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미디카피 많이 해 보신분...

페이지 정보

본문

고수분이 계시면 노하우좀 알고싶습니다..ㅠㅠ

보통 노래방에가서 곡을 틀어보면 거의 비슷한 소리로 엠알이 만들어져 나오잖아요.

유튜브 같은 곳에서도 가라오케같은 것을 찾아보면

올리신 분들이 미디로 카피를 아주아주 잘 하셨더라구요



그런식으로 아주 똑같은 소리는 당연히 낼수는 없더라도,

비슷한 신디소리, 비슷한 악기소리를 찾아서 카피를 해보고싶은데

악기소리가 무수히 많잖아요 저 같은 경우는 ni 컴플릿컬렉션얼티메이트 가 깔려있어요

이 안에 들은 악기들 소리만 해도 무수히 어마어마 하게 많은데

이 중에서 비슷한 악기소를 찾아내는것이 아무리 카테고리별로 분리해서 찾아도 넘 힘드네요?;;

다들 그런가요?

아님 저만 이런 부분에서 애를 먹는건지....ㅠ.ㅠ


하시는 분들은 정말 잘 하시던데..ㅠㅠ


아니면 옵션에서 이것저것 에디트해서 최대한 비슷한 소리로 만드는 법이 따로있나요?


보통은 어떻게 하시는지... 노하우 좀 알고싶습니다.ㅠ 초보라서요..ㅠㅠ

조언좀 부탁드립니다..ㅠㅠ

회원서명

SIGNATURE

.

서명 더보기 서명 가리기

관련자료

SquidMan님의 댓글

작곡에 관련된 글은 작곡관련 커뮤니티쪽에 올리심이 더 좋을거 같은데요,
지금 말씀하신 부분은 정말 연습외엔 왕도가 없습니다.
딱히 알려진 연습방법이나 노하우는 존재하지 않구요, 악기를 다 열어서 소리를 들어보고 비교해보면서 어느곡에 나온 악기가 어떤 소리인지 구별해 내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겨울의끝님의 댓글

이 내용을 질문하신 자체가 악기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실거라 생각듭니다
(무시하는거 아니에요)
제가 처음 컴퓨터음악이란것을 접할때가 adlib카드 계열로 하이텔 동호회에서 최신곡 카피해서
올리는 rol 파일을 듣던 중학생 시절이었는데 악기를 배우기 전이라서 그런 과정들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기타를 배우면서 몇번 도전을 해봤지만 ... 8마디 카피도 힘들었죠

세월이 많이 흘러 질문하신 내용과 같은 카피일을 하는것이 먹고사는 일중 하나 이기도 합니다.

전공악기는 기타, 피아노는 전혀 칠줄 모르며 ... 베이스기타 약간 연주하고 드럼은 잘치진 못하고
눈치껏 봐와서 굉장히 현란한 연주 아니면 카피는 가능한 편입니다.

일단 세상의 모든 음악에 쓰이는 소리들 중에 실제악기와 실제 악기가 아닌 소리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어쿠스틱 악기

건반 - 어쿠스틱 피아노  - 스타인웨이, 야마하 등...
        일렉트릭 피아노 (EP) - 펜더 로즈 마크 원투 ...야마하 dx7 굉장히 많은 모델과 타입
        클라비넷
        오르간 - b3계열의 하몬드류 외 교회풍 파이프오르간 등
기타 - 스틸스트링, 나일론스트링(클래식) , 일렉트릭 등
베이스기타 - 일렉트릭, 업라이트(콘트라), 플렛리스, 어쿠스틱
드럼셋 구성요소 - 베이스드럼,스네어, 탐탐, 하이햇, 심벌(라이드 크래쉬 스플래쉬 차이나) 카우벨 탬버린
오케스트라 악기 - 목관 , 금관 , 현악 ,타악
민속악기이지만 대중음악에 많이 쓰는 라틴,아프리칸 퍼커션 계열들, 아코디언과 반도네온 같은류

말씀하신것 처럼 소리를 에디팅해서 만들기 용이한 쪽은 신디사이저 계열의 소리겠지요
저도 이쪽은 어려워서 프리셋을 애용하는 편이고 신디사이저 에디팅은 많은 공부와 시행착오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파형 (sine, saw , square등)의 성격을 이해하시는고 프리셋을 에디팅 하면서 접근해보시면
좋을겁니다.

그밖에 태생이 어쿠스틱도 신디사이져 합성 계열이라고 하기도 애매한 그런 류도 있구요

FX 효과적인 음원도 곡중에 간간히 쓰이고 있지요

이걸 책으로 보고 외우고 악기를 하나하나씩 다 레슨받으러 다녀야지 배워진다기 보다
많은 음악 활동과 경험, 좋은 음악의 청취에 의해서 축적되어 진다고 생각됩니다.

유능한 프로듀서나 작곡가, 지휘자들은 이런 수많은 악기들을 잘 이해하고 잘 다루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요

이 사이트에 어울리지 않는 질문이지만 마침 반주곡 카피일이 들어와서 카피하던중에
난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던가 생각이 들면서 좀 긴 답글을 쓰게되었네요

처음에는 완벽한 스코어가 제작된 곡을 선택해서 장르 스타일별로 한곡씩 악보를 보며
한 노트씩 찍어가는것도 좋은 공부가 될겁니다.

요즘은 너무 방대하고 훌륭한 가상악기들이 넘쳐나서 오히려 접근하기 막막할수도 있죠
전세계 대부분의 악기들이 제작되어져 있으니 프리셋을 하나씩 들어만 봐도 공부가 될겁니다.
(프레이즈가 수록된 악기들도 많으니)
전체 9,431건 / 38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595 명
  • 오늘 방문자 4,588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7,877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1,454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