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홈레코딩에서의 잡다한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예전에 아이디가 있었는데, 어디로 갔는지^^
다시 등록하여, 질문을 여쭙습니다.

일단 저는 취미로, 홈레코딩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때 동안 보컬 녹음(조금 거창합니다만)을 하면서 들었던 궁금증과,
프리 엠프 구입을 앞둔 사람으로서의 질문, 컨버터 사용에 대한 이해를
해 보고자, 염치는 잠시 접어두고, 여쭙습니다.

누엔도(공부는 하지 않았습니다;)를 사용합니다.

마이크 : 로데 K-2 ,
오디오 카드 : EMU 1820M
모니터 : 니어05, 소니 MDR7506, 슈어 E2

(프리는 중고가 100만원대 아래로 구입 준비 중입니다.)
정도의 사항입니다.




1. 믹스다운 한 음악 파일이 조금 웅장했으면 좋겠습니다.

일반 메이져 음반들이나, (어느정도 수준의) 아마추어분들의 노래를 듣게되면,
음질이나, 공간감을 떠나서, 소리가 웅장하게 넓게 퍼져있는데요.
어떤 식으로 넓게 퍼뜨리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코러스 같은 경우에도 소리가 양쪽으로 분리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어떤 플러긴이나, 기능, 스킬을 사용하시는 것인지 무척 궁금합니다.

(현재 엠알은 일반 카페나 p2p에서 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2. 2채널의 프리엠프로 보컬을 받을 시에, 스트레오로 받는 것과 모노로 받는 것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또, 스트레오로 받을 경우, 프리엠프의 L,R과 인풋, 즉 3갈래를 Y케이블로 이어야 하는 것인지요?

3. 보컬 용도로만 사용할 100만원 대 내외의 프리엠프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어떤 분은 이렇게 말씀하시더라구요.
'아니, 레코딩 시스템이 그렇게 좋은 상태도 아닌 것 같은데,
그런 상황에서는 30만원대 프리나 100만원대 프리나 별 차이 없어~'
실제로 그런가요? 해상도, 댐핑(맞는 표현인지요?) 경우에도 별 차이가 없는지요.

(프리엠프에 관한 이전까지의 게시물들은 거의 읽어보았는데요^^
영향을 받아 Grace 101을 염두해두고는 있습니다. 또 하나 봐둔 것이 프리소너스의 유레카입니다.
보통 녹음하는 곡의 스타일은 발라드나, 알엔비 계열이구요. 진공관 소리 같은 따뜻한 음색이 좋습니다.)

4. 쌩뚱맞습니다만, 정말 한 2년 전부터 궁금해온 질문입니다.
 컨버터의 사용방법;;;과 그 효용을 알고 싶습니다.

사실 구체적으로 여쭈어야 하겠지만, 어떤 식으로 꼽고, 컴퓨터에 연결되는지 조차 모르겠습니다.;;
보통 프리엠프가 '마이크 - 프리 - (믹서) - 오디오 카드' 의 식으로 들어가듯이 컨버터의 연결 방식이
궁금합니다.





제 나름대로는, 예의를 갖춘다고 하여, 조금은 딱딱한 말투가 된 듯 합니다.
;;다소 시건방져 보일 수 있을 것 같아;; 만일 그러하셨다면, 본의가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항상 눈팅만 해왔지만, 제 무지로는 이해가 안되면서도 도움되는 부분이 여간 많지 않아
항상 감사드립니다^^

관련자료

J.MuttRange님의 댓글

1. 스테레오 이미지 플러그인들이 있습니다만.. 별로 신통치 않습니다.
    말대로의 스테레오 이미지는 소스의 LR분할고 트랙마다 특정 대역대 컷과 부스트, 각트랙의 볼륨레벨 등으로 음들의 순서를 두는 것입니다.
    모니터링시 얼굴을 때릴듯한 쏘스와 그렇지 않을 쏘스를 잘 들어보면.. 단순히 볼륨 차이만이 아니라.. 스테레오의 양과 소리의 위치, 덩어리 크기.. 등이 모두 틀리게 들리죠....제가 말은 쉽게 합니다만... 믹싱시..이부분에서 좌절을 느끼는게 한두번이 아닙니다....여전히 좌절을 느낀다는...ㅡ.ㅡ;;
 
  예로들면(물론 저의 예입니다.)..
  킥의 경우 이큐에서 40hz 패스하고.. 300hz조금깍고..... 5Khz를 5db이상 부스트합니다.
  스네어는 150hz페스 하고.. 5, 11hz 대역을 부스트 합니다... 완전 공식이군요...ㅋㅋㅋ
  물론 원래 소스의 차이도 있지만.. 같은 레벨이라 해도... 특정 대역대의 컷으로 킥이 밑에 깔리고.. 스네어가 그위에 올라타는 경험을 할수 있을겁니다....
  여기에 보컬의 저역대 컷과 고역의 부스트를 합해서... 레벨을 드럼..특히 스네어보다 올리면..
  노랫소리 뒤로 스네어가 있는 공간감과 소리의 다이나믹 차이를 느낄수 있을겁니다...............물론 아닐수도 있지만..ㅡ.ㅡ;;
 
 말씀하신 코러스는 기본적으로 억스트랙에 피치쉬프팅 이나 하모나이져 와 플렌져&코러스&딜레이.. 등 모튤레이션 이펙터와 딜레이+리버브 를 잘 썩어서 L R 팬을 쫘~악  벌려서 완전 분할하면 됩니다....물로 원쏘스는 가운데서 나와야하겠지요..


2. 솔로 보컬은 스테레오로 받아본일이 없어서 잘몰르겟습니다.
  Y케이블이 아니라... 마이크과 프리앰프당 1개의 케이블입니다.. ... 말씀대로라면..총 2~3개가 되겠지요.

3. 지금상황에선 별로 필요없을듯 합니다.... 주제넘는 발언..ㅡ.ㅡ;;
  차라리 다 정리하시고... Rode-> Mackie Satellite(프리+오디오카드+모니터섹션== 추천^^) ->Com 으로 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Simple is The Best... in Home !!

4. 세상에 싸고 좋은건 없는습니다.... 싸고 괜찮다고 느끼과 만족하며 쓰는 걸껍니다...아닐수도 있지만..ㅡ.ㅡ;; 제 생각...
    비싼게 좋을듯...

 나름대로 예의를 갖춘 답변이엇습니다...^^*

Darker님의 댓글

아, 정말 성의있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을 올리면서도, 이런 허접하고, 정보안되는 답변을,,, 누가 해주실까 했는데^^
감사하구요^^/

현재 저는 프리에 대한 고민만 계속 해오고 있었는데요..
Mackie Satellite 에 대한 고민도 해봐야겠습니다^^/

아참 그리고, 영자님께서 항상 추천하시는 그레이스 디자인 101과, 프리소너스 mp20, Mackie Satellite 의
프리를 비교 할땐 어떨런지요...^^

아, 오디오가이에 오랫만에 들어와 정보들을 캐내어 보니,
궁금한게 너무나 많습니다. 항상 만족하면 안되겠습니다. ㅠ
감사합니다^^

-------------------------------------------------------------------------------------
지금 Mackie Satellite를 대충 보고 왔는데요^^/
onyx  믹서가 꼭 필요한건가요? 아님 이 기기만 있어도 되는 건가요?^^

현재혁님의 댓글

1. 다른분의 답변으로 대신하겠습니다...^^

2. 프리앰프가 2채널 스테레오라고 반드시 두채널을 다 써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마이크가 하나니까 한쪽 채널만 쓰시면 되구요...

3. 제가 보기에는 님의 상황에서는 굳이 100만원이 넘어가는 마이크프리를 살 필요가 없지 않을까 합니다. 우선 1820으로 많은 작업을 해보심이...1820도 무척 훌륭한 장비 입니다.

4. 컨버터는 말그대로 변환기입니다.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해서 컴퓨터로 들어가게 하거나 컴퓨터에 있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밖으로 빼내는 기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님께서 부르는 노래는 아날로그신호지만 컴퓨터로 들어가게 하려면 디지털신호로 바꿔야 하니까 컨버터를 거치는거죠...1820이 그 역할을 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보기에는 추가하시거나 새로 구입하실 장비는 전혀 없다고 보입니다. 지금 가지고 계신 장비들도 대단히 가격대비 성능비가 좋은 것들이니 최대한 빨리 많이 써서 망가뜨리겠다는 생각으로 나름의 공부를 해나가시면 좋겠네요...

Darker님의 댓글

신경써서 답변 해주신 두분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제가 몰랐던 부분들을 조금씩 알아가는 것 같아,
무언가 후련한 기분이 듭니다^^;

하지만, 사실 프리 부분에 있어선,, 왠지 욕심이
앞섭니다... 실력 부족 탓인지, 제 기대치가 높아서 인지..
1820의 프리가 차지 않네요.... 일단 조금더 알아보고, 운영자님께서
준비해놓으신 공구도 많이 참고 하여,

저에게 있어 최상의 선택이 될 수 있도록 하려 합니다.

^^ 부족한 질문에 신경써 주신 두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날씨가 춥습니다. 항상 감기 조심하시구요^^

박카스두병님의 댓글

1820m  이넘 괜찮은 넘입니다..
저는 이넘으로 데모시디 맹글었는데요...
물론 소스가 좋으면 결과물도 좋겠지만..
그리고 1820m 이넘에들어간 칩이 프로툴에 들어가는 컨버터 칩이라고 하던데..ㅋㅋㅋ
하여간... 장비탓 하시지말고..;. 열심히 만져 보세요..
컴프를 잘 활용해보시면... 괜찮은 소리를 만들수 있죠... 물론 잘못 만지면 이상해지지만..
컴프를 가지고 소리를 앞뒤로 보낼수있습니다..
전체 9,434건 / 386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32 명
  • 오늘 방문자 738 명
  • 어제 방문자 5,950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964,69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6 명
  • 전체 게시물 317,484 개
  • 전체 댓글수 193,420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