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노래 녹음과 vsti 소스를 트랙킹하려 합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오디오가이 회원님들
매일같이 들려서 눈팅만 하고있는 유령회원중 한명입니다.
제가 하는 음악은 거의 가요인데요 외부로 거치지 않고 daw상에서 믹싱을 다 마치다 보니 결과물이 힘이 떨어져서 외장프리를 한번 거쳐서 트랙킹 할려고 합니다.
처음에 제가 생각하고 있는 모델은 아발론 737 이었는데요....
많은 글들을 검색하다 그레이스 디자인 201 이라는 모델이 눈에 들어와서 질문드립니다.

1.운영자님께서 쓰신 글을 보면 아발론 보다 그레이스 디자인으로 보컬 녹음을 트랙킹 한 결과물이 더 맘에 드신다고 하셨는데요.. 굳이 두가지 기기만 비교했을때 어떤 기기가 더 범용적으로 많은 보컬에 잘 사용할수 있을까요?

2.vsti 소스를 트랙킹할때 두 기기중 어떤기기가 더 좋은결과물을 낼수 있을까요?

3.vsti 소스를 트랙킹 할때 꼭 instrument 입력 단자가 있어야 하나요?
그렇다면 왜 그래야 하는지도 설명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레이스 디자인에는 instrument 입력 단자가 없는거 같아서요....

4.모든 소스를 트랙킹 할때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프리만 거치려 하는데요 아발론을 사용하더라도 컴프와 이큐는 바이패스 시킨후 받은후 daw상에서 플러그인을 사용하려 합니다. 이렇게 하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고수분들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답변은 완전 초보인 저한테는 너무 어려운 답변 입니다. 그냥 평균적으로 어떻게 쓰이는지만 답변해 주셔도 저한테는 크나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더운 여름 건강 조심하세요....^^

관련자료

운영자님의 댓글

 
1: 둘다 범용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 인스트루먼트 입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737 두대를 사용해서 스테레오로 녹음하셔야합니다.

마이크입력과 라인입력은 게인증폭양과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신디사이저등의 악기들은 라인입력(인스트루먼트입력)에 연결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요즘 나오는 신형의 고급 프리앰프들은

마이크 입력에 라인입력인 VSTI소스를 입력하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마이크 프리앰프 게인이 키워져 있는 상태에서 라인레벨이 최고로 출력을 시키는 등의 일이 생기다가는 마이크 프리앰프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이크 프리앰프를 사용할 것이 아니라 프리만 거치시려면 API 프리앰프의 라인입력을 2대 사용하는 것도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주로 하시는 장르가 영자처럼 재즈나 클래식이 아닌 가요이니.

그레이스보다 API가 더욱 더 개성적인 소리를 들려줄 것 으로 예상됩니다.

이재명님의 댓글

  킥이나 스네어 소스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빈텍 1272 추천합니다.
듀얼 마이크프리고 인스트러먼트 단자도 있으며 많은 작곡가 분들이 선호하는 마이크프리입니다. 저도 구하고 싶지만 돈이 모자라서 ㅜ.ㅜ 마인드 프린트사의 an/di pro 듀얼 마이크프리겸 AD컨버터를 사용하는데 만족합니다.
가이드 녹음하기에 모자람이 없는 프리와 괜찮은 컨버터로 가격대 성능비가 아주 좋습니다. 미엔사에서 160에 판매중이나 중고가격이 50만원이더군요..
전체 9,431건 / 39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75 명
  • 오늘 방문자 2,013 명
  • 어제 방문자 6,048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15,302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1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0,620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