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아이맥에서 레코딩용 외장하드사용에 관해 여쭙고 싶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요즘 맥북프로냐 아이맥이냐를 두고 행복한 고민에 빠져있는데요..^^;

맥북프로는 일단 추후 구매하기로 하고 아이맥 27"를 구입하기로 결정하였는데

고민이 생겼습니다.

저는 부팅과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하드와는 별도로

작업용 하드를 두어야 퍼포먼스에서 조금 더 낫다고 알고 있는데요
(이게 sata 1 시절에 들은 이야기라 요즘은 상황이 조금 다를수도 있을지 모르겠지만요..)

실제로 프로툴 LE의 경우도 작업용 하드디스크를 별도로 운용해야 제대로 작동하지요..

그런데 아이맥의 경우 내부버스에 하드디스크를 설치할수 없기때문에

작업용 하드디스크를 따로 사용하려면 외장하드를 구입해야 하는데..

이게 불끈800으로 사용한다해도 솔직히 내부버스보다 전송속도도 한참 떨어지고..

차라리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작업하느니만 못할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현재 아이맥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사용하고 계시는지 그리고

외장하드를 작업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아이맥내부의 하드디스크 하나로

작업하시는 분 있으시다면 퍼포먼스가 어떤지 여쭙고 싶습니다.

참, DAW는 로직입니다.

관련자료

Hoons님의 댓글

타 스튜디오에서 녹음 할 때 외장하드에 직접 받으면서 세션진행하기도 하지 않나요? 맥프로로 작업한다고 외장하드에 담아가서 맥프로 내부에 SATA로 옮겼다가 다시 외장으로 받아오고.. 물론 세션 진행속도면에서는 빠르겠지만 만약에 세션 하나의 크기가 수십기가 씩 된다면.. 세션 옮기는 시간만해도 너무 오래 걸릴것 같은데요 ^^ 트랙이 너무 많아져서 오디오 전송 데이터량이 심하게 커지면 문제가 될 수도 있겠지만 48 24 면 모노채널를 기준으로 초당 전송률이 1152kbps 기 때문에 그렇게 크게 문제될 건 없다고 봅니다. 전 집에서 아이맥 24" 에 800 으로 외장하드 하나에 하드가 2개 들어가는 걸 2개 물려서 총하드 4개로 사용중입니다. 그 중에 한개는 프로툴 및 로직 세션만 들어있는 하드이구요. 다른 하드 하나에는 덩치큰 가상악기의 라아브러리들이 들어 있습니다. 또 하나는 아이튠스 라이브러리이고 하나는 주로 영화와 공연영상 등을 관리하구요. 저는 미디는 주로 로직을 사용하고 에디팅&믹스는 프로툴스 LE 로 하는데 전혀 문제 되지 않습니다. 제 시스템에서 800하드의 Read&Write : 60~70MB/s 의 전송률이 나옵니다. 아직 학생이고 그 렇게 큰 세션을 진행해 보지 못해서인지 아직까지 저는 큰 무리 없이 스튜디오에서도 제 외장하드에 녹음을 직접 받으며 작업하고 있습니다. 집에서도 에디팅할 때도 마찬가지 구요 ^^

Hoons님의 댓글

아참... RAID 는 구성 안되어 있고 모두 JBOD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시스템하드에 세션을 진행하는 것은 디지디자인에서도 권장하지 않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하드의 구동 방식만 생각해봐도 시스템 하드에 세션을 진행하는건 외장하드에 진행하는 것보다 리스크가 높을 것 같습니다.

강정훈님의 댓글

Hoons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대로 작업세션을 외장하드로 진행하는데 무리가 없다면
아래글에 말씀하신대로 리스크에 대한것도 있고하니 외장하드를 사용해야겠군요.
다시한번 감사드려요~ ^^

유리앙님의 댓글

Hoons님 혹시 사용하시는 외장하드가 어떤것인지 알수 있을까요?
하드가 2개 들어가는 외장하드를 구하면 참 좋을텐데....

저도 지금 맥북프로로 사용중이지만 정말 27" i5 아이맥은 끌립니다...
다만 집의 전기가 불안정해서, 2개의 에어컨과 전자레인지나 헤어드라이기를 같이 돌리면 정전이 되어버리는 문제로....
전기가 일시적으로 나가도 끄떡없는 맥북프로라 다행이라고 생각하며 아이맥의 구입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ㅠㅜ

행갱남편님의 댓글의 댓글

i5프로세서 에서 로직은 별무리가 없는가 보군요~

프로툴은 i5프로세서와 MBOX프로세서가 서로 충돌 일으켜서 프로툴 안돌아간답니다..

해결이 되었는지는 모르겠는데, 제가 아이맥 구입할 당시에는 업뎃이 안되서..

그냥 코어2듀오 3기가로 주문했다는..;;

행갱남편님의 댓글

아이맥 27" 사용하고있구요 DAW는 프로툴 8.0 사용중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장 이상적인 방식은 파이어와이어를 지원하는 외장하드를 사용하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USB2.0도 빠르긴하지만, 40트랙 넘어가는 작업하면 왠지 버거웠습니다..

저 같은 경우 아이맥에 하드 1TB가 있어서 4:6으로 나눠서 사용합니다.

데이터 같은경우 2번째 파티션에 저장하고 있구요 , 1번째 파티션은 맥부팅과 소프트웨어설치용으로 씁니다.

그리고 따로 500GB외장하드가 있는데, 여기에 주기적으로 백업하면서 쓰고있습니다.

이미 완성된 작업이라던가 그런건 따로 외장하드에 담아두고 있구요~

진행중인 작업만 아이맥 하드에 넣고 씁니다..

프로툴은 맥버젼이기때문에 뭐 팅기거나 하는거 전혀없이 작업 잘하고있습니다.

초기에 소프트웨어 다 깔고 , 컴퓨터 셋업이 끝난 시점에서 타임머신으로 백업해둬서

시스템 불안정해저도 타임머신으로 되돌리면 그만입니다.

데이터도 외장에 따로 보관하고있구요~^^

nightvoyage님의 댓글

아이맥 27 i7모델 쓰고 있습니다. 로직이야 애플제품이니 완벽하게 호환되고요.
엠박스나 디지00X는 i5,i7에서 에러 난다고들 하시더군요.
전 프로툴장비가 없는 관계로 테스트해보지 못했구요.
행갱남편님 아이맥 27인치 시피유가 어떤것인지 알려주시면 다른분들 참고할수 있겠네요.

그리고 파이어와이어 오디오인터페이스의 경우 디지디자인사의 제품이나 앙상블같은경우
파이어와이어외장하드를 같이 물려쓸때 정상적인 작동이 안될수 있습니다.
예전에 003을 쓸때 디지디자인사에서 옥스포드칩셋을 쓰는 파이어와이어 외장하드를 권장해서
옥스포드칩셋 외장하드로 주문했는데 앙상블에서 같이 쓸때 문제가 좀 있네요.
때문에 내장하드에서 작업중입니다.

강정훈님의 댓글의 댓글

외장하드에서 작업하시는분외에 내장하드에서 작업하시는분의 의견도 듣고싶었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

내장하드에서 작업하실때 퍼포먼스는 어떠신지 궁금하네요~ ^^;

nightvoyage님의 댓글

외장하드로 작업을 하는 이유는 아마 레이드0으로 물려서 쓰는것이 아니라면 퍼포먼스때문이라기보단
내장하드 용량과 시스템 안정성등이 이유가 아닐까 싶은데요.

제가 외장하드로 작업하려고 했던 이유는 퍼포먼스보단 구형 아이맥(320GB)의 내장하드 용량문제였습니다.

내장하드로 작업할시 읽고 쓰기를 수없이 반복하다보면 하드수명도 짧아질수 있고 플레그가 낄수도
있겠다 싶은데 저같은경우는 한 2~3년째 걍 무시하고 쓰고 있네요 - -;;;

때문에 옥스포드칩셋의 외장하드는 백업용으로 쓰고 있습니다(어렵게 구한건데~ - -)

퍼포먼스의 차이를 기대하고 외장하드를 선택하신거라면 레이드용 외장하드케이스를 알아보시는게 좋을듯하네요.
레이드시키면 한쪽 하드만 이상이 생겨도 데이터가 다 날라가기때문에 퍼포먼스와 안정성은 반비례한다고 보시면됩니다.
전체 9,433건 / 390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622 명
  • 오늘 방문자 4,901 명
  • 어제 방문자 6,784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87,883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51 명
  • 전체 게시물 294,888 개
  • 전체 댓글수 193,401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