려 제글이 조쉬님에게 염려를 드린 것 같아 죄송스럽네요

josh lee님의 댓글

  제가 가장 이해하기 쉽게 본 책은: 한글-당연 장호준님의 음향시스템 핸드북,
영어-Soundcraft에서 공짜로 보내주는(웹사이트에 가셔서 주문하시면) Live Mixing Guide.

요즘 한번 쭈~욱 훌터본 Sound Reinforcement Handbook for Yamaha라는 꽤 얇지 않은 책이 Borders에 있어서 사봤습니다.. 여러 공식과 자세한 설명.. 나쁘니 않더군요..

추신: 같은 서점에 Sound Recording for Dummies라는 노란책도 있는데.. 바보 되겠더군요.. 별 도움 안되니까 초보자라고 이런거 사야하는 생각은 마시길.. 어쨌건 호준님 책은 거의 대부분의 엔지니어고수님들도 추천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추신2: 영자님.. 제가 먼저 글을 잘못 쓴건데요.. 아직 체계적인 지식도 없는 저의 발언에 너무 신경쓰지 마시길.. 항상 이 사이트의 존재-영자님의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전체 9,431건 / 33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84 명
  • 오늘 방문자 2,648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5,937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787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