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작업실 벽의 재질에 대해..

페이지 정보

본문

오디오가이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지금 제 작업실이 5mx3m 정도의 방인데 바닥을 제외한 전체가
 검은 스폰지 흠음재로 되어있습니다..제가 한건 아니구요..

 때문에 모니터링시나 녹음시에 너무 데드하고 부자연스러운 소리가 나는데요
 만약 이 위에 패브릭천을 덧댈 경우 좀 더 자연스럽게 개선이 될까요?
 아니면 흡음재를 다 뜯어내고 패브릭 마감을 하는게 나은건지..(미관상은 제쳐두고요)
 
 제가 음의 성질을 잘 몰라서..
 패브릭의 밑에 존재하게될 흡음재가 소리의 반사에 영향을 어느정도 끼치는지 잘 모르겠네요
 (여전히 고역성분을 흡수한다거나 할까봐서 말이죠..)
 흡음재를 뜯어내면 고무 차음재가 나옵니다만..그 위에 패브릭을 대는것이 나을지
 (그러면 또 음이 막 튕기고 할까봐;;)
  아니면 그냥 흡음재 위에 패브릭을 대도 무방할지 여쭤봅니다..
 
 물론 베이스트랩은 따로 설치할 계획이구요..너무 울리거나 너무 고음만 흡수되지 않는
 최대한 내츄럴한(물론 말이 쉽지만요..) 어쿠스틱 환경을 목표로 합니다..
 
 조금이라도 조언을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혹시 패브릭 외에 좀 더 나은 다른 재질 있다면 추천해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관련자료

bravo님의 댓글

굳이 페브릭을 추가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데드한 상황이시라면 스피커 뒤쪽에 cd장이나 책장을 놓아두시면 좋습니다.

혹시나 상황이 되시면 스피커 사이에 잎이 큰 화분을 놓아두셔도 도움은 되실겁니다. ^^

칼잡이님의 댓글

일반 천이나 계란판 스펀지나 다 중고역대의 흡음재입니다.

간단하게 권해드리는 솔루션은 천장이나 스피커가 바라보는 쪽의 벽면에 반사성질의 디퓨저를 설치해보세요.

스카이라인은 디퓨저이긴 한데 재질이 스티로폼이라 흡음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나무로 된 것이 적당할 것으로 보입

니다.


약간의 반사와 분산을 주는 것이 너무 데드한 것보다는 모니터링에 낫습니다.

브라보님이 얘기한 화분도 디퓨저의 역활을 하는 도구로 쓰이기도 합니다.

telefunk님의 댓글

답변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흡음 재질을 바꾸는 것 보단 반사와 분산 쪽으로 알아봐야 겠군요

두 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telefunk님의 댓글

아 그런데 bravo님..스피커 사이에 무언가를 놓는것이 좋은가요?

현재 세팅이 마스터링 스튜디오 처럼 스피커가 뒤로 떨어져 있고 간격은 2m가량 됩니다..

(뒷 벽에선 1.5m가량 떨어져 있구요)

스피커 사이에는 아무것도 없이 텅 빈 상태구요

그 부분은 처음 듣는 이야기라 조금만 더 알 수 있을까요..간섭때문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혹시 화분을 놓는다면 조화..도 효과가 있을까요..

bravo님의 댓글

네. 조화도 상관은 없습니다. ^^
다만 재정을 투자하실 의향이 있다면....

칼잡이님의 말씀처럼 음향판(어퓨저)를 구입하셔서 스피커 뒷편에 세워놓으세요.
효과 톡톡히 보실겁니다. ^^

화분이 어퓨저의 효과입니다.
전체 9,433건 / 381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759 명
  • 오늘 방문자 5,551 명
  • 어제 방문자 6,067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17,80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4 명
  • 전체 게시물 303,616 개
  • 전체 댓글수 193,409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