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가이 :: 디지털처럼 정확하고 아날로그처럼 따뜻한 사람들
질문&답변

오디오인터페이스 잡음..

페이지 정보

본문

최근에 이사를 하면서 접지에 관해 질문을 했었는데 완벽하게 맞췄다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오디오인터페이스에서 화이트노이즈 같은게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전에 살던집은 지하방에 매입접지(?)를 했었고 지금같은 노이즈는 없던걸로 기억됩니다.

지금집은 2층집에 매입접지가 안되서 접지선을 1층에 있는 하수관? 가스관? 옆에 공그리못?(3cm좀 안되는 못)으로 땅에 밖아 고정시켰습니다.(이렇게 하느니 그 하수관인가 가스관에 돌돌말구 절연테입으로 고정하는게 좋지 않을까란 생각도 듭니다만..)

처음에 할때는 1m이상되는 철심을 밖아야 된다고 해서 걱정을 했는데 테스터기로 테스트해본결과 접지가 되긴 하더군요.


우선 접지는 이렇게 되있고, 오디오인터페이스가 파페400인데 자체접지가 안되서 추가로 파페와 멀티텝의 접지극을 연결해서 접지를 했습니다.(사진참고해 주세요.)

저번 집에선 오디오인터페이스의 접지는 따로 안했었구요..

아무튼 테스터기로 확인도 했고 안심을 하고 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오디오인터페이스에서 화이트노이즈 같은게 나오기 시작하더군요..

그것도 오른쪽으로 쏠려서 화이트노이즈가 나오더라구요-_-;;

정확히는 컴퓨터를 키기전에는 양쪽다 상당히 큰 화이트노이즈가 나오는데 컴퓨터를 켜면 왼쪽의 화이트노이즈가 작아지더라구요;


전에는 이러지 않았던 것 같아서 걱정이 많이 되네요..

지식이 없어서 그런지 접지가 잘못되 나쁜전기가 역류하는건 아닌가 걱정도 되고..;;

아! 그리고 콘센트에 연결하는 전기선이 상당히 오래되고 녹슬어서 그거 잘라내고 안쪽에 있는 깨끗한 선을 쓰고 싶다고 했었는데 무시하고 그냥 뺀찌로 쓱쓱하시더니 그대로 연결해주셨는데 이게 문제는 아니겠죠?;


이 원인모를 화이트노이즈.. 도데체 어디가 문제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접지가 된것같지만 실패한 걸까요?

그리고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바쁘시겠지만 어린양 도와준다 생각하시고 작은지식이라도 알려주세요~


-추가-

적는걸 깜빡했는데 저번집에선 없던 증상입니다만, 오디오인터페이스의 전원을 켜면 볼륨이 0(기준점0가이 아닌 완전제로;)인데도 불구하고 퍽!하는 소리가 들리네요; 어제 멀티텝이 문제인가해서 바꿔보다가 헤드폰낀걸 까먹어서 귀 나가는줄..;; 왜 이럴까요..ㅜ_ㅡ

관련자료

harry님의 댓글

전기 전공자로서 말씀을 드리자면,
첫번째 사진의 hook 부분에 녹? 도색이 된 상태인데,혹 피복을 벗기셨나요?-저항치 정도에 따라 도통은 돼도 효과가 다름-
같은 맥락에서 땅에 박은 못도 도통이 된다손 치더라도 신뢰가.....
혹,전원부 R/T상을 바꿔 보심이 어떨는지요? 컴터 전원과 오디오장치 전원 플러그의 R/T 방향을 바꿔 가며 테스트 해보세요.상이 달라지면 노이즈가 생길 수 있습니다.

SMaker님의 댓글

도통 무슨말인지 몰라서 대충 알아듣고 확인해봤는데 똑같네요..

R/T상을 바꿔 보라고 하셔서 전원을 반대로 꼽아봤거든요?(맞는건지..;;)

아무튼 그래도 해결이 안되고, 접지관련해선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피복을 안벗기면 접촉이 안되니까 벗긴건데 피복상태로 하는건가요?;

앞으로 못해도 2년은 여기서 살아야되는데 전기때문에 미치겠네요..

집이 오래되서 사용하는 전기가 그런건지..

콘센트까지 오는 전깃줄을 따로 뽑아와야 하는건가..ㅜ_ㅡ

harry님의 댓글

설명을 쉽게 한다고 했는데 죄송하네요.ㅋㅋ

R/T 상 바꾸라는 것은 잘 하신거 맞구요. - ok

녹이나 도색이 된 상태라면 잘 벗겨서 하시라는 뜻입니다. - ok

혹시 오디오 배선과 전원배선을 정리 해 보시면 어떨까요?

간혹,엉켜 있는 경우 전원노이즈가 오디오 배선에 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확실히...대지(땅)에 접지했다고 하는데 접지저항을 봤으면 좋겠는데요..- 의심이...-

접지시 최소 직경1.6mm(선피복에 표기됨)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며,

접지 저항을 체크시 100 옴 이하가 나와야 합니다.


아래 내용 참조하시구요...

종류 : 제3종 접지공사
저항치 :  100오옴 이하
사용케이블 :  연동선 1.6mm이상
적용 :
 -.400V 이하 저압 전로의 기계기구
  철대 외함 접지
-.보호선,보호망,네온변압기,고압
계기용 변성기 및 변류기 2차측 접지
-.길이 4m가 넘는 금속관, 금속덕트, 금속 몰드, 접지

SMaker님의 댓글

다시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R/T상 바꾸는건 잘 맞게 했나보네요..

전원노이즈가 오디오 배선에 실리는건 알고 있었기에 셋업할 때 다 정리를 했고, 멀티탭에 다른가전기기를 같이 사용할시 노이즈가 붙을 수 있다고 알고 있어서 오디오장비와 가전기기의 멀티탭을 나눠쓰고 있습니다..

제가 봤을때도 가장큰 원인은 접지 같은데 다행히 선은 2.0mm입니다.

접지 저항을 체크하는 기계가 없어서 이게 100옴 이하가 나오는지는 확인이 안되지만 테스터기(JW-0415라는 간이테스터기)를 통해서 확인했을 때는 접지가 됐다고 나오네요..

위에도 적었지만 3cm정도 되는 공그리못?을 이용해서 가스관옆 콘크리트땅에 박았구요..

그냥 못을 뽑아버리고 접지선의 피복을 더 벚겨서 가스관에 둘둘만다음에 절연테이프같은걸로 마감을 하는게 좋으려나요..?

아니면 여유분의 접지선이 있는데 지금 땅에 있는 못은 그대로 두고 추가로 지금 접지선과 가스관을 연결시켜보는게 좋을런지..

수고스럽겠지만 한번더 답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arry님의 댓글

님...갑자기 뇌리를 스치는 안타까움이..

접지는 금속봉을 이용해서 나대지(맨땅..흙있는데)에 박는 것이지

콘크리트에 박는 게 아닙니다.

차라리 가스관이나 수도관에 접지를 하세요...수도관이 안전하고 낫겠네요.

테스터기로 접지 상태를 찍었다고 하시는데 어디어디를 확인하신건가요?

정확히 하시려면,테스터기 적색-색 무관- 은 멀티텝 접지라인에 흑색-색 무관-은 벽체 금속부분이나

벽체 콘센트 박스(금속) 랑 찍어서 도통이 되어야 합니다.

이해가 가시는지요?......

이층 올릴 때 접지 안하면 불법임으로 계량기 안달아주는데요.....거기 살다가 사람 잡겠는데요..얼른 나오세요 ㅋ

SMaker님의 댓글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접지봉을 흙에 박아야 되는군요..

계속 이렇게 해도 되는건가..?라고 생각은 됐는데 테스터기에 접지 됐다고 뜨길래 안심했는데 다시 해야겠네요..

이 테스터기 회사에도 문의했었는데 이건 100옴이 넘어도 접지선이 있으면 접지 됐다고 인식한다네요..;

그 쪽에서도 수도관이나 제대로 하려면 1m되는 접지봉을 박으라고 하네요..

개인적으로 지금 집이 나무로 되있어서 난생처음보는 대왕바퀴벌래도 나오고, 매입접지도 안될정도로 집도 오래되고 여러가지로 맘에 안들어서 이사하고 싶은데 이제 이사한지 2주댈랑말랑 이라서요..ㅜ_ㅡ;

아무리 짜증부려도 2년은 여기서 살아야 된다니 어떻게 접지를 다시 해야겠네요.. 에휴..

진짜 걱정됐었는데 끝까지 답변 달아주셔서 너무너무너무 진짜 너무 감사드립니다..ㅜ_ㅡ

harry님의 댓글

참고로 접지봉은 동봉입니다.(구리봉이라는 뜻이지요...전선과 같은 재질의)

접지를 직접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 어려운 일입니다. 전기 법적인 문제도 고려를 해야되고..

간단히 이층이 접지 됐는지 안됐는지 확인법 알려드릴께요.

테스터기로 AC 전압 재는 법은 아시죠?  아마 220V 가 나올겁니다.

전기가 흐르는 멀티콘센트의 콘센트 한쪽 구멍이랑 접지부랑 전압을 재보면,

접지가 되었을 경우 반전압(120V 정도)이 체크가 될것입니다.- 대지가 중성점 역활을 하므로

접지가 안되면 전압이 뜨지 않습니다.

이상입니다.

SMaker님의 댓글

안타깝게도 테스터기가 따로 없네요..

제가 가지고 있는건 220V에 꼽아보면 접지 됐는지, 아닌지, 역상인지만 알려주는 그런 간이테스터기라..

우선 접지봉사서 해볼려고 하는데 주위는 온통 콘크리트 바닥이네요..ㅜ_ㅡ

옆집화단이 흙으로 되있는데 상추같은거 기르고 있고, 또 옆집이라 참..

방법을 알아도 참 난감하네요.. 콘크리트 바닥에는 안된다고 하고..

여차하면 임시방편으로 수도관에 연결해야 겠네요.. 에휴..
전체 9,431건 / 398페이지

+ 뉴스


+ 최근글


+ 새댓글


통계


  • 현재 접속자 380 명
  • 오늘 방문자 3,614 명
  • 어제 방문자 6,333 명
  • 최대 방문자 15,631 명
  • 전체 방문자 12,823,236 명
  • 오늘 가입자 0 명
  • 어제 가입자 0 명
  • 전체 회원수 37,545 명
  • 전체 게시물 282,288 개
  • 전체 댓글수 193,391 개